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애하고, 친애하는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11
백수린 지음 / 현대문학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러니 내가 그때 할머니의 상태를 조금도 눈치채지 못한 것이 그렇게 큰 잘못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을 만큼의 나이를 먹었다. 하지만 어쩌다 출퇴근 시간의 지하철역에서 환승하기 위해 계단을 바삐 올라가는 수없이 많은 이들의 뒤통수를 보거나 8차선 도로의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신호가 바뀌어 내 쪽을 향해 걸어오는 인파를 보다가 가끔씩, 나는 지구상의 이토록 많은 사람 중 누구도 충분히 사랑할 줄 모르는 인간인 것은 아닌가 하는 공포에 사로잡힐 때가 있다. 우리가 타인을 사랑한다고 말할 때, 그것은 대체 어떤 의미인 것일까?
(백수린, 『친애하고, 친애하는』中에서)

백수린의 소설 『친애하고, 친애하는』에서 나는 저 부분을 읽으며 감동받았다. 소설은 병에 걸린 할머니와 두 계절을 보내는 '나'의 시점으로 흘러간다. 기계공학을 전공하지만 갈 길을 잃어버린 듯한 느낌에 휴학을 하고 집에 있을 때였다. 지방 대학에서 교수로 있는 엄마의 전화로 '나'는 할머니 집으로 들어가게 된다. 소설은 할머니와 엄마, 나라는 여성의 서사를 보여준다. 누구라도 짐작할 수 있겠지만 한 집안의 여성들의 삶은 녹록하지 않았다. 꿈의 좌절과 빈번한 남성과의 갈등이 있었다. 그렇지만 『친애하고, 친애하는』은 다른 태도를 취한다.

소설은 할머니와 엄마의 인생의 공통점을 보여주면서 그 안에 담긴 한 인간으로서 가진 꿋꿋한 삶의 신념을 말한다. 여성과 남성이라는 삶의 대결을 클리셰로 사용하지 않는다. 할머니의 남편인 할아버지와 엄마의 남편인 아버지는 한국 사회의 전형적인 남성상으로 그려지지만 그것을 이용해 그녀들의 삶이 고통스러웠다고 말하지 않는다.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말할 때 그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질문하는 소설이다. 할머니의 병을 모른 채 함께 지냈던 두 계절의 기억을 반추하면서 '나'의 서사는 시작된다.

세계의 어느 시간에서는 죽음과 탄생이 동시에 다발적으로 일어난다. 할머니가 죽어가는 시점에 '나'의 뱃속에 아이가 생긴 것은 죽음과 삶이 특별한 것이 아님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이다. 『친애하고, 친애하는』에서 할머니와 엄마가 '나'를 대하는 태도는 기존의 여성들을 다룬 서사에서 그려진 것과는 다르다. 그녀들의 삶은 갈등과 고통을 감내해야 했지만 다른 이에게 책임을 전가하지 않고 상처를 주지 않는 것으로 자신들의 서사를 완성해 간다. 대학교수로서 살아가는 엄마는 미묘한 뉘앙스의 말로 나의 우유부단한 가치관을 비판하지만 '나'는 그럼에도 사랑이라는 불완전함에 기댄다. '나'는 상처 받지만 사랑과 친애의 감정으로 극복해 나간다.

장황한 이야기로 독자를 압도하지 않는다. 기억에서 출발한 이야기는 그리움과 추억을 지나 회한이라는 결말로 나아간다. 문장은 평이하고 소설의 분위기는 따뜻하다. 『친애하고, 친애하는』은 사랑보다 더 애틋한 친애하는 마음으로 살아가기를 바라며 쓰였을 소설이다. 우리들의 삶은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닌 내일로 향해갈 것임을 믿는다. 모두 죽지만 그전에 우리는 삶을 사는 자들이었음을 생각하면 슬프지 않다. '나'가 할머니의 병을 몰랐다고 하더라도 자책이 아닌 기억과 추억을 반복하며 생을 살아가면 되는 것이다.

할머니의 삶을 친애하고 엄마의 오늘을 친애하는 '나'의 내일은 찬란할 것임을 믿는다.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말하는 것은 그 사람의 삶을 긍정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우리는 서로를 믿어주기 위해 살아간다. 소설 속 엄마는 결코 다정한 사람은 아니었지만 지금의 '나'를 믿기 위한 최선의 몸짓을 보여준다. 그것이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