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튼, 떡볶이 - '이건 맛있는 떡볶이다'라는 확신이 왔다 ㅣ 아무튼 시리즈 25
요조 (Yozoh) 지음 / 위고 / 2019년 11월
평점 :
그 떡볶이집은 시장 골목을 돌고 돌아야 나왔다. 돈이 많지 않은 우리는 일 인분을 시켜서 넷이 나눠 먹었다. 달고 짭조름한 맛이었다. 파와 어묵, 쌀떡이 들어 있었다. 중학교를 다니는 내내 갔다. 4인방이 고등학교를 따로 가면서 2인방이 되었고 어느덧 나 혼자 남았다. 혼자 시장 골목에 앉아 먹을 용기는 나지 않았다. 나중에 가보았지만 그 집은 사라졌다. 아련한 추억과 애달픈 그리움만 남았다.
떡볶이로도 글을 써서 책을 낼 수 있구나. '아무튼 시리즈'는 아무튼 대단하다. 요조는 떡볶이를 좋아한단다. 아무튼 시리즈 제안을 받고서 장강명이 떡볶이에 대해 쓸 것을 추천한다. 떡볶이를 좋아하는 요조는 떡볶이에 대한 기억을 그러모아 『아무튼, 떡볶이』를 써낸다. 대단하다. 무언갈 지치지 않고 끊임없이 좋아하면 뭐가 돼도 되는구나. 끈기와 집념을 가진 사람을 이길 수는 없다.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에게 떡볶이는 음, 그러니까 꼭 그렇진 않지만 자제해야 한다. 아시다시피 떡볶이는 한 입 베어 물면 평화와 안정과 치유의 맛을 선사하는지라 멈출 수가 없다. 그래서 안된다. 멈출 수가 없는 맛. 요조의 말처럼 떡이 불어도 맛있고 떡이 불지 않아도 더 맛있다. 요조가 펼쳐놓는 떡볶이 예찬을 담은 『아무튼, 떡볶이』는 아련한 그 시간과 장소를 불러온다.
누구에게나 분식집에서 먹던 떡볶이에 대한 기억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문구점 안에서도 떡볶이를 먹었다. 고추장과 케첩 맛이 나는 백 원에 몇 개씩 하던 떡볶이를 서서 열정적으로 흡입했던 기억. 지금은 배달 음식의 정상에서 치킨과 싸우고 있지만 떡볶이는 바람 불고 사람 많은 곳에서 먹어야 맛도 좋다. 『아무튼, 떡볶이』에 나오는 떡볶이집을 한 군데씩 정해 가보고 싶다. 떡볶이 책을 읽고 리뷰를 쓰는 일보다 요조의 이야기대로 떡볶이를 먹어야 하는데 TMI를 남발하자면 지금의 나는 다이어터.
『아무튼, 떡볶이』에서 인상 깊었던 챕터는 「'난 괜찮아'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었다. 제목부터 지친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것이 아닌가. 편안하고 유머가 있는 글쓰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안다. 재치와 유머는 배울 수 있는 게 아니다. 그건 타고나야 한다. 요조라는 사람을 만나본 적은 없지만 그가 쓰는 글에서 유머를 탑재한 사람이구나 짐작할 수 있었다. 떡볶이의 떡볶이에 의한 떡볶이를 위한 인생을 살아왔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인 요조. 『아무튼, 떡볶이』를 쓴 이유는 출판사 대표가 원고가 마무리되면 가자던 '코펜하겐 떡볶이'를 먹으러 가고 싶었던 게 아닐까.
의미가 있어도 없어도 모든 존재는 가치가 있다. 코펜하겐이든 미미네든 떡정이든 영스넥이든 왜 그곳일까 하는 의미를 찾는 것보다 그곳에 떡볶이가 있었다가 한 시절을 살게 한다. 떡볶이가 있다. 떡볶이를 먹는다. 가게 이름도 없었던 그 시절의 시장 떡볶이집. 허기를 급하게 잠재워주고 집에 가기 싫어하는 나를 달래던 따뜻한 매운맛. 어설픈 요리 실력으로 가끔 떡볶이를 해 먹지만 그 맛은 나지 않는다.
아무튼, 살아간다. '괜찮아'라고 말할 수 있는 마음의 여유를 갖도록 노력하면서. 누군가는 떡볶이를 먹고 누군가는 떡볶이를 먹었던 기록을 읽으며 살아가는 것이다. 편의점에도 떡볶이를 판다. 뭐? 다 알고 있다고? 그렇구나. 나만 몰랐구나. 얼마 전에 편의점에서 파는 컵 떡볶이를 먹고 충격을 받았다. 너무 맛있어서. 강렬한 MSG의 맛. 역시 조미료는 옳다. 회환을 가지고 각자의 떡볶이를 먹으며 오늘을 살아가면 된다. 오래오래 우리 버텨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