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팔리는 작가가 되겠어, 계속 쓰는 삶을 위해 - 출세욕 ㅣ 먼슬리에세이 2
이주윤 지음 / 드렁큰에디터 / 2020년 6월
평점 :
똥 싸네,라는 욕이 있다. 처음 이 말을 들었을 때는 놀랐다. 숫자와 된소리를 섞어서 말하지 않아도 상대의 기를 누를 수 있는 있다니. 그 말을 한 사람과 오래 친하고 싶었다. 한동안 친했는데 시간이 흐르고 흘러 연락하지 않게 되었다. 그래도 잘 지내지? 나이 들어 보니 똥 싸네,라는 그 말은 욕이 아니었다. 일단 똥을 싸는 건 중요하다. 먹었는데 안 나오면 속이 더부룩하고 얼굴에 뾰루지가 난다. 변비가 심해지면 만사가 귀찮다. 똥을 싼다는 건 소화가 잘 된다는 증거이고 신진대사 활동이 원활해서 오늘도 내일도 무언갈 마구 때려 먹을 수 있다는 뜻이니까.
이런 더러운 얘기로 시작해서 죄송. 왜 이런 말을 하고 있냐면 나 아주 재미있고 웃긴 글쓰기 책을 읽었다. 그렇다. 글쓰기 책이다. 이주윤의 새 에세이 『팔리는 작가가 되겠어, 계속 쓰는 삶을 위해』는. '출세욕'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데 엄연히 글쓰기 책이다. 내가 발견하고 좋아한 작가인 듯한데 이주윤은. 글이 술술 읽힌다. 난해하고 심각한 문장으로 딴 생각을 불러오지 않게 한다. 솔직함이 장점으로 이런 것까지 쓴단 말이지, 감탄하고야 마는 것이다.
『팔리는 작가가 되겠어, 계속 쓰는 삶을 위해』는 자신의 글쓰기 노하우와 어쩌다 책을 쓰게 되었는지 깨 발랄하고 담백하고 웃긴 에피소드를 엮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도 목차는 '이것은 신세한탄이 아니다'와 '이것은 노하우가 아니다'로 이루어져 있다. 읽어보면 신세한탄이고 노하우인데. 이주윤은 블로그에 일기를 쓰는 것으로 글쓰기를 시작했다고 밝힌다. 처음 썼던 일기의 내용은 이렇다.
2005년 7월 12일 오후 3시 16분
아, 슬프다. 누가 알까. 이 마음. 메롱 까꿍. 무지 슬프다.
(『팔리는 작가가 되겠어, 계속 쓰는 삶을 위해』, 「끄적거리는 일기도 습작이 될까」中에서)
우와. 대박. 이 글을 시작으로 이주윤은 일기를 쓴다. 습작이라곤 일기밖에 없었다. 이후 고재귀한테도 칭찬을 받았다. 습작을 오래 한 사람 같다나 어쨌다나. 자신의 감정을 글로 표현하는 것. 나이 들면 알게 되는 것 중에 하나가 나의 이야기를 타인은 관심이 없다. 내 슬픔과 비통과 걱정을 구질구질하게 늘어놓아봐야 다른 이들은 들어주지 않는다. 그러니 일기를 쓰라고 한다.
부담 없이 일기를 쓰면 쓸 거리가 넘쳐나니 자신을 믿고 쓰라고 한다. 손목과 아이패드 프로와 애플 펜슬을 건다네. 그리고 똥 이야기. 자신이 블로그에 쓴 글을 똥이라고 비유한다. 매일 같이 똥 같은 이야기를 블로그에 썼다. 누군가는 보고 알아봐 주지 않을까 하는 염원에서. 실제 그 일이 일어났다. 조선일보 부장이 블로그에 쓴 글을 보고 출판사에 연락을 했다. 아버지가 애독해 마지않는 신문에 연재를 하는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났다. 그 일에 대해서는 이주윤은 운이라고 말한다.
메롱 까꿍에서 출발한 글은 한 권 한 권의 책으로 나오게 되었던 것이었던 것이다. 물론 운이 있어야 하기도 한다. 그리고 출세를 하겠다는 뚜렷하고 강렬한 욕망도 있어야 한다. 그 어떤 글쓰기 책보다 『팔리는 작가가 되겠어, 계속 쓰는 삶을 위해』를 읽으며 내 생활 행태와 습관을 돌아보며 알맞은 글쓰기 노하우를 취사선택할 수 있었다. 그것은 매일 똥 싸기. 블로그에 매일까지는 아니지만 이틀에 한 번꼴로 리뷰를 쓴다. 누구 읽으라고 쓰는 게 아닌 나 좋으라고.
이런저런 책을 읽었는데 책에 대한 이야기를 현실에서는 나눌 수 없으니까. 쓰고 또 쓴다. 똥 같은 글인데. 쓴다. 다시 읽어보면 형편없다. 비유는 어색하고 문법은 엉망이다. 그래도 언젠가는 제대로 된 글을 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일말의 희망을 가지고서. 이주윤이 꼭 잘 나갔으면 좋겠다. 이미 잘나가고 있나? 『팔리는 작가가 되겠어, 계속 쓰는 삶을 위해』서가 제목처럼 잘 팔려서 계속 쓰는 삶을 살아갔으면 하고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