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지금 휘게를 몰라서 불행한가 - 정작 우리만 몰랐던 한국인의 행복에 관한 이야기
한민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행복의 비밀을 알고도 행복할 수 없었던 이유는

그것을 나의 삶에서 찾으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P.8

20대 때에는 자기 계발서를 물 마시듯이 읽었다.

좀 더 나은 내 삶을 동경하기도 했고, 그럴만한 패기 또한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마 베스트셀러라고 여겨지는 책들, 30이라는 숫자가 들어가는 책은 거침없이 읽었다.

앞자리가 바뀌고, 또 다른 앞자리를 준비하는 요즘 자기 계발서는 일부러라도 피한다.

책의 잘못이 있겠냐마는 자기 계발서를 읽고도 변하지 않고, 머리만 커져가는 느낌이라고 할까?

다 비슷비슷한 이야기를 순서만 다르게 늘어놓는, 실제로 실현 불가능한 이야기나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가득한 경우도 상당했기에 말이다.

이 책 또한 자기 계발서다. 근데, 프롤로그의 한 줄을 읽은 후 책을 덮을 수 없었다.

바로 위에 저 한 줄 말이다. 자기 계발서에서 이야기하는 성공 그리고 행복한 삶에 대해 수십 권의 책을 통해 머리에는 담아왔지만, 내 삶은 여전히 답답하고, 힘들고, 행복하지 많은 않다.

사실 책을 읽으면서 감정이 아닌 이성적으로 이해되는 부분이 많았다. 행복이라는 것은 감정적 이유인데 말이다.

방송과 같은 매체에서, 뉴스나 신문기사 등에서 우리는 참 아픈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다.

그 대부분은 긍정적인 이야기보다는 부정적인 이야기들이 많았고, 따끔한 소리라고 하지만 주눅 들게 만드는 이야기들이 대부분이었다. 덕분에 행복하다는 이야기를 입 밖으로 내면 눈치 없는 사람이 되거나, 눈총을 받는 경우도 있었으니 말이다.

또한 우리는(민족적, 동양 사회의 성향이기도 하지만) 개인의 행복이 아닌 집단 차원의 행복을 주로 이야기했기에

행복을 저해하는 요소를 내가 아닌 타인(혹은 사회)에서 찾고 있었다. 내 탓이 아닌 남 탓. 나라 탓으로 말이다.

집단 사회가 갖는 장점도 있지만, 적어도 행복이라는 관념에 대해서는 단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책의 제목처럼 우리(나라)가 휘게(행복)을 정말 몰라서 불행한 것일까?

이 책의 저자는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우린 어떻게 해야, 무엇을 해야 행복한지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고 관심이 많다. 단지 나의 행복을 찾기보다는 타인과 비교하는 행복, 그렇게 길들여진 행복만을 찾고 있었기 때문에 행복을 모르는 척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이 책은 지극히 우리의 관점이다. 모든 초점을 우리에게 맞추고 있다.

덕분에 정말 사이다 책이었다. 사이다 책일 수밖에 없게 쓰였다.

너무나 많이 듣고 읽어서 알고 있는 사실인데, 방향이 잘못되어서(또는 인정하기 싫어서?) 모른 척하고 있던 행복을 찾아가는 지도 같았다. 아니 내비게이션 같았다.

내가 지금 행복하지 않은 것은...@@ 때문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그 원인을 찾아내려고 부단히 노력 중이라면!

일독을 강하게 권한다. 당신도 나와 같은 행복의 사이다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