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쿄 트렌드 인사이트 2026 ㅣ 도쿄 트렌드 인사이트
정희선 지음 / 원앤원북스 / 2025년 10월
평점 :

도쿄 트렌드 인사이트, 도쿄 트렌드 인사이트 2025에 이어, 도쿄 트렌드 인사이트 2026는 일본에서 찾는 소비 비즈니스 트렌드를 확인하고 일본에서는 사회적 이슈를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저자 정희선님은 트렌드 분석가이자 애널리스트로 소비 및 산업 트렌드를 분석하고 전달하는 일을 한다고 한다. 글로벌 경영 컨설팅사인 L.E.K. 컨설팅의 도쿄 지사에서 근무했고, 현재는 일본의 경영 정보 플랫폼회사인 유자베이스에서 세계 각국의 산업과 기업을 분석하는 애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지난 2년의 시간동안 3부작에 걸쳐 일본에서 유행하는 소비 트렌드를 알아봤다. 지난 책들이 저성장, 고물가로 인해 실질소득이 감소하고 고령화가 빨리 진행되는 상황에서 한국 소비자들의 행동을 예측할 힌트를 일본에서 찾고자 했다. '저성장','고령화','Z세대'라는 3가지 키워드로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은 비즈니스 사례를 집중적으로 살펴봤다. 이번 '도쿄 트렌드 인사이트 2026'에서는 핵심 키워드를 '소멸'로 정하고 양극화와 탈세대, 지방소멸, 1인 가구, 인구 감소 등 5가지의 키워드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5가지 주제는 비록 일본만의 현상이 아닌 대한민국도 똑같이 마주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면 좋을 것 같다.

우선 중간이 사라지는 양극화는 소비 시장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예전과 다르게 중산층 인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백화점에서는 백화점이라는 명칭을 빼고 밀착형 생활 거점으로 거듭나려 하고 있고, 젊은 신 부유층에 집중하려 한다고 한다. 팔리는 제품도 초고가 제품, 저가 제품으로 양극화 되고 있는데, 저가 제품도 고품질로 승부를 보려고 한다.

핵심 주제가 '소멸'인데, 대한민국과 일본이 동시에 겪고 있는 것이 지방 소멸의 문제가 아닐까 한다. 일본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방 소멸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데, 거주 인구가 아닌 관계 인구를 늘이는 것이 큰 핵심이다. 그리고 건물과 음식으로 지방 마을을 살리고, 미치노에키라 불리는 휴게소를 활성화해 지방으로의 여행을 독려한다. '평일엔 도쿄, 주말엔 지방' 컨셉으로 별장 구독 서비스나 여행하면서 현지에서 일하는 오테츠타비도 좋은 방법인 것 같다. 그리고 지방을 살리는데 기업이 나서서 매장과 더불어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고, 스포츠 활성도 기여하는 공간을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이 책의 일본의 다양한 사례를 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버리고 무엇에 집중할 것인가를 생각해봐야할 것 같다. 소멸이라는 공통 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고 있는 책 속의 다양한 사례들이 벤치마킹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도쿄트렌드인사이트2026 #도쿄트렌드인사이트 #정희선 #원앤원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