캉탕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17
이승우 지음 / 현대문학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승우의 소설 『캉탕』 속 캉탕이 실제 존재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곳은 대서양에 닿아 있는 작은 항구 도시로 지도에도 잘 나와 있지 않은 곳이라고 책에 나온다. 이명에 시달리는 한중수를 위해 그의 친구 J는 자신의 외삼촌이 있는 캉탕으로 갈 것을 주문한다. 걷고 보고 쓰라는 말과 함께. 한국에서의 보장된 내일을 일시 정지한 채 한중수는 캉탕으로 간다. 일주일의 축제를 빼면 조용한 항구 도시인 그곳으로.

캉탕에는 『모비딕』을 동경해 선원이 된 J의 외삼촌이 살고 있다. 그는 항해 끝에 내린 그곳에서 나야라는 여자를 만나 정착한다. 술집과 여관을 겸하는 식당을 열고서. 한국의 음식 생선 조림과 보쌈을 메뉴로 내놓고서. 한중수는 그가 자신이 들었던 그가 맞는지 의심한다. J의 이야기 속 그는 활달하고 기운 넘치는 사람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그는 삶을 포기한듯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하루에 한 번 그의 아내 나야가 있는 병원으로 가는 것을 제외하면 어두운 방 안에서 웅크린 채로.

소설은 한중수가 캉탕에서 만난 사람들 그곳에서 핍-이라고 불리는 J의 외삼촌-과 선교사인 타나엘, 피쿼드의 일등 항해사를 중심으로 한중수가 써 내려가는 일기인지 기도인지 모를 글로 이루어진다. 한중수가 겪는 서사와 한중수가 바라보는 서사가 있다. 그의 귀에 들리는 난폭한 세이렌의 노래로 형상화된 이명의 근원을 찾아가는 것이 『캉탕』의 목표이다. 과거를 생략하고 현재로 도착한 이들이 겪는 불안과 고통을 그린다.

걷고 보고 쓰라는 주문은 소설에서는 중요한 소재로 쓰인다. 한중수는 캉탕에서 오로지 걷고 보고 쓰는 것 이외에는 다른 일을 하지 않는다. 걷다가 본 것들을 쓴다. 쓰는 행위는 단순히 언어로 표현하는 것만을 말하지 않는다. 말하여 지는 것에 말할 수 있는 것도 쓰는 행위가 된다. 『캉탕』의 인물들은 말할 수 없어 고통스러운 자들이다. 그들은 과거를 묻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 과거가 없는 것처럼 행동했지만 현재까지 따라온 과거에 의해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 죽거나 아프거나.

생의 절벽에 가닿은 자들이 '캉탕'의 바다로 모였다. 더 살고 싶은 욕망이 아닌 그저 고통 없이 이 삶을 끝내고 싶은 간절함으로. 이곳의 기도는 캉탕의 세계로 닿을 수 있을까. 쓴다는 것은 산다는 것으로 바꿀 수 있을까. 쓰지 못한다면 말할 수 있는 자로 살아가야 한다. 세계는 걷고 보고 쓰는 행위로 이루어진다. 한중수가 잊고자 했던 과거는 우리가 지우고 싶어 했던 얼룩이었다. 과거를 기억하고 현재를 살아갈 것. 미래는 그렇기에 찾아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