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의 꽃 - 2019년 50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최수철 지음 / 작가정신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수철의 『독의 꽃』은 한 번 읽으면 멈출 수 없는 소설이다. 곰팡이 낀 음식을 먹고 식중독 증세를 보인 '나'는 병원 입원실에서 기이한 환자 '조몽구'와 만나게 된다. 온몸에 발진과 진물이 흐르는 상태에서 의식을 잃은 조몽구는 밤이 되면 깨어나 세헤라자데처럼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한다. 곰팡이 독과 싸우면서 나는 조몽구의 인생 이야기를 기록으로 재구성한다. 소설은 독으로 시작해서 독으로 끝난다. 결코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조몽구의 이야기는 소설 속 나를 넘어 우리에게까지 전해지며 아득한 슬픔으로 끌고 간다.

소설에서도 나오지만 사람을 죽이는 독살의 유형 중 가장 끔찍한 것은 책장에 독을 묻히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야기를 탐닉하는 자들에게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독의 꽃』은 소설가 자신이 우리를 이야기의 심연으로 추락시키기 위해 책의 한 장 한 장에 독을 발라 놓았다. 절대 멈출 수가 없는 방식으로 말이다. 조몽구의 태생은 원치 않는 임신의 결과였다. 그로 인해 어머니의 뱃속에서부터 세상에의 거부라는 독과 싸워야 했다. 비염과 알레르기 증세, 두통은 조몽구를 안전한 유년의 세계에서 멀어지도록 만들었다.

『독의 꽃』에서 끊임없이 발화되는 독은 상징과 은유를 뛰어넘는다. 인간에게 독은 필수 불가결한 존재이다. 『독의 꽃』은 생명을 유지하고자 독을 탐닉하는 자와 독을 멀리하는 자의 대결을 보여준다. 소설은 죽음을 앞둔 한 인간의 인생 전체를 복습하는 자리에 우리 모두를 불러 놓고 한바탕 굿을 펼친다. 이야기에 중독 당한 우리는 끝이 난 소설 앞에서 다시 처음부터 이야기의 시작이라는 문장을 만나면서 혼란에 빠진다. 알 수 없는 독의 병증으로 아픔을 호소하는 조몽구의 삶은 우리의 모습이었음을 깨닫는다.

아름다움과 추함, 어둠과 빛, 선과 악은 독과 약의 존재를 말하기 위해서 내놓는 『독의 꽃』의 대립어이다. 조몽구를 둘러싼 세계에는 중간이 없었다. 그는 늘 아픔과 치유라는 극단의 선택에서 머물러야 했다. 소설은 방대한 분량에도 불구하고 읽을 수밖에 없는 추리와 진술의 기법으로 쓰였다. 지루할 틈이 없이 펼쳐지는 사건 속에서 살고자 하는 한 인간의 처절함을 긴박한 서술로 그렸다. 독에서 피어나는 것은 죽음이 아니라 꽃이었다. 그것은 한순간 피어나 사라질지언정 모두가 간절히 바란 구원의 상징인 것이다.

독에서 태어나 독으로 죽는 인간은 절대 나약한 존재가 아니다. 인간은 자신이 가진 독의 모습을 드러내느냐 숨기느냐를 선택할 수 있는 주체적인 존재인 것이다. 출생을 선택할 수 없었지만 삶의 모습은 바꿀 수 있다. 어떻게 살아가느냐. 『독의 꽃』은 묻는다. 사랑이 있었나. 독에서 피어난 사랑을 가지고 죽음으로 회귀하는 인간을 만나기 위해 우리는 치명적인 『독의 꽃』의 다음 장을 넘겨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