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인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15년 12월
평점 :
독실한 신자인 어머니는 끊임없이 내게 성당을 다닐 것을 요구했지만,
내 소원은 “빨리 엄마보다 힘이 세져서 성당에 끌려가지 않게 되는 것”이었다.
결국 난 초등학교 4학년쯤 됐을 때 잃었던 일요일을 찾을 수 있었다
(힘은 좀 약했지만, 달리기를 엄마보다 잘했다).
그렇게까지 성당이 싫었던 이유는 물론 ‘귀찮아서’였지만,
하느님에 대해 한 가지 이해할 수 없는 점이 있었다.
바로 노아의 방주로, 도대체 하느님은 왜 노아 가족만 남긴 채
다른 사람들은 물론이고 가엾은 동물들까지 모두 없애 버렸느냐는 점이었다.
스스로 창조하신 피조물에 대한 사랑이나 관대함 같은 건 없었던 것일까,라는 회의는
철이 들면서 점점 커져만 갔다.
주제 사라마구의 <카인>은 바로 이런 회의를 다루고 있다.
명 소설가답게 저자는 카인이 아벨을 죽인 후 정처없이 떠도는 와중에
만나는 사건들을 토대로 자신의 회의감을 독자에게 전달했는데,
회의론자인 나로선 이 책이 흥미롭게 읽혔지만,
신실한 종교인이라면 읽기 거북한 순간이 꽤 자주 있을 것 같다.
-여호와는 아브라함에게 사랑하는 자신의 아들을 제물로 바치라고 한다.
“이때 아브라함에게 논리적이고, 자연스럽고, 단순하게 인간적인 반응이라면
여호와에게 꺼지라고 말하는 것이었을 테지만” (94쪽)
“여호와는 아브라함을 시험하기 위해 아들 이삭을 죽이라고 명령했지요.
여호와가 자신을 믿는 사람들을 신뢰하지 않는데 왜 그 사람들이 여호와를
신뢰해야 하는지 나는 정말 모르겠습니다.” (163쪽)
-여호와가 소돔과 고모라를 멸망시킬 때 유일하게 그 말을 믿은 롯은 도시를
떠나라는 명을 받는다. 그런데 롯은 뒤돌아보지 말라는 명을 어겨 소금기둥이 된다.
“누구도 왜 그녀가 그런 벌을 받아야 했는지 그 이후로 아무도 설명하지 못했다.
뒤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알고 싶은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이다.
여호와가 호기심을 치명적인 죄로서 벌하고 싶어한 것일 수도 있지만, 만일 그렇다면 우리는 그의 지능을 다시 보지 않을 수 없다.” (117쪽)
-어릴 적 들은 노아의 방주보다 더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바로 욥의 이야기였다.
욥은 하느님께 늘 충성스러운 사람이었지만, 하느님은 악마와 내기를 한다.
모든 것을 다 잃어도 욥이 하느님을 믿을 것인지에 대해서.
“아무런 이유도 없이 돈과 소유를 모두 잃는 벌을 받을 참이라니,
다른 사람들은 여호와가 의롭다고 말할지 모르지만 나는 그렇다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163쪽)
마지막으로 노아의 방주 이야기를 해보자. 방주를 보면서 카인은 묻는다.
“정말로 지금 인류를 멸하고 나면, 그 다음에 나오는 인류는 똑같은 오류,
똑같은 유혹, 똑같은 어리석음과 범죄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느냐?” (189쪽)
이 대목에 격하게 공감하는 것이, 그 당시 세상이 지금 우리사회보다 더 타락했을 것 같지 않아서다.
하느님이 불편부당이신 분이고 이 세상의 모든 것을 관장하신다면 이럴 수 있을까.
그래서 난 카인의 다음 선언에 격하게 공감한다.
“한마디로 하느님은 우리를 사랑하지 않아요.” (16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