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살아서 가야 한다
정명섭 지음 / 교유서가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운명을 바꿀 수 있는 순간이 찾아온다면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정명섭의 『살아서 가야 한다』는 이와 같은 질문을 던지는 소설이다. 생의 변곡점을 지나는 당신에게 주어진 선택지는 단 두 개, 죽거나 혹은 살아나가거나. 죽을 수 없다면 살아야 할 것이지만 이 또한 쉽게 선택할 수 없었다. 『살아서 가야 한다』는 한 날 한 시에 태어난 두 남자의 절체절명의 순간을 그린다. 소설의 제목에서 느껴지는 비장미는 그들이 여기가 아닌 그곳으로 가고 싶은 심정을 절절하게 표현한다.

조선은 왜란 때 군사를 보내준 명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었다. 당시 북방의 정세는 누르하치가 거느린 여진족이 신흥 세력으로 급부상하고 있었다. 명의 기운은 쇠하고 있었지만 조선은 용이하게 태세를 바꿀 수 없었다. 조정의 무리들이 사대부의 나라로서 명에 충성할 것을 강조했고 도덕성과 명분의 결여는 왕의 입지를 위태롭게 했다. 결국 왕은 출병 요구를 내렸고 조선은 군사를 모으기 시작했다. 노비종모법에 따라 황천도 역시 태어나자마자 노비 신분이 되었다. 모시는 주인의 아들이 병사가 되어야 했지만 밭 열 마지기를 준다는 말에 아버지 황음치는 황천도를 대신 전장에 보내기로 했다.

출세와 문벌에 눈이 먼 아버지 강철견의 뜻에 반할 수 없어 강은태 역시 후금을 치러 조명연합군에 합류하게 된다. 전쟁이 아니라면 만날 수 없는 두 남자가 만난다. 전장에서 양반과 노비라는 신분은 모래 먼지보다 못한 무의미한 것이 되어 버린다. 법도와 예를 따져가며 화살과 총이 날아오는 것이 아니다. 승리한 자들의 입맛에 맞게 기술한 역사대로라면 광해는 폭군이고 서인의 반정으로 폐위된 왕이었다. 사관의 역사가 아닌 객관의 관점대로라면 광해는 능란한 외교술을 가진 왕이었다. 강홍립에게 밀지를 보내 적당한 때에 후금에게 어쩔 수 없이 명의 요구로 출정해 왔노라 중립의 뜻을 밝히라고 했다.

『살아서 가야 한다』는 역사에 허구를 첨가한다. 부차 전투라고 알려진 그곳 땅으로 양반 강은태와 노비 황천도를 급파한다. 평소라면 한 공간에 마주하지도 못한 양반과 노비는 포로이자 친구가 되어 북방의 땅에서 살아가는 운명을 마주하는 것이다. 후금에 투항해 명분과 실리를 챙긴 조선은 군사들을 전부 데려가지 않았다. 낯선 땅에 그들은 남겨졌다. 조선인 포로는 가혹하게 대하지 말라고 했지만 그들의 주인은 혹독한 노동을 시킨다. 포로의 삶으로 이십 년을 살면서 황천도와 강은태는 신분을 초월하는 우정을 만들어 간다. 임금이 바뀌고 조선에서 돈을 주고 포로를 데리고 가는 속환사가 오면서 그들 앞에는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운명의 소용돌이가 펼쳐진다.

소설은 실제 역사와 가공의 사건이 만나면서 독자를 이야기 세계 속으로 데리고 들어간다. 이야기는 한 인간의 운명이란 그렇다는 것을 의미하듯 꼬일 대로 꼬여서 긴장을 놓칠 수 없도록 치밀하게 설계되었다. 사건이 끝났다고 안심하면 안 된다. 소설은 갈등의 서사라는 것을 명징하게 『살아서 가야 한다』는 보여준다. 강은태와 황천도의 앞날은 예측 불가로 저 유명한 야구 선수 요기 베라의 말처럼 소설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 상태로 놓인다. 소설가를 꿈꾸는 자라면 『살아서 가야 한다』를 꼭 읽었으면 좋겠다. 소설의 결말이란 이렇게 써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살아서 돌아왔으나 죽은 것이나 다름없는 역설을 그리며 인간애란 결국 자기애에 불과한 것임을 소설은 긴박한 구성과 이야기로 우리의 가슴속을 뜨겁게 달구어 놓는다. 역사라는 거대한 사실 뒤에 숨겨진 인간의 이야기를 찾아 헤매는 소설가의 집념이 오늘의 우리가 살아가야 할 이유를 만들어 준다. 오늘을 살았으니 내일도 살아서 가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