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 사람의 속마음 비채×마스다 미리 컬렉션 2
마스다 미리 지음, 홍은주 옮김 / 비채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오사카에 다녀왔다. 진짜? 아니, 책으로. 마스다 미리의 『오사카 사람의 속마음』을 읽음으로써 방구석 여행지 한 군데가 추가되었다. 검색해보니 도쿄와 더불어 일본의 2대 교통 중심지란다. 마스다 미리는 자신의 고향 오사카에 대한 이야기를 이 책에 그리운 마음으로 적어 내려갔다. 그림과 에세이가 반반씩 섞여 있다. 책이 오자마자 바로 읽어버렸다. 스물여섯에 꿈을 품고 마스다 미리는 고향인 오사카를 떠나 도쿄로 갔다. 사투리 대신 표준어를 쓰면서 도쿄 생활에 적응해 갔다.

낯선 곳에서 살 수 있었던 것은 고향에 남겨두고 온 기억과 향기, 사람들의 정겨운 말투였으리라. 특별하게 다를 것이 없어도 고향은 고향. 엄마가 즐겨보는 희극 프로그램을 함께 보고 다코야키 기계가 집에 한 대씩 있는 오사카만의 정취를 불러낸다. 말투와 생활 습관의 차이를 아기자기하게 책에 담아냈다. 제3자의 객관적인 시선까지는 아니지만 이제는 도쿄에서 산 시간이 많은 사람의 눈으로 고향의 풍경을 떠올려 보는 것이다. 가위바위보를 부르는 명칭과 편 가를 때 부르는 노래도 다르다는 걸 알게 되면서 느낀 문화 충격까지, 소소한 발견의 기쁨이 『오사카 사람의 속마음』에 들어 있다.

편안하고 따듯한 마음으로 쓰인 글은 오사카 사람들의 푸근함이 국경을 넘어 이곳까지도 전해지는 것이다. 상점의 주인들은 환대로 손님을 맞이하고 아이에게도 다정한 말이 일상이 되는 곳. 이상하고 다르다는 시선이 아닌 고향 오사카가 가지고 있는 특별함을 마스다 미리는 기쁘게 내어 놓는다. 수도로 올라가면 받게 되는 낯선 시선 중에 하나는 말이다. 억양과 쓰는 어휘가 조금씩 다른 것이다.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주눅이 들어 어색한 표준어를 쓰게 된다는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있었다.

사투리부터 고친다. 사투리는 병이 아닌데 고친다고 표현하는 것 자체가 우습다. 완벽한 표준어를 구사하면서 고향의 말을 기억에서 잃어간다. 『오사카 사람의 속마음』은 오사카에 살았던 시절에 쓴 말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요즘은 이런 말을 안 쓰는가 하는 이야기부터 오사카 말의 높낮이를 음계로 표현해 보기도 한다. 음식의 맛이 그저 그래도 점원이 붙임성 있게 굴면 일단 합격이라는 오사카만의 기준도 정답기만 하다. 방송을 보다 살고 있는 지역의 말이 들리면 반갑다. 다른 지역의 말도 나오면 귀를 쫑긋한다. 별 이야기도 아닌데 사투리로 말하면 현장감이 더해져 실감 나는 것이다.

말투에 대한 기억 하나. 대학 졸업하고 처음 일하던 곳의 사람은 내가 말할 때마다 인상을 썼다. 사투리를 심하게 쓴다는 이유였다. 그러거나 말거나 열심히 떠들어 댔다. 별 걸 다 트집을 잡네 하고 생각하면 괜찮아지는 것이었다. 엄마, 여탕, 오사카의 이야기를 써 보고 싶다는 마스다 미리의 바람은 전부 이루어졌다. 짝짝짝. 박수를 보낸다. 국내에 전부 번역되어 있어서 읽어볼 수 있었다. 『엄마라는 여자』, 『여탕 이야기』, 『오사카 사람의 속마음』인 전부 이응인 제목의 이야기. 쓰고 싶은 걸 쓴다는 건 행복한 내일로 가는 버스 같은 것이라고 도톤보리에서 생각해보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