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미숙 창비만화도서관 2
정원 지음 / 창비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의 미숙』의 추천사를 쓴 황정은 소설가의 말대로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속상했다. 이런 일도 있구나가 아닌 이런 일이 있었지 하는 마음 때문에 울고 싶었다. 미숙이 중고등학교를 다녔던 시간은 내가 보낸 그 시절과 맞닿아 있다. 같은 시절을 보낸 미숙의 이야기는 잊었으나 결코 잊지 못할 것 같은 과거를 불러온다. 장미숙이라는 이름 때문에 미숙아라고 불리는 미숙의 가난한 하루들을 천천히 넘긴다. 여분의 교복이 없어 하루 입고 모기향 피우는 방에 말리고 꿈보다는 현실을 먼저 생각하는 미숙.

미숙의 아버지는 시인이고 엄마는 식당 일을 한다. 첫 시집을 낸 아버지는 이후의 일이 풀리지 않는다. 그 화풀이를 엄마에게 한다. 비교 대상이 없어 김재이를 만나기 전까지는 자신이 가난한지도 몰랐던 미숙이었다. 학교에서도 아무도 자신에게 살갑게 말 걸어주는 친구가 없었다. 글을 잘 쓰고 공부도 곧잘 해 반장까지 하고 있지만 계산 빠른 아이들은 미숙이와 친하게 지내지 않는다. 미숙아라고 불리는 게 죽도록 싫다. 영악한 애들은 이름을 가지고 미숙이의 정체성을 만들려 한다. 『올해의 미숙』은 대사가 많지 않은 만화다. 미숙이가 느끼는 감정을 표정과 행동으로 추측해야 한다.

상황을 주고 인물이 느끼는 감정을 따라가다 보면 마주하는 불쾌함과 절망감이 『올해의 미숙』을 끌고 가는 서사로 작용한다. 미숙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한 이야기는 어른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미숙아라고 불리는 교실에서 새로 전학 온 김재이를 만나고 그들만의 우주를 꾸려간다. 그러다 헤어지고 고등학교 때 다시 만난다. 『올해의 미숙』은 한 번쯤 경험했을 좌절의 순간을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만남과 이별. 아픔과 치유. 희망과 절망. 반의 관계의 단어들로 『올해의 미숙』은 꾸려진다. 미숙이 끝내 절망하지 않고 새로운 길을 걸어가는 것으로 끝이 난다.

다정하게 이름이 불려본 적 없는 미숙이 세상을 향해 건네는 건 반항이 아닌 화해의 악수다. 비뚤어지지 않으며 자신을 지켜나가는 미숙의 용기를 칭찬해 주고 싶다. 환경 탓을 하지 않는다. 나약한 얼굴로 살아가지 않는다. 미숙은 올해도 지지 않고 자신을 파괴하려 달려드는 생의 불우함에 맞선다. 어떤 사람은 『올해의 미숙』이 어둡게 느껴질 것이다. 또래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름 때문에 만들어진 별명으로 불리는 미숙이의 하루가 답답해 보일 수도 있다. 미숙은 욕망하는 법보다 체념을 먼저 배우고 먼저 다가가지 못하고 내내 눈치를 본다.

그런 미숙의 모습에서 예전의 자신을 발견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나처럼. 만화의 공간적 배경이 익숙하고 교실에 감도는 은따의 분위기를 안다. 누군가 손을 먼저 내밀어 주길 바라지만 막상 친해지기 겁이 나서 한발 물러섰다. 특별한 사건도 활발하고 명랑한 인물도 없는 만화를 끝까지 읽게 만드는 『올해의 미숙』의 힘은 부끄러워서 숨겨 놓은 일기장을 다시 꺼내 읽는 듯한 익숙함이다. 누군가의 과거와 현재는 나의 미래가 될 수 있음을 『올해의 미숙』은 보여준다. 미숙과 절미가 걸어가는 길 위로 응원의 구호를 외친다. 장미숙 힘내. 나도 힘낼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