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결혼 없이 함께 산다는 것
01&91 / 북닻 / 2019년 11월
평점 :






『결혼 없이 산다는 것』을 함께 쓴 01은 남자이고 91은 여자이다. 이들은 함께 산다. 연인인 두 사람은 함께 만나서 이야기하는 걸 좋아했다. 만나는 건 문제가 아니었다. 문제는 돈이었다. 점심을 먹고 카페를 가고 저녁을 먹고 카페를 갔다. 하루에 5, 6만 원은 기본으로 나갔다. 이건 아니라는 생각에 함께 살기로 했다. 그냥 함께 사는 것. 에어비앤비에서 일주일 정도를 머물며 조건을 맞춰 나갔다.
청소와 집안일 등 살아가면서 해야 할 일을 나누었다. 살림이 들어오고 6평 집은 책으로 가득 찼다. 처음에 그들이 산 가구는 4단 책장이었다. 외식은 돈이 많이 들어 요리를 좀 하는 01이 식사를 책임졌다. 91은 특기인 청소와 정리를 했다. 사람이 많은 카페에 가지 않아도 되고 산책을 나가서 땀을 흘리다 들어왔다. 하루 종일 둘이 있으면서 많은 대화를 나누었다.
같이 살면서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기록으로 남기자고 했다. 그 기록은 한 권의 책 『결혼 없이 산다는 것』으로 태어났다. 책의 부분마다 인터뷰가 들어 있다. 여자 91은 함께 사는 사실을 부모님께 말하지 못했다고 했다. 다소 엄격한 집안에서 자란 91이었다. 아직 동거에 대한 시선을 극복하지 못했지만 그래도 그들은 함께 산다. 함께 살아간다에 구구절절한 이유를 붙여서 정당화하는 책이 아니다.
동거라는 단어가 주는 불온전한 느낌을 지우면 공간을 나누고 대화를 나누며 살아갈 뿐이다. 서로가 잘할 수 있는 일을 하고 대화를 통해서 오해를 풀어간다. 돈이 많아서 방이 많은 집이라면 좋겠지만 6평의 공간에서도 그들은 사랑하고 삶을 살아간다. 01과 91의 기록이 번갈아 쓰이면서 같은 상황인데도 다른 기분을 느끼게 한다. 그럼에도 공통적인 건 지금 자신의 모습을 사랑한다는 것이다.
결혼을 해야만 생기는 혜택이 그리울 때도 있지만 이 상태가 좋다고 말한다. 외국에서는 결혼으로 맺어진 관계가 아니어도 법으로 마련한 보호장치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생활동반자법이 시행되면 아프거나 위급할 때 서로가 보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결혼 없이 함께 산다는 것'이 보통의 일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같이 살아서 좋은 점과 불편한 점이 책에 나와 있다.
유경험자의 조언을 듣고 싶다면 『결혼 없이 산다는 것』을 읽어보며 고민을 해결할 수도 있겠다. '돈'에 대한 솔직한 생각도 들을 수 있다. 혼자 사는 것보다 둘이 살면 더 필요한 건 돈이기 때문이다. 사랑이 먼저 아니겠냐고 하지만 사랑은 기본적으로 확보된 자원이니 문제가 없다. 이것도 살면서 줄어들 순 있겠지만 일단 생활이 돌아가야 하니까 돈을 무시할 수는 없다. 더 많은 것을 함께 하며 살아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