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맨션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남주의 신작 장편 소설 『사하맨션』은 이야기로 가득한 소설이다. 맨션의 각 호수와 인물의 이름이 차례로 등장하면서 이야기는 펼쳐진다. 국가의 역할이 사라진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쉽게 좌절하고 절망한다. 원래 어촌인 곳이었다. 경기가 나빠지자 지자체는 한 기업과 협력을 맺었다. 기업이 도시를 잠식해 들어갔다. 파산 신청을 했고 기업은 재빠르게 사람들을 분류하기 시작한다. 타운으로 불리기 시작한 그곳은 주민권을 가진 사람과 가지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어느 쪽도 될 수 없는 사람들이 사하맨션으로 몰려 들어왔다.

『사하맨션』은 어느 먼 미래의 도시 국가를 배경으로 설정하고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어느 먼 미래라고 하지만 우리는 그 미래란 지금이 될 수도 있음을 알고 있다. 국가가 아닌 기업이 도시를 사서 경영하는 곧 찾아올지도 모를 오늘. 신분 간의 장벽이 다시 세워지고 타운이라 불리는 그곳에서 어느 쪽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사람들은 사하맨션에서 살아간다. 타운은 어쩐 일인지 주민도 아닌 그들이 사하맨션에 모여 사는 것을 방관한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총리단으로 구성된 타운의 행정은 불합리하고 폭력적이기까지 하다.

전기와 수도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사하맨션에 사는 사람들의 과거와 오늘을 반복해서 들려준다. 그곳에 모이기까지 그들은 삶의 작은 희망조차 얻지 못했다. 가난과 질병에서 자유롭지 못했고 가족의 불행을 떠안고 도망치듯 타운의 어둠 속에 서 있는 사하맨션으로 와야 했다. 맨션에 사는 사람들은 도망 온 사람들을 내치지 않았다. 주민 회의를 하긴 했지만 그들은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아이를 밴 여자가 찾아오면 출산을 도와주고 아이가 버려져 있으면 데려와 키웠다. 버림받은 기억을 안고 살아가고 있기에 연대가 가능했다.

『82년생 김지영』을 통해 여성의 문제를 사회화 시킨 조남주는 『사하맨션』에서는 인간의 문제를 다룬다. 국가가 포기한 행정, 자치, 보건, 의료, 복지의 사각지대에 살아가는 사하들의 현재를 통해 인간의 존엄이란 무엇인가를 묻는다. 인간을 주민과 주민 아닌 사람으로 나누고 법은 형식상 있는 타운. 누가 결정권을 가지고 타운을 지배하는지 사람들은 알지 못한 채 전전긍긍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다. 단 한 번 항의를 하며 집회를 한 적이 있지만 실패에 이르렀고 그 기억 때문에 이제는 누구도 의문을 갖지 않는다.

『사하맨션』은 타운의 정체를 전부 드러내지 않는다. 총리단은 어떤 사람들이며 실질적인 타운의 운영자는 누구이며 우미가 받고 있는 실험은 무엇을 위한 것인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는다. 밝히지 않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상상하는 그것이 맞기 때문에 암시와 상징으로 놔둘 뿐이다. 인간답게 살고 싶은 사람들의 이야기 『사하맨션』은 우리가 왜 함께 해야 하는지 이유가 담긴 소설이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사하맨션의 7층에 사는 진경과 도경의 힘겨움을 관리인은 계단을 올라가며 비로소 느낀다.

상상과 추측으로 타인을 동정하고 연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소설은 말하고 있다. 체험이나 코스프레도 안된다. 고통의 순간을 함께 경험할 때 타운은 무너질 수 있다. 가능성이란 언제나 별것 아닌 나비의 날갯짓으로 시작된다. 사하맨션에 살아가는 사람들은 한 번씩 무너진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들이 연대하는 순간에 찾아온 나비는 인간이란 원래의 자리가 아닌 늘 새로운 곳으로 향해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사하들은 살아가고 있다. 주민권도 체류권도 갖지 못한 그들은 안주하는 것이 아닌 더 나은 세상으로 가는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