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언니에게 소설Q
최진영 지음 / 창비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진영은 특별한 소설을 썼다. 오랫동안 하고 싶었을 이야기였을 것이다. 짧은 분량의 소설이지만 한 문장 한 문장을 써 내려갔을 시간은 길고도 험난했음을 짐작하고도 남을 이야기. 『이제야 언니에게』는 그런 소설이었다. 2008년 7월 14일을 매일 살게 되는 제야의 시간을 들려주느라 소설가의 손끝과 마음이 닳아 없어졌겠다. 제야가 그날 겪은 일은 상상만 해도 가슴이 무너져 내린다.

소설의 주인공 제야는 매일 일기를 쓴다. '하루를 묻는 시간, 가만히 앉아서 글자에 일상을 가두는 시간이' 제야에게는 필요했다. 지친 하루를 마감하고 다시 내일을 살 수 있는 의식으로 일기를 쓴다. 잊지 않기 위해서 혹은 잊기 위해서. 쓰는 행위는 잊고 싶음과 잊지 않고 싶음 사이의 갈등 행위로 이루어진다. 왜 쓰는가를 물어온다면 단박에 말을 하지 못하는 이유이다.

최진영이 친족 성폭행이라는 주제로 소설을 쓸 때 그는 수없이 자신에게 질문을 던졌을 것이다. 나는 왜 쓰는가. 왜 이 이야기를 쓰려고 하는가. 『이제야 언니에게』는 꼭 해야만 하는 이야기라고 세상에 알려야 하는 일들이 있다고 말하는 소설이다. 제야는 어린 시절부터 알게 된 당숙에게 성폭행을 당한다. 당숙은 친절하고 다정한 어른으로 제야와 가족에게 다가온다. 제야의 아버지는 당숙 밑에서 일하며 월급을 받는다. 평소 학교에 갈 때 태워주고 시내에서 만나면 용돈을 주기도 한 어른이었다.

일이 벌어지고 제야는 두려움에 엄마에게 알린다. 그가 이 일을 말하지 말라고 하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일이 반복될 것을 암시했기 때문이다. 엄마는 두 사람만 알고 있자고 한다. 제야는 산부인과와 경찰서를 찾는다. 그곳에서 제야는 지옥을 경험한다. 경찰은 성폭행 피해자 다움이 없다고 했고 당숙은 합의하에 관계를 맺었다고 말한다. 좁은 도시에서 소문은 퍼져 나갔고 제야는 피해를 입었음에도 외면과 냉대를 받는다.

끊임없이 그날을 생각하며 자신이 혹시 잘못을 했나 되뇐다. 만약이라는 가정으로 시작되는 문장을 완성하는 동안 제야의 정신은 파괴된다. 제야를 향한 주위의 시선이 제야를 그렇게 만들어 간다. 네 잘못이야, 네가 조심하지 않아서 그런 거야. 소설은 제야가 쓰는 일기와 제야를 바라보는 시점으로 번갈아 쓰인다. 제야가 자신을 바라보는 시점과 제야를 관찰하는 시점. 소설의 제목은 중의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제야라는 이름을 가진 언니에게 쓰는 편지로 그때는 말하지 못하고 이제야 언니에게 언니는 잘못이 없음을 해주려는 위로로 읽힌다.

아픈 소설이고 힘든 소설이다. 미치지 않으려고 자신을 그날로 돌아가게 한다. 인간은 착하고 나쁘다는 이분법으로 정의 내릴 수 없다. 그럴만한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럴만한 사람이 아닌 그저 인간이기 때문에 악행은 일어난다. 악마의 모습을 본 적이 있는가. 천사의 얼굴은? 유리한 쪽으로 상황을 몰고 가기 위해 악마와 천사의 가면을 번갈아 쓰는 인간을 우리는 보고 있다. 시간만 우리 편이다. 공평하게 흘러가서 미래로 데려다 놓는다. 제야의 시간은 2008년 7월 14일을 벗어난다.

이제야의 시간은 깊은 고뇌와 자기 번민, 규정된 세계의 성찰을 통해 2017년 12월 31일까지 당도한다. 『이제야 언니에게』는 섣부른 용서와 화해를 이야기하지 않는다. 자신을 미워하고 쉽게 타협하려 했던 나를 용서하는 과정을 그린다. 그날에 갇혀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만든 건 나 자신이었음을 깨닫고 제야는 탈출한다. 하늘에 무수히 반짝이는 별을 보고 만 이천 년 뒤에 바뀔 북극성의 미래를 짐작하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