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장 콩벌레 비룡소 아기 그림책 55
김미혜 지음, 박해남 그림 / 비룡소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속의 콩 벌레가 참 귀엽죠? 

볼은 수줍은 듯 빨갛고, 눈은 무엇 인가를 숨기는 듯 장난스러워 보입니다.

콩벌레라고 해서 저는 정말 콩 속에 들어있는 콩 벌레인줄 알았어요.

우리가 화단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공벌레를 콩벌레라고도 한다니 제가 좀 무식했네요. ^^

콩벌레는 소심하고 겁이 많은가 봅니다.

이슬방울, 감꽃만 떨어져도 자신의 몸을 동그랗게 말아버립니다.

그 모습은 우리가 흔히 먹는 콩 같아서 잘 구별이 가지 않네요.

한 참을 그렇게 있던 콩벌레

자신이 안전하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힘들게 모았던 몸을 확 폅니다.

얼마나 힘들었을까요?

어려움이 있을 때 마다 자신을 콩이라고 했던 콩벌레가

정작 자신을 콩인 줄 알고 심을지 반으로 쪼개 볼지를 고민하는 아이들 앞에서는

‘나는 콩벌레야!’하며 소리칩니다.

아이들이 자기를 심을까봐 걱정이 되었나 봅니다.

표지에서 보는 것처럼 책의 그림들이 참 신기하고도 새롭습니다.

콜라주 기법을 사용한 벌레 친구들과 배경의 모습들

‘아 이렇게도 재미난 그림을 표현할 수 있구나’하는 생각이 저절로 듭니다.

이래서 상상력과 창의력이 중요하다는 생각도 들고요.

건드리기만 해도 동그랗게 말아 버리는 콩벌레를 생각하면

동화가 콩벌레의 습성을 정말로 잘 표현했네요.

오래도록 콩벌레를 관찰하고 살피면서 이 책이 만들어 졌다는 느낌이 팍 옵니다.

정성이 담긴 한권의 책을 읽으며

아이와 저 모두 웃음꽃이 활짝 폈답니다.

아이의 마음속에는 상상의 꽃과 창의력의 꽃도 더불어 활짝 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 친구 아들 어린이작가정신 저학년문고 15
노경실 글, 김중석 그림 / 어린이작가정신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엄친아’라는 말을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다.

그것이 뭐든지 잘하는 엄마친구의 아들이라는 것을.

우리 아이는 그 말을 알까? 

잘은 모르겠지만 아직은 모를 것 같다.  아니 몰랐으면 좋겠다.




현호는 인사를 정말로 잘하는 아이다.

엄마는 그것으로는 만족을 못하는 걸까?

공부면 공부, 운동이면 운동, 착하고 잘생긴 엄마친구의 아들과 현호 자신을 비교한다.

나도 밖에 나가면 엄마친구의 아들 일 텐데 말이다.




아이들의 입장에서 아이들의 마음을 잘 표현했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이 다른 사람과 비교당하는 마음

한편으로는 그러려니 하면서도 속상해 하는 현호의 모습에서

우리 아이의 얼굴이 겹쳐진다.




잘했다는 칭찬보다는 넌 그렇게밖에 못했냐는 핀잔을 주고

좀 놀다가 하라는 말보다는 할 일부터 해놓고 놀라는 말을 먼저 하는

전형적인 한국의 엄마.




누군가 나에게 이런 말을 했던 기억이 있다.

욕심을 버리라고

아이에게 욕심을 부리면 부릴수록 엄마와 아이가 힘들어 진다고

엄마에게 욕심이 있으면 아이를 잡을 수밖에 없고

아이를 잡으면 아이 스스로도 소극적이 된다고

그 말이 맞는 줄 알면서도 왜 그렇게 안 되는지




아직은 다른 집 아이들과 우리아이를 비교하지는 않지만

아니 그래서도 안 되겠지만

다시 한 번 마음자세를 추슬러본다.

욕심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 우리아이를 사랑하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 나라 여행
앙리 갈르롱 그림, J.M.G. 르 클레지오 글, 이주희 옮김 / 문학동네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가 이곳에 이사를 온 이유 중에 하나가 아침이면 멀리 가지 않아도 맑은 공기를 마시며 산책을 할 수 있다는 점이었어요. 

그만큼 이전에 제가 살았던 곳은 쾌쾌한 공기와 많은 사람들, 차를 타고 가지 않으면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조차  없었던 곳이었죠.

주말이면 아이들과 가벼운 등산도 하고, 등산 후의 맛있는 식사도 함께 하다보면 행복이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도 들고요.

그렇게 매일매일 산을 다니면서도 나무가 생각을 하고 각자 다른 얼굴을 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하질 못했네요. 

산의 나무를 통해 내가 얻을 것만 얻으면 된다고 생각을 했나 봅니다.

그런데 비해 책속의 소년은 나무들과 친구가 되기 위해 나무들의 작은 소리에 귀 기울이고, 휘파람을 불어 나무들을 길들입니다. 

그러면서 많은 이야기를 하고 서로를 이해하게 됩니다.

전나무는 숲의 파수꾼이고 나무들은 잎사귀마다 눈이 있어 사람들이 가까이 오면 수줍어서 눈을 감는다니 재미있는 표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나무도 사람처럼 제 각각의 성격이 있고, 서로 이야기하고 춤도 출수 있다는 생각을 어찌 했을까요?

나무들의 놀라는 모습, 하품하는 모습, 참나무의 생각하는 진지한 모습

산타처럼 생긴 늙은 참나무의 모습까지

그림 하나하나가 신비롭고 환상적입니다.

요번 주말에는 새로운 마음으로 산을 찾아가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정말로 산이 나에게 속삭이는지

내가 갔을 때 수줍어서 눈을 감는지

휘파람도 한 번 불어보고 나무들과 친구가 되도록 노력해 봐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금 다를 뿐이야 함께 사는 아름다운 세상 7
오오사와 치카 지음, 김수경 옮김 / 푸른날개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아지를 너무나 닮은 토끼가 있어요.  얼굴에는 반점이 귀는 길면서 축 늘어지고. 

어느 날 다른 토끼와 다르다는 친구의 말에 고민에 빠집니다. 

엄마 아빠는 특별하게 생겼다는 것은 기쁜 일이라고 말씀 하시지만 펜펜은 속상합니다. 
고민 끝에 온 몸에 밀가루를 바르고 머리에는 토끼 모자를 쓰고 친구 앞에 나타나죠. 

과연 친구는 펜펜을 알 아 보았을까요?  No. 

한참 후에야 친구는 펜펜을 알아봅니다. 

그러면서 예전의 너무 모습이 너무 멋지고 부러웠다고.

지금의 모습은 너무 우스꽝스럽다고.

그러자 펜펜은 바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옵니다.

펜펜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다른 사람과 다르다는 것은 그것을 잘 발전시키면 개성이 될 수 있지만  다른 시각으로는 좀 이상 한 것, 모자란 것 등으로 인식이 되기도 하니까요. 

요즘에야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것들이 인정을 받는 시대이지만 조금 전만 해도 그렇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구요.

저희 아이도 남들과 조금 다른 면이 있죠. 

외모로는 머리가 남들보다 많이 크고 내면으로는 남들보다 혼자 생각하는 시간이 많고.

이것은 부모들이 아이에게 잘 설명해야 할 부분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저도 누누이 아이에게 하는 말이 머리가 큰 것은 많은 생각을 하기 위해서고

그래서 네가 생각이 많은 거라고.

생각이 많은 것은 남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까지도 깊이 있은 사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는 너에게 큰 자산이 될 거라고.

그래서 그런지 이제는 머리 큰 것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것 같아요.

남들과 다르다는 것. 

자신에 대한 자신감만 있으면 그것을 충분히 긍정적인 면으로 발전시킬 수 있지 않을까요?
그것을 옆에서 도와줘야 할 사람이 부모이고,

이끌어 가야 할 사람이 우리가 아닌가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짝꿍 김은실 좋은책어린이 창작동화 (저학년문고) 9
이규희 지음, 박영미 그림 / 좋은책어린이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에게는 저희 학창시절을 따뜻하게 만들었던 친구가 있었어요.  너무 작아서 나와는 어울리지 않을 것 같았던 아이.  어딘지 얼굴이 어둡고 무엇인가에 억눌려 있는 것 같은 그런 모습 때문에 다른 아이들이 그 아이를 많이 피했던 것 같아요.  그런 아이가 저에게 작은 선물을 하더군요.  자신의 마음을 담은 목도리와 모자.  누가 그것을 주었는지 몰라 궁금해 할 때 그 아이가 말했죠.  “너랑 친구하고 싶어”  그 이후 그 아이와 마음을 주고받는 좋은 친구로 지냈던 것 같아요.




책 속의 한결이를 보며 그 친구가 많이 생각났어요.  엄마의 가출 때문에 힘들어 하는 아버지와 그로 인한 아버지의 술과 괴롭힘.  그것이 고스란히 한결이가 친구들을 괴롭히는 행동으로 나오죠.  그런 한결이를 아이들이 좋아할 이유가 없고요. 




어느 날 엽기토끼를 닮은 은실이가 전학을 오면서 한결이의 짝이 됩니다.  은실이가 주었던 장수풍뎅이 애벌레를 무서워한 한결이는 친구들에게 무안을 당하고 그로 인해 은실이가 점점 미워지죠.  하지만 자신의 괴롭힘조차도 따스한 마음으로 받아주는 은실이가 점점 더 좋아집니다.




아이들이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겁내지 않으면 뭐든지 할 수 있어’라는 말을 합니다.  한결이는 줄넘기에 힘들어 하는 은실이에게, 은실이는 애벌레를 무서워하는 한결이에게, 한결이는 엄마의 가출로 겁먹어 하는 아빠에게.  이 한마디가 서로를 잘 이해하는데 결정적이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우리가 친구를 사귀는데도 마찬가지이겠지만 모든 문제에게도 이 말이 적용될 것 같네요.  어떤 새로운 일을 할 때도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도, 누군가를 이해할 때도 정말 겁내지 않으면 뭐든지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아이들 책이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아이에게는 소외된 주위의 친구들을 한번 둘러볼 수 있게, 어른들에게는 옛 친구에 대한 추억과 그리움을 느끼게 했던 책이네요.




엽기토끼처럼 생긴 은실이의 익살스런 그림들이 오래도록 머릿속에 남들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