쓰지 않을 이야기 - 팬데믹 테마 소설집 아르테 S 7
조수경 외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 신간 코너에 꽂힌 책이었다. 『쓰지 않을 이야기』는. 보라색의 작은 책. 눈길을 끌었던 건 책의 뒤표지에 실린 말이었다. '전염병 아래 감춰진 이 시대의 진짜 얼굴을 선명하게 포착한 네 편의 소설'이라는 소개의 말. 얼른 책을 빌렸다. 그때가 그립다. 지금은 다시 도서관이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이놈의 코로나. 언제 사라질 거냐. 집순이의 유일한 낙은 도서관 나들이였는데. 언제 열지 기약이 없다.


『쓰지 않을 이야기』의 부제는 '팬데믹 테마 소설집'이다. 코로나 확진자의 수가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비단 우리나라의 일만이 아니다. 전 세계가 그렇다. 하늘길은 막히고 여객기는 수송기로 구조를 변경해 운행 중이다. 해외여행은 요원한 일이 되어 버렸다. 예전에 찍어둔 마스크를 쓰지 않고 자유롭게 활보하며 맛집을 다니고 유명 관광지를 가는 여행 다큐를 보고 있다. 밖으로 돌아다니는 거 안 좋아해서 미치도록 가고 싶다까지는 아니고 신기해서 틀어 놓고 있다. 저런 시절이 있었지.


조수경의 「그토록 푸른」은 현실적인 소설이다. 지금 여기서 일어나는 일을 건조하고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여행사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조소영은 전염병이 돌면서 일을 그만두어야 했다. 병보다 무서운 건 매달 들어가는 생활비의 압박이었다. 비대면 장 보기가 늘어나자 물류센터에서는 사람들을 급하게 모집했다. 매일 아침 조소영은 일을 하겠다는 카톡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다. 마스크를 쓰고 버스를 타고 작업장으로 들어가기 전 문진표에 건강 상태를 체크한다.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병의 증세는 '손이나 발끝에 푸른빛이' 도는 것이었다. 조소영은 계속 일할 수 있을까.


「특별재난지역」은 청도 지역의 사태를 다룬다. 요양 병원에서 확진자가 발생하고 동일 집단 격리에 들어간 시간을 그려낸다. 실제 지명과 사건을 토대로 보여주어 독자는 몰입해 들어가기 쉬운 구조이다. 아버지를 요양 병원에 모신 일남. 시간이 날 때마다 음식을 해서 아버지를 먹이는 일남이었다. 청도 대남 병원에서 확진자가 나오고 일남의 아버지가 있는 요양 병원에서도 면회가 금지된다. 철없는 아들이 낳은 손녀를 키우랴 아버지를 모시랴 일남의 일상은 바람 잘 날이 없다. 소설의 결말을 읽으면 그럼에도 희망은 있다를 다시금 되새기게 된다.


세 번째 이야기, 「두痘」에서 박서련은 여성과 전염병이라는 두 가지 소재를 능숙하게 다룬다. 시골, 여선생님, 마을 이장, 폐쇄적인 마을 주민들, 이유를 모르는 피부 발진. 어떤가. 식상한 소재들인가. 그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박서련은 긴장감 있게 이야기를 끌고 간다. 증세는 여자아이들에게만 나타난다. 같은 집에 살면서 생활하는 남자 형제에게는 전염이 되지 않았다. 왜 여자아이들에게만 병이 발현되는 것일까. 이유를 알고 나면 무참한 기분에 빠지고야 만다.


소설을 쓰면서 '나'는 가족들을 여러 번 죽였다. 송지현의 「쓰지 않을 이야기」는 이러한 고백으로 시작한다. 심지어 아빠는 좀비로도 등장시켰다. 죽었는데 죽지 않는. 그 와중에 좀비가 되면 사망 보험금을 받을 수 있을지 고민한다. 해외로 떠돌던 아빠는 전염병이 돌자 한국으로 돌아와 거실에서 동물 다큐멘터리를 보며 지낸다. 자취하는 동생의 방을 자신의 방으로 만든 아빠. '나'는 빵과 맥주를 사서 애인과 모텔에 가서 노는 걸 좋아한다. 소설은 긴박하거나 공포스러운 일상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저 하루를 충실하게 보낸 것 같은 착각을 하며 지내는 풍경을 묘사한다. 자신이 죽는 소설을 쓸 것 같은데 그러기 싫다는 엄살을 떤다.



『쓰지 않을 이야기』에 실린 네 편의 소설은 우리 모두가 겪었던 겪고 있을 이야기라는 것 때문에 소중하다. 나만 두렵고 외로운 게 아니었다는 사실을 확인받는다. 문학이 존재해야 할 이유를 알려주는 책이다. 지금 이곳에서 벌어지는 사건의 진실을 색다른 관점에서 들려준다. 미처 알지 못했던 누군가의 삶 속으로 기꺼이 들어갈 수 있었던 건 문학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쓰지 않았으면 좋았을 이야기였지만 그들은 썼다. 쓰지 않을 이야기란 없다. 써야 할 이야기가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