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스트라는 낙인 - 조주은의 여성, 노동, 가족 이야기
조주은 지음 / 민연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때 국어 선생님이 페미니스트들을 굉장히 싫어하더라고요. 전 왜 그렇게까지 싫어하는지 이해가 잘 안갔어요.”

난 숨을 죽였다. 그 다음에 과연 무슨 말이 나올까 싶어서.

“근데, 그 말이 맞더라고요. 무슨무슨 페미니즘 책을 나중에 읽었는데, 정말 말도 안되는 내용으로 가득차 있었어요.”

여성학 강의시간에 한 학생이 발표 시간에 한 말이다. 그가 언급한 책을 전에 읽었었는데, 난 그게 그렇게 엉터리라는 생각은 하지 않았었다. 그렇긴 해도, 페미니즘에 대한 사회 일각의 거부감을 고려한다면, 페미니즘 관련 책자는 좀 더 설득력이 있고 신중하게 쓰여져야겠구나,는 생각을 했었다.




<페미니스트라는 낙인>은 정말 유익한 책이었다. 내가 유익하다고 말하는 건 모르던 사실을 알게 해줬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난 평소 잘 몰랐던 사실들을 깨닫게 됐는데, 어머니들이 동원된 학교급식의 문제점이 그 하나인데, 학교급식은 국가와 학교가 해야 할 일을 여성인 어머니에게 전가하는 행위라는 걸 이 책이 아니면 알지 못했을 것이다. 두 번째 깨달음은 여성에 대한 진보진영의 무심함이었는데, 다음 문장들에 정리가 잘 되어 있다.

 “내 주변의 이른바 386 운동권과 결혼한 여성들의 삶은 너무 바쁘다. 가족 생계 책임지랴, 자녀 양육하랴...(189쪽)”

386 남성들은 왜 유난히 피임에 대해서는 그렇게 무식할까?...남성 활동가들이 사회 운동하느라고 분주하고, 밤늦은 술자리를 가질 때, 그와 성관계를 맺은 여성 활동가들은 다음 생리 때까지 적어도 한달 동안 피가 마르는 초조한 나날을 보낸다(195쪽)”

단체의 대표와 사귀던 어느 여성 활동가는 결혼 전에 세 번의 낙태를 했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계급, 평화, 통일처럼  진보진영이 몰두하는 주제들에 대한 논의만큼 비중있게 성 담론(콘돔 사용법만이라도)에 대해 토론하는 것이 (필요하다)(197쪽)”




옥의 티를 끄집어내자면, 읽다가 이런 대목이 마음에 걸렸다.

제왕처럼 군림하면서 밥을 처먹기만 하는 남성이 있는 가정에서 여성들의 휴식은 불가능하다(59쪽).”

가정이 휴식의 공간이란 건 남성에게만 해당되는 얘기, 하지만 이 당연하고도 좋은 말이 ‘처’란 글자가 붙음으로 인해 독자에게 반발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저자의 말대로 페미니스트가 ‘낙인’이라면, 많은 남성들이 그 단어에서 과격함의 흔적을 찾아 헤맨다면, 단어 선택 하나에도 좀 신중할 필요가 있다. 페미니즘의 대의에 동감하는 사람보다 그렇지 않은 사람이 이 책을 더 많이 읽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면 말이다.




* 참고로 난 아는 분한테서 이 책을 받았는데, 고맙게도 저자가 직접 내게 사인과 더불어 따뜻한 말씀을 해주셨다. 저자 분은 물론이고 그 아는 분한테도 감사드린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08-05-29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처'가 들어가고 안 들어가는 것이 우뇌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좌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생각하면... (특히 남성) 페미니스트가 과연 페미니스트인지가 의심스럽습니다.
<지식인의 두 얼굴>을 읽어보셨는지요?
한가지 더 어머니의 본연의 책임은 무엇인가?

비로그인 2008-05-29 16: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처'자가 들어가면 안되는데, 이러면서도 쓸 수 밖에 없는 상황도 있지 않을까요?

라이 2008-05-29 1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1. 실제로 육아노동, 가사노동 하면서, 사회생활하면서 남편의 무관심과 무책임을 마주하게 되면 처먹는다는것 아니라 더 심한 욕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남편이 타도의 대상은 아니지만, 가정안에서 마주하게 되는 가부장은 가장 강력한 가부장적 기제입니다. 운동권이 기득권층 얘기할 때 욕 섞어 쓸 수 있듯, '처먹는'거 따위는 욕도 아니라고 봅니다.
2. 발표 학생 얘기 말인데, 아직 여성에게 가해지는 억압에 대해서 깨어나지 못해서 그렇습니다. 부잣집에서 곱게자란 아이가 386세대들의 투쟁에 대한 서적을 읽었을 때의 반응과 비교해 보면 될까요?
3. ㅎㅎ 무자식이 상팔자. 그래도 자식없는 가정에서는 이제는 남녀평등이 어느정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어쩌면 '아이 없는 가정'에 대한 '선택권'이 주어져 있다는 것만으로도 세상은 100cm쯤 좋아진 것입니다. 서민님 화링.

최상의발명품 2008-05-31 0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오늘 처음 왔는데 너무 재밌습니다. 저도 여성학 강의를 들은 일이 있지요.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나라 남성분들 중에 페미니즘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무조건 싫어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종종 들러 글 읽고 가겠습니다. 건강하세요^^

최상의발명품 2008-05-31 07: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참 세계명작에 관한 생각이 저랑 너무도 비슷하셔서요^^ 저는 오래전부터 지루해 보여서 읽을 생각이 전혀 없었던 '앵무새 죽이기'를 근래에 봤는데 참 좋았답니다. 전혀 지루한 문체가 아니라 참 유머러스한 문체로 쓰여진 명작이더라고요. 책을 관통하는 주제도 좋았지만, 작가의 유머러스함이 정말 좋았습니다. 혹시 안 보셨다면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언젠간 리뷰도 볼 수 있으면 참 좋겠구요. ^^ 수많은 마태우스님의 리뷰를 며칠동안 나눠 읽을 생각에 기쁘네요.

천민 2008-05-31 1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거 익명도 되는군요^^

하나씩..

“내 주변의 이른바 386 운동권과 결혼한 여성들의 삶은 너무 바쁘다. 가족 생계 책임지랴, 자녀 양육하랴...(189쪽)”

-386이든 486이든,운동권과 결혼했건 아니건,남성이건 여성이건간에 '삶'이란게 먹고 살자면 다들 바쁩니다. 너 나 없이.
생계의 문제란 그런거고 없이 사는 사람들한텐 더욱이나 그렇죠.
자녀 양육이라면,
우선적으로 '남성'보단 사회구조적 문제를 짚어야 하지 않을까요?
(영,유아원문제,육아휴직문제,급식문제,학비문제, 나아가서 비정규직 문제 기타등등)

물론 책의 의도가 성적 대립에 주안을 두고 씌여진거니 할수없지만
이런식의 진술은 감정적 대립말곤 아무것도 얻을게 없다고 생각 됩니다.
더구나 일정부분 설득이 필요한 문제라면.

“386 남성들은 왜 유난히 피임에 대해서는 그렇게 무식할까?...남성 활동가들이 사회 운동하느라고 분주하고, 밤늦은 술자리를 가질 때, 그와 성관계를 맺은 여성 활동가들은 다음 생리 때까지 적어도 한달 동안 피가 마르는 초조한 나날을 보낸다(195쪽)”

-386이고 486이고간에,대한민국 남성들은 대채로 피임에 대해 무지한 편입니다.(무지라기보단 무관심이겠지만)
대한민국 여성들만큼 말이죠.
'여성 활동가'님께 드리고 싶은 말씀은,
남성의 무지한 피임상식을 비난하기보단
같이 잔 '남성 활동가'에게 콘돔을 착용하게 하든가,스스로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든가,
이도저도 싫다면 하지 말든가, 아니면 그냥 피를 말리든가.
선택지는 여러가집니다.

스스로 성인이면서 피임에 대한 아무런 합의 없이 어영부영 대책없는 관계후에 피를 말리니 어쩌니 남탓하는거,꼴불견입니다.

“한 단체의 대표와 사귀던 어느 여성 활동가는 결혼 전에 세 번의 낙태를 했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계급, 평화, 통일처럼 진보진영이 몰두하는 주제들에 대한 논의만큼 비중있게 성 담론(콘돔 사용법만이라도)에 대해 토론하는 것이 (필요하다)(197쪽)”

ㅡ'한 단체의 대표'란 말은 '거대담론'에 매몰된 '한 단체의 대표'씩이나 되는 남성조차 피임에 대한 개념이 없었단 말일테고...(그 대표님이 하나의 '권위'로 인정되는지 혹은 남성 일반의 대표성을 가지는지 모르겠지만)그런데 대체 그 '대표님'은 콘돔 사용법도 몰라서 사용 안하신 걸까요?
그건 아닌것 같고,아마 대충 토론하고 대충 얘기하다가 남성이 싫다니까 대충 관계하고 '피'를 말린 상황인거 같은데,
씌우든지,드시든지, 아니면 하질 말든지.
강간 아니잖습니까.

더구나 '낙태'를 세번씩이나 하시면서...이거 영 아니지 않나요.




픽팍 2008-06-01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우리 학교에서 학생들이 발간한느 페미니스트관련 잡지를 보다가 흠;; 좀 무서웠다는 사실 남자들은 잘 느끼지 못하는 걸 예리하게 지적하는 걸 보고 좀 무섭기도 했다는 ㅋ
하지만 역시 과격한 표현은 저처럼 소심한 사람들을 움츠리게 하더라구여.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이 틀린 말이 아니라는 ㅋ
오랜만에 마태우스 님 글 읽으니깐 머리가 맑아지는 기분이네염 ㅋ

독재타도 2008-06-01 1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땅의 민주주의는 죽었습니다.

http://img2.dcinside.com/data14/gallery/2008/06/01/dci_movie/977839938_3d656b8e_c_2008-06-0128EC9DBC29EC98A4ECA084060008-CADTV11-1.swf

http://img2.dcinside.com/data14/gallery/2008/06/01/browneyedgirls/3717016147_58b60def_EC8B9CEBB09CEC8389EAB8B0EC95BC.swf

마태우스 2008-06-02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독재타도님/말씀 잘 알겠습니다...
팍팍님/저도 님 댓글을 보니 머리가 맑아지는 듯... ^^ 사람들 싸움하는 거 보면 대개 말 꼬투리를 문제삼잖아요...
천민님/제가 이 책의 저자는 아니지만 내용에 공감하는 사람인지라 님 말씀에 답변을 해봅니다.
-386이든 486이든 삶은 다 어렵다; 그거야 그렇죠. 하지만 저자가 지적하는 건, 386 출신들이 일정한 직업없이 운동에만 전념했기에 그네들을 여성들이 다 부양했다는 거죠. 전 그렇게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이왕이면 결혼을 하지 말 것이며, 애도 안낳는 게 낫다는 하종강 선생님의 사모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애를 낳았으면 좀 책임지는 면도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던 걸 지적한 겁니다.
-피임과 낙태 문제에 대해서: 여자가 피임을 하는 방법은 두가지겠지요. 콘돔을 씌우거나 아니면 약을 먹거나. 하지만 남자가 언제쯤 욕구가 동할지 모르고, 호르몬제는 여성의 생체리듬을 파괴하므로 전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여자가 콘돔을 가지고 다녀야 할텐데, 울나라에서 여성이 콘돔을 권하는 게 가능은 하겠지만 그게 얼마나 어려운지 모르십니까? 진보연하는 남성분들 역시 그런 데는 민감해서, 여성의 핸드백에서 콘돔이 나오면 걸레 취급합디다. 뭐, 한사람의 경우니 전체로 확대할 수는 없지만, 남자라는 종이 어디 가겠어요. 스스로 성인이라 해도 피임 문제는 남자의 동의 없이 어렵다는 걸 잘 아시는 분이니, 이해해 주실 걸로 믿습니다. 꾸벅.

최상의 발명품님/저도 반갑습니다 글구 저 앵무새 죽이기, 추천은 많이 받았지만 안읽어봤습니다. 앵무새가 죽는 게 슬퍼서 그랬는데^^ 님이 추천해주신김에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라이님/오랜만에 뵙는군요 반갑습니다!! 그래도 저런 책을 읽어야 할 사람이 페미니즘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표현은 좀 신중해야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글구 저만 해도 아이를 안갖는 삶을 실천하는 데 여러 제약이 있더군요. 주위에서 어찌나 괴롭히는지, 저야 괜찮지만 아내가 고생이 많습니다...

주드님/안녕하셨어요? 그런 상황이 있을 수 있다는 데는 동의하는데요, 그래도 반대파들은 본질은 안보고 말투 가지고 꼬투리를 잡잖아요...
마립간님/지식인의 두얼굴은 저같은 사람이 딱 읽어야 할 책인 것 같습니다 읽어보겠습니다. 글구 어머니 본연의 책임에 대해 물으셨는데요 질문의 뜻을 잘 모르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최상의발명품 2008-06-03 0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마태우스님 ^^ 저도 처음엔 앵무새가 죽는다는 게 너무 잔인하고 슬퍼서 절대 안 보려고 했거든요. 근데 유머가 글 전반에 녹아 있어서 내내 거의 웃으면서 봤답니다. 그리고 진짜 앵무새가 죽는 건 아니고 상징적 의미인데 많은 걸 생각하게 해주더라구요. 생각나실 때 꼭!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바쁘신가 봐요. 리뷰 많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진주 2008-06-03 15: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태우스님께 책을 전해주신 그 '아는 분'한테 저도 고마워지려고 하네요^^;
글고..처먹는다의 '처'는 강세접두사로써 그집 남편의 힘찬(!)숟갈질을
표현하려했던 거라고 우기면 책보는 남자들 눈에 덜 껄끄럽지 않을까요 ㅋㅋ
여전히 바쁜 와중에도 책 열심히 읽으시며 사시는군요^^


마태우스 2008-06-03 1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상의 발명품님/아...앵무새가 진짜로 죽긴 죽는군요. 전 사실 잘 모르고 한 말이었어요ㅠㅠ 꼭 보겠습니다. 글구 님이 리뷰 기다리신다니, 시험문제 내던 거 잠시 멈추고 리뷰 쓰렵니다
진주님/어머낫 진주님 안녕하세요. 호호, 님처럼 이해심이 많다면야 굳이 페미니즘 같은 게 있을 필요가 없겠지요. 요즘 책 많이 못읽어요 하는 건 없어도 자꾸만 졸려서 기차에서 잠만 잔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