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피즘 - 신의 유혹
신은희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종교학을 다룬 책을 읽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두번째이다.


지난번 책과 동일한 저자의 책인데, 이번에는 이슬람 수피즘에 관한 논문을 한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이 책에서는 학창시절 세계사를 통해 일부 알게 되었던 이슬람 문화와 문학, 페르시아 시문학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어떤 종교든 그 종교를 숭배하는 사람들이 문학작품으로서 그 종교를 표현하고 그것을 통해 사람들에게 전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슬람 종교를 믿는 사람이 거의 없기 때문에, 관련 지식을 접할 기회가 별로 없었지만, 이 책을 통해서 과거 세계사를 통해 배웠던 단편적인 지식보다 더 깊고 새로운 내용을 알게 되었다. 새로운 지식을 쌓는다는 것은 참으로 기쁜 일이다. 그 지식의 깊이도 중요하지만 다양하고 많은 것을 알고 싶은게 개인적인 바램이다. 종교관련 서적은 생소한 용어 때문에 이해하기 힘든데, 이번에도 마찬가지 였다. 하지만 새로운 지식을 쌓는다는 즐거움에 어려운 책도 단숨에 읽게 되었다.


책 내용

제 1장 신, 그 영원한 나 - 수피즘의 신인합일 사상

1장에서는 수피즘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수피즘은 이슬람의 신비주의 전통이다. 수피즘의 '수피(sufi)'는 아랍어 '수프(suf)'에서 파생되었다. 이슬람 전통에서 수피들이 출현하시 시작한 시기는 기원후 7~8세기 경이다. 수피는 '양모를 입은 자'로 신과의 만남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물질적 욕망을 비우고, 때론 금욕주의적인 수행을 통해 신과의 합일을 꿈꾸는 자를 표현한다고 한다.


제 2장 신성한 유혹 - 에크하르트와 루미의 신비 신학

2장에서는 기독교 신비주의 신학자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와 이슬람 수피 시인이자 신학자인 젤랄레딘 루미의 신인합일 사상을 '비움'과 '소멸'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있다. 에크하르트와 루미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들이 추구한 사상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제 3장 신이 되어버린 사랑 - 루미의 신학론

초기 수피즘은 압바스 왕조시대 이슬람 정통파와 교파분리론자였던 푸타질라파의 사상적 갈등이 심화되면서 제 3의 길을 선택했던 새로운 이슬람 공동체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수피즘의 발전하면서 수피 문학도 함께 발전했고, 중세시대에 접어들면서 수피 문학의 세계는 신과 인간의 신비적 황홀경과 신을 향한 관능적 표현들로 더욱 화려하게 발전했다고 한다.

어느 시대건 그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작품이 남겨지기 마련인데,

특히 알-아라비의 '메카의 계시'는 무함마드가 최초로 신의 계시를 받았던 지역의 신비체험을 통해 창작된 것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알-아라비는 루미의 스승으로 루미는 수피 문학의 정수로 꼽히는 마스나위를 작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이슬람 문화에 대해 지식이 없지만 메카의 계시라는 작품은 많이 들어왔던 작품이다. 그만큼 그 시대가 전성기였고,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제 4장 신의 불꽃 - 루미와 샴스의 사랑 시

4장에서는 루미와 수피 탁발승 타브리즈 샴스와의 영적 교감을 통한 신의 초월성과 사랑에 대한 얘기를 담은 타브리즈 샴스 시집을 다루고 있다.

루미는 사랑의 마음을 가잘시로 남겼다는데, 가잘시는 짧고 우아한 형식의 장르로서 사랑을 주제로 창작된 서정적 연시이다.

루미와 샴스의 영적 사랑은 타브리즈 샴스 시집의 중요한 영감이자 모티브가 되었고, 사랑과 영적 엑스터시를 다루고 있다고 한다.

책에 언급된 타브리즈 샴스 시집에 나온 시들을 읽어봤는데, 표현이 대단히 감각적이고, 사랑 표현도 거침없이 나와있다. 시의 대부분이 신을 향한 무한한 신앙과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가득차 있어 저자 루미(실질적으로는 샴스라고 한다.)의 표현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었다.


제 5장 신을 향한 영적 콘서트 - 수피즘의 세미예식

5장에서는 수피즘의 세마예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세마예식은 시, 음악, 춤, 기도, 영적 엑스터시 등이 예술적으로 표현된 예배의식이라고 한다. 이를 저자는 수피들의 '영적 콘서트'라고 표현하고 있다. '세마'의 어원적 의미는 음악을 듣다인데, 전통적으로 수피들은 음악을 들으며 신을 향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해 왔다고 한다.

다른 종교도 마찬가지로 종교와 함께 음악도 발전했고, 음악을 통해 자신들의 신앙을 표현했을 것이다. 기독교, 불교도 각 종교만의 음악으로 의식을 진행하고 있으니, 종교와 음악을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관계라고 생각한다.


제 6장 신의 메타포 - 가잘시와 수피 상징

6장에서는 페르시아 문학의 대표적인 서정 시인으로 알려진 허페즈와 페르시아 시문학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다. 

페르시아 시문학에서 수피즘은 시의 사상적 근간을 이룬다고 한다. 이는 페르시아 문학이 종교체험과 깊은 연관이 있는 문학장르이기 때문이다. 이 장에서 소개된 허페즈의 시집 '다반'의 주요테마는 술과, 사랑, 초월이다. 사실 이슬람 문화권에서 모든 종류의 알코올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지만 수피들은 신과 영적 관계를 묘사하는데 있어서 술과 사랑을 중요한 메타포로 사용한다고 한다.


제 7장 신의 술 - 와인, 에로스, 소멸

7장에서는 신의 술을 마시며 삶과 죽음을 노래한 11세기 중엽 페르시아 수피 시인 오마르 하이얌에 대한 설명이다.

그는 신의 술로 물들인 시집 '루바이야트'를 통해 신을 향한 인간의 영적 본능에 관해 노래하였다고 한다. 그의 시집에서 신의 술인 '와인'인데, 존재, 에로스, 엑스터시, 아픔, 무, 영원성에 관한 철학적 주제들을 와인 메타포를 통해 승화하고자 하였다. 루바이야트는 4행시를 뜻하는 아랍어인데, '루바이(Rubai)'의 복수형이라고 한다. 하이얌의 시집 '루바이야트'는 문자 그대로 다수의 4행시로 이루어진 시집을 의미하는데, 4행으로 이루어진 시의 운율은 페르시아 시문학에서 대표적인 시작법이기도 하다. 이 시집은 하이얌이 사망한 후 약 50년 후에 출판되었다고 하는데, 고국 이란보다 서구사회에서 더 유명해졌다고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나 2019-03-09 1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