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처럼 문지 스펙트럼
다니엘 페낙 지음, 이정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어책을 받으면 화장실로 달려갔다. 쪼그리고 앉아서 이야기 부분만 찾아서 골라 읽었다. 다리가 저릴 때까지. 텅 빈 고요를 느끼며 활자를 읽어나가는 시간이 아니었다면 지금의 삶은 심심하고 막막했을 것이다. 화장실 한편에 책의 자리를 마련한 적이 있었다. 얇고 가벼운 책으로. 그 안에 든 내용 역시 심각하지 않고 발랄한 이야기로 채워진 책으로. 한 면에 이야기 하나씩. 화장실 독서는 그 후로도 계속되었다. 책과 물은 상극이라 책은 이내 우글거리고 구겨졌다. 물기에 젖은 종이를 넘기는 기분 역시 괜찮다. 글자가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한다. 화장실 안에서 살고 있는 책의 운명은.


언제 책을 읽을 것인가?

이건 중차대한 사안일 뿐만 아니라,

누구나 떠안고 있는 만인의 고민이기도 하다. 

책 읽을 시간이 고민이라면 그만큼 책을 읽을 마음이 없다는 말이다. 따지고 보면 책 읽을 시간이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아이들도, 학생들도, 어른들도. 다들 살아가는 일에 치여 책 읽을 짬이 없다. 생활은 독서를 가로막는 끝없는 장애물이다. 

(다니엘 페나크, 『소설처럼』中에서)


  다니엘 페나크의 에세이 『소설처럼』은 우리가 문학이라는 열병에 빠지게 된 순간으로 데리고 간다. 문학을 사랑하고 끊임없이 생각하고 갈구해 마지않던 최초의 시간으로 말이다. 언제 처음 책을 읽기 시작했는가라는 물음에 답을 하는 과정인 『소설처럼』을 읽고 나면 책상에 앉아 글자에 눈을 박고 있던 어린 우리의 뒷모습이 떠오른다. 책 읽기가 즐거워지는 순간에서 부모 혹은 어른의 강압에 의해 주입식으로 책을 읽었던 과정을 지나 오로지 책이 주는 환희에 젖는 흐름을 이야기한다. 


  글자를 모르던 아이에게 부모는 책을 읽어주는 것으로 세상과의 연결을 시도한다. 아이는 부모의 목소리에 의지에 세상에 존재하는 사랑과 우정, 배신, 괴물의 출현, 영웅의 모험담을 접한다. 하루 15분. 부모와 아이는 온기를 주고받으며 목소리에서 목소리로 이어지는 다정함을 교감한다. 그러다 아이가 글을 읽기 시작하면 부모는 잠시 떨어진다. 책을 사주고 추천해준다. 읽고 나서 책의 내용을 질문하고 다음 책을 읽으라고 말한다. 다니엘 페나크는 이 과정에서 부모가 아이에게 강압적으로 책 읽기의 즐거움을 빼앗아서는 안된다고 강조한다. 우리 아이는 책을 사랑하는 책벌레에요라고 말하는 순간 아이는 책에서 멀어진다는 것이다. 그저 좋아할 수 있도록 놓아둘 것.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면 더한 책 읽기의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 대화라고는 거의 없는 400페이지가 넘는 책을 읽고 글을 써야 한다. 책상에 앉아 그 책을 읽는 아이의 뒷모습은 우울해 보이기까지 한다. 『소설처럼』은 책 읽기를 의무나 압박이 아닌 소설을 읽을 때처럼(소설이란 이야기의 힘으로 쓰인다. 이야기란 힘이 세다.) 이야기를 따라 읽는 방식으로 해야 즐거움을 가질 수 있다고 말한다. 소설을 읽는 이유는 이야기를 만나기 위해서다. 부모가 아이에게 들려주는 건 이야기였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왕자와 공주, 거지, 마법에 걸린 사람들과 거짓말에 속는 소녀의 이야기로 아이는 책이라는 건 즐겁고 흥미로운 것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 


인간은 살아 있기 때문에 집을 짓는다. 그러나 죽을 것을 알고 있기에 글을 쓴다. 인간은 무리 짓는 습성이 있기에 모여서 산다. 그러나 혼자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책을 읽는다. 독서는 인간에게 동반자가 되어준다. 하지만 그 자리는 다른 어떤 것을 대신하는 자리도, 그 무엇으로 대신할 수 있는 자리도 아니다.

(다니엘 페나크, 『소설처럼』中에서)

  

  『소설처럼』에서 나는 내가 가진 책 읽기의 방식이 틀리지 않았음을 확인받는다. 소설을 좋아해서 소설만 편애하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순간들은 나를 여전히 문학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사람으로 살아가게 할 것이다. 혼자이기 때문에 책을 읽고 혼자라는 사실을 잊기 위해 소설로 향해가는 아름다운 계절에 우리는 이야기로 만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