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보다 : 가을 2018 소설 보다
박상영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소설 보다: 가을 2018』에는 세 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각기 다른 작가가 쓴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소설을 관통하는 주제의 흐름은 비슷하다. 가을 편으로 나온 소설집이지만 겨울이 들어서는 길목에 서서 읽는다. 벽에 등을 기대고 이불을 꼭꼭 덮고 바람이 내 쪽으로는 침범하지 못하게 완전 무장을 하고서. 소설을 읽는 밤은 졸음 끝에 아침으로 이어진다. 그 많던 책갈피는 보이지 않고 나는 어디까지 읽었나 페이지 수를 외우며 잠이 든다. 아침에 눈을 떠서 어제 외워 두었던 페이지를 펼쳐 다시 소설을 읽는다. 소설을 읽는다는 건 지나간 환상의 자리를 더듬는 것이고 과거로서 영영 탈출했음을 확인받는 작업이다. 나는 살아남았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소설을 읽는다. 


  박상영의 소설 「재희」를 나는 재회로 읽었다. 희와 회는 아주 비슷한 글자이고 그것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재희나 재회로 읽어도 무방할 여러모로 뜻이 통하는 단어이므로. 「재희」는 '나'와 대학 시절을 같이 보낸 여자친구의 이름이다. '나'는 게이로 아무 남자나 만나 사랑에 빠지는 이른바 금사빠로서 학과에 소문이 어찌나든 신경 쓰지 않는 쿨한 인물이다. 학과에서 겉돌기는 재희나 나나 비슷한 처지여서 그런 자들은 서로를 쉽게 알아봐 친해지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세상의 이목에 관심이 없는 것도 비슷해서 그들은 동거 비슷한 걸 하면서 생활을 유지한다. 남들 눈에는 이상하게 보이지만 그들은 이해도 합의도 없이 그런 생활을 받아들이며 살아간다. 시간은 많은 것을 변하게 한다. 재희는 결혼을 한다. 재희의 결혼식장에서 분위기 깨는 축가를 부르고 돌아온 밤 한 시절이 지나갔음을 뼈저리게 느낀다. 


  「우리들」은 다행히 우리들로 정확히 읽었다. 우리들은 오해할 소지가 없는 단어이므로. 예전에도 느꼈지만 정영수의 문체는 과하게 단정하다. 소설 중간중간 일부러 힘을 빼는 듯한 문장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가 구사하는 문체는 단추를 목 끝까지 채워 올려 보는 이를 긴장 시키게 만드는 단정함이 있다. 자신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다는 연인 정은과 현수를 만나면서 일어나는 일을 시종일관 조용하고 느리게 회상하는 소설 「우리들」에서 나는 상실 이후의 애틋함과 만난다. 우리는 모두 헤어지기 위해 사랑하고 싸우고 웃는 존재들임을 소설을 통해 깨닫는다. 나와 네가 만나 우리들이라고 부를 수 있기까지의 느린 서사를 보여주는데 우리의 시간이라는 게 거창하게 회자정리라는 말을 끌고 들어오지 않아도 만난 사람과는 반드시 헤어진다는 것으로 결말이 나 있기 마련이다. 


  최은영의 「몫」은 이제는 아무도 쓰지 않을 것 같은 90년대 후일담의 풍경 한자락을 보여준다. 대학교 편집부에서 만난 세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그 시대를 살아왔던 이들에게는 향수를 모르고 살아간 사람들에게는 그렇게들 살았구나 하는 느낌을 갖게 만든다.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한 사람의 '몫'을 차지하고 살아갈 사람들인데 자주 부서지고 왜곡 당하고 나중에는 쓸쓸한 죽음을 맞이한다, 「몫」의 인물들은. 사랑이라고 우정이라고 인간에 대한 연민이라고 부를 수 있는 감정을 숨기며 과거를 통과한 인물들은 오늘에 와서야 상처를 실감한다. 


  『소설 보다: 가을 2018』에 실린 세 편의 소설은 지나간 시절을 잊지 않고 현재라는 시간으로 데려온다. 소설은 과거를 잊을 수 없는 사람에 의해서 완성된다. 무심히 흘려 버리고 말 시간이 아님을 아는 자들이 쓴다. 대학에서 만난 '재희'와 한 번 더 재회할 수는 없지만 그녀와 함께 했던 시간을 불러올 수는 있다. 현재의 사랑에 대해서 쓰려는 연인들이 '나'의 곁을 떠나자 지독한 외로움을 느끼기도 하며 그 시절 우리는 각자에게 주어진 자리에서 한 사람의 '몫'을 해낼 수 있었지만 그러지 못했음을 깨닫는 것이다. 가을이 보낸 추억이라는 상자에 담긴 소설 세 편을 읽는 시간에 나의 불안함과 어두운 마음 역시 과거가 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