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림지구 벙커X - 강영숙 장편소설
강영숙 지음 / 창비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철소를 중심으로 형성된 도시가 있다. 부림 지구는 그런 곳이다. 제철소가 없으면 생활이 되지 않는다. 언제까지나 부림 지구에는 제철소가 있을 줄 알았다. 쇠락과 몰락은 느닷없이 찾아왔다. 강영숙의 소설 『부림지구 벙커X』에서 배경은 중요한 비율로 차지한다. 주인공 유진이 끝끝내 떠나지 않은 부림 지구로 들어가야 한다. 준비가 되어 있는가.

『부림지구 벙커X』는 지진이 찾아온 이후를 그린다. 건물이 흔들리고 땅이 꺼졌다. 사람들은 일상을 빼앗겼다. '나는 벙커에서 살고 있다'로 소설은 시작된다. 부림 지구 숲속 안에는 벙커가 있었다. 누가 만들었을까. 재난이 찾아올 줄 누군가는 미리 알고 있었던 것일까. 지진이 일어나고 겨우 살아남은 사람들이 벙커에 모여 살게 된다. 유진은 가족이 없다. 대신 지진 이전에 함께 살았던 친구 수진을 애타게 찾는다. 가족이 아니면 실종자 명단을 확인해 줄 수 없음에 절망한다.

유진이 벙커X에 살게 되기까지 소설은 안타까운 상황 묘사를 아끼지 않는다. 『부림지구 벙커X』는 다른 지점의 재난 소설이다. 재난 이후를 그리고 있지만 그 속에서 인간이 서로를 위하는 연대는 찾아볼 수 없다. 대장을 중심으로 벙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비참한 상황을 보여줄 뿐이다. 벙커에서의 삶은 최악이다. 정부 방역 요원들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바깥 외출도 제대로 하지 못한다. 그들은 부림 지구에 남은 이재민들에게 몸속에 칩을 심으라고 한다.

지진이 일어나지 않아 오염이 되지 않은 N 시로 데려다주겠다는 선전도 한다. 모든 것이 파괴된 부림 지구에 희망은 없다. 『부림지구 벙커X』는 어설픈 희망의 불씨를 남기지 않는다. 벙커에서 살아가는 이들은 죽음을 맞이하거나 실종이 되기도 한다. 나이 마흔여섯의 독신 여성인 유진은 겨우 살아남았지만 이후의 삶의 행방은 알 수 없다. 여성으로서 재난의 상황 안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건조하게 나열한다. 소설 속 재난의 모습은 사실 놀랍지는 않다. 강영숙도 그 점을 알고 있는 듯하다.

재난과 파괴라는 설정은 이제 현실의 사실성 때문에 미약하다. 『부림지구 벙커X』에서 지진은 상징으로 쓰인다. 우리는 오늘 이후를 알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인간은 얼마나 이기적으로 변할 수 있는가를 매일 확인하며 살고 있는 것이다. 인간의 존엄을 잃어가는 시간에서 유진은 어떤 선택을 할까. 선택이란 것이 배제되어 있는 상황이지만 강영숙은 유진에게 선택권을 주는 것으로 이상한 희망의 형태를 보여준다.

현재와 미래보다 과거를 애착하는 유진. 유진의 선택을 통해 더 나은 내일이 없다는 은유를 보여주는 『부림지구 벙커X』. 어쭙잖은 행복과 기쁨을 선사하지 않는다. 모두를 깊은 우울에 빠지게 하면서 누구도 우울에 잠식당하지 않게 만드는 역설을 소설은 보여준다. 『부림지구 벙커X』를 읽고 짜고 매운 중국 음식을 시켜 먹었다. 내일이 가능하지 않다면 남아 있는 오늘에 최선을 다해야 하므로. 소설에서 보여주는 상황은 멀리 있지 않다. 이곳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