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int is that science, when seen only as a system based on mathematical logic, has no meaning. What researchers like myself do in our theories is to manipulate symbols according to formal rules. It is only when these symbols are connected to the real world, or, more precisely, the aspects that we select and abstract, that meaning is generated.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crucial steps, which are mistakenly considered trivial and deliberately ignored. Between the high-flying ideas and the messy natural world, which is what science is all about, lies the embodied consciousness of the researcher himself. There is no objective, external, and independent connection between the abstract world of mathematics and logic and the universe. The connection is always made in a brain of flesh and blood. (p. 92)


  "요점은 이렇다. 수학적 논리에 기반한 체계로만 바라볼 때 과학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연구자들은 이론을 할 때 형식 규칙에 따라 기호를 다룬다. 의미는 이러한 기호가 실제 세계, 더 정확히 말하면 우리가 선택해서 추상화하는 자연의 측면들에 연결될 때 생겨난다. 문제는 이러한 핵심적 단계가 중요치 않다고 잘못 생각되어 의도적으로 무시되는 것이다. 고상한 개념과 지저분한 자연 세계 사이가 과학이 다루는 모든 것이며 여기에서 연구자 자신의 몸에 담긴 의식이 역할을 한다. 수학과 논리의 추상적 세계와 우주 사이에 객관적, 외재적, 독립적 연결은 없다. 연결은 항상 살과 피로 이루어진 뇌에서 이루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goal of science is to offer efficient and reliable models that can be used to make useful predictions about the world itself. Each scientific model is preliminary and there is always room for improvement--not only in terms of quantitative predictions but also in terms of conceptual substantiation. (pp. 78-79) 


과학의 목표를 다시금 되새겨본다. 과학은 실재에 대한 유용한 모형을 만드는 일이다. 하지만 모형과 실재는 다르다. 우리는 모형을 통해 실재를 파악하고자 노력할 뿐이다. 많은 과학자들은 모형이 실재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실재(세계) 그 자체는 인간이 파악할 수 없다. 우리는 한계를 지닌 인간이기 때문이다. 일찍이 칸트가 했던 말이다. 우리는 모형을 개선함으로써 실재의 본질에 좀 더 다가갈 수 있다. 모형은 다른 말로 표상(represent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world are not just about discovering new phenomena but also about driving away ghosts that were never real. Examples include Ptolemy's epicycles that Johannes Kepler killed, the phlogiston that Antoine Lavoisier (1743-1794) replaced with oxygen, and the ether that Albert Einstein cleaned up when formulating his theory of relativity. The absolute time that Newton introduced turned out to be a flawed mathematical construction with no equivalent in the real world. Through the theory of relativity, Einstein was able to unite space and time into a unit, space-time, where time was not absolute but was determined by the observer's motion. (p. 74) 


새로운 현상을 발견할 때만이 아니라 기존의 잘못된 관념을 일소할 때에도 세계에 대한 이해는 진보한다. 대표적 예로 케플러가 프톨레마이오스의 주전원 없이 행성의 궤도를 잘 설명한 것,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통해 에테르의 개념이 필요 없으며 뉴턴의 가정과 달리 시간이 관찰자의 운동에 따라 달라짐, 결국 시간과 공간이 독립적이 아니라 하나로 연결된 시공간으로 생각해야 함을 지적한 것을 들 수 있다.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요즘, 관심을 가지고 고민해봐야 하는 지점이다. 저자는 잘못된 개념을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유령'이라고 언급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universe is not governed by what we call the laws of nature; rather, it is the laws of nature that are constructed by us to follow the universe. (p. 60) 


우리는 종종 반대로 생각한다. 우주가 자연법칙을 따른다고. 하지만 우주가 자연법칙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연법칙이 우주를 따르는 것이다. 자연법칙은 우리가 만든 것이다. 자연법칙이 우리와는 상관 없이 우주 안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이해가 깊어지면 자연법칙도 달라진다. 뉴턴의 중력이론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대체했듯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10-12 18:0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