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신 단련 - 이슬아 산문집
이슬아 지음 / 헤엄 / 2019년 11월
평점 :
품절
매일 한 편의 글을 써야 한다. 매일 한 편의 글을 쓴다, 와는 다른 어감이다. 쓴다와 써야 한다의 차이는 실로 어마어마하다. 전자는 쓰는 주체는 나이면서 내가 통제할 수 있다는 개념이고 후자는 다른 외부적인 요소들이 쓰는 주체를 몰아붙인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누구나 일상을 살아가지만 누구도 일상을 쉽게 살아가지는 못한다. 그 안에는 자신이 정한 수많은 규칙이 존재하고 그걸 지키기 위해 애를 쓰는 자신이 있어야 가능해진다.
이슬아는 그걸 해낸다. 명목은 학자금 대출을 갚기 위한 것이었지만 평소 자신을 단련하지 않았더라면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매일 한 편의 글을 써서 독자들에게 메일로 쏴준다. 말 그대로 글을 쏴주는 일. 한 편당 500원의 글은 와이파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날아간다. 6개월 연재를 했더니 빚을 다 갚았더란다. 빚을 갚고 빛을 얻었다. <일간 이슬아>는 그렇게 시작되고 글이 좋다는 소문이 나기 시작했다.
그것도 대단한데 독립 출판까지 해서 『일간 이슬아 수필집』을 발행한다. 동네 서점에 입고한 책은 또 좋다는 소문이 나서 1만 부가 팔린다. 대형 서점에도 납품하고 싶어서 그는 사업자 등록을 하고 통장을 개설하고 엄마 복희를 직원으로 써서 '헤엄 출판사'를 차린다. 나 같은 허약한 인간이 보기에는 무시무시할 정도의 추진력을 가진 사람이다. <일간 이슬아>는 <인간 이슬아>라고도 잘못 알려져 있다고도 하는데 '인간 이슬아'는 대단한 사람이다.
『심신 단련』은 <일간 이슬아> 시즌 2의 연재분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하지 않은 나는 <일간 이슬아>의 독자는 아니지만 책을 부지런히 읽기에 『심신 단련』은 읽을 수 있었다. 단순하게 감상을 말하자면, 좋았다. 미슬아(미래의 이슬아)를 위해 과슬아(과거의 이슬아)가 청소를 해놓고 자이언트 우먼을 찾아가 트레이닝을 받고 보증금과 월세의 상관관계를 거슬러 올라가는 추억 여행을 하는 심심하지만 어찌 보면 익사이팅 한 일상의 단면을 그리는 글이, 좋았다.
이런 건 나도 쓸 수 있겠네 하는 책이 이제는 훌륭한 책이라는 걸 아는 나이가 되었다. 예전에는 그러니까 과거의 허술하고 허세 가득한 나는 난해하고 현학적인 잘난척하기 좋은 책들만을 읽으며 누군가 들을 아래로 내려다보았다. 무슨 내용인지도 모르면서 읽고 그걸 추천하고 나는 이런 걸 읽기 때문에 잘난 사람이야, 재수 없는 애였다. 안다, 이제는. 나도 쓸 수 있겠네 하는 책은 나는 쓸 수 없는 책이라는 것을. 쉽게 쓰는 게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집과 몸, 마음, 돈, 우정에 대한 진지하고 솔직한 이야기가 『심신 단련』을 채운다. 돈 이야기를 하는 이슬아 편이 유쾌했다. 대리 만족까지 느껴야 했다. 그래서 얼마 줄 건데요? 모든 이야기의 핵심은 돈 이야기라는 걸 모른척하는 사람들이 이 사회의 위를 차지하고 있다. 프리랜서로서 살아가는 이슬아. 이 행사의 취지는 무엇이고 어떤 부분을 확장한 것인지를 말하면서 돈 이야기는 하지 않는 메일에 정확한 돈의 액수와 지급일을 물어보는 이슬아.
등단을 못한 것이지 안 한 게 아니라고 솔직하게 말하는 이슬아. 재택근무자로서 아침 일찍 일어나 청소하고 운동하고 책을 읽고 낮잠을 잔다고 한다. 자신의 책에 추천사를 써주는 금정연에게 원고를 받기도 전에 원고료를 입금해서 금정연으로 하여금 지금까지 자신의 일에 대한 통찰과 반성을 하게 했단다. 그래서일까. 금정연의 추천사는 훌륭하다. 왜 그런지는 직접 읽어보시길.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고 아낄 줄 안다는 충만한 느낌을 『심신 단련』으로부터 받았다. 모든 글의 핵심은 쓰는 나를 어떻게 통제하고 관리할 것인가로 나온다. 수필로 소통되는 이슬아의 글이지만 그 안에는 다양한 이슬아의 이야기가 있다. 그중에서 매일 한 편의 글을 써야 한다가 아닌 쓴다는 마음으로 책상을 향해 걸어가는 이슬아를 응원한다. 괜찮은 척하는 나가 아닌 괜찮은 나를 발견하게 해주는 책을 읽는 일은 소중하다. 『심신 단련』이 그걸 가능하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