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제도는 그리스 민주주의의 한계다. 물론 그리스에만 노예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고대 사회치고 노예 없는 사회는 없었기 때문이다. 노예제도는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 유형 가운데 가장 원초적이고, 가장 지독한 것이다. 그래서 중세에 와서는 노예제 대신 농노제가 생겨났고, 현대에 와서는 식민지와 임금 노동이라는 새로운 착취 구조로 대체되었다. 이처럼 인간은 약육강식의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유사 이래로 끊임없이 투쟁해왔다. 그러나 투쟁의 성과가 금세 나타나지는 않았다. (208 페이지)

  노예제도는 발전의 장애물이다. 과학자들은 잘 인식하지 못하겠지만, 어쩌면 아니라고 말할지도 모르지만, 과학은 인간에게 쓸모가 있어야 한다. 자연으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하고, 사회적 억압으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과학이다. 최소한 그것이 과학의 존재 이유 중 하나다. 만약 과학적인 연구와 발견이 인간을 자유롭게 하지 못한다면 그 과학은 의미가 없고, 곧 소멸하고 만다.

  바로 그리스의 과학이 그랬다. 노예제도에 물든 나머지 기계를 발명할 생각을 하지 못했고, 과학은 무력해졌으며, 심지어 죽어갔다. 인간을 발전시키지 못한 그리스의 과학은 스스로의 울타리 안에 갇혔고, 사변적인 과학으로 전락했다. 발전이 있을 수 없었다. (222 페이지)

  고대 사회에 노예제도가 미친 영향은 비단 이것만이 아니었다. 한 사회에서 빈둥대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소수가 다수를 억압하게 되면, 그 사회는 내부적으로 분열될 것이며, 외부의 침략에 올곧게 저항하지 못할 것이다. 소위 이민족의 침입 이전에 그리스 사회는 이미 무너지고 있었고, 몰락하고 있었다. 그 원인이 바로 노예제였다. 

  그런데 왜 당시 사람들은 노예제도를 문제삼지 않았을까? 놀라운 사실은 그렇게 위대한 철학자들이 많았음에도 노예제도를 비난하기는커녕 오히려 옹호하고 나섰다는 점이다. 플라톤이 그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랬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대놓고 노예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시민들의 사회가 건강하게 존속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생산하는 노예가 필요하다고 했다. 노예는 시민사회의 필수품이며, 심지어 인간들 중 일부를 노예로 만드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천성적으로 노예 기질을 타고난 사람이 있으며, 그들을 골라내는 것이 전쟁이라고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빌리면, " 전쟁은 복종하기로 되어 있는 자가 복종하지 않을 때 그들을 굴복시키는 수단이다." 이런 얼토당토않은 얘기가 우리가 위대한 철학자라고 추앙해 마지않는 사람의 입에서 나왔다. 결국 사람의 생각이라는 것은 자기가 처한 조건과 환경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223 페이지)


위의 글에서 특히 3가지를 곱씹게 된다: 1) 임금 노동이 노예제의 발전된 형태라는 부분, 2) 과학의 유용성이 사회에서 인정 받아야 된다는 주장, 3) 노예제로 인해 그리스 과학이 사변적 과학으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다는 지적이다. 또한 노예제 등 부의 집중이 그리스 사회에 끼쳤던 악영향에 대해 오늘의 상황을 비추어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