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 아무것도 아닌 날에도 DR mystory 1
백가연 지음 / 다람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이 아무것도 아닌 날에도/백가연

 

나는 어른이 된다는 것은 그냥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어른은 어른 다워야 한다는 말을 한다. 많은 책임과 의무를 가지게 되고, 나에 대한 것보다는 관계에서 느껴지는 무게가 무겁게 느껴지는게 어른이다. 하지만 어른이라고 젊은이들과 다를까. 어른도 다양한 감정이 생겨나고, 많은 추억이 쌓이는 것을.

 

[사랑이 아무것도 아닌 날에도] 는 백가연 작가의 소소한 일상들이 기록된 이야기다. 어쩌면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임에도 작가의 글을 읽다보면 나를 보는 것 같은 느낌으로 마음이 편안하다. ‘내 마음이 그렇지,’ ‘그럴 때 있지하면서 공감하게 된다.

 

10, 20, 30.. 중년이 되어가면서 깨닫게 되는 일상의 소중함.

나이를 먹어가면서 주변에서 나에게 하는 어른이라는 말보다는 나는 그저 나이고 나라는 존재의 가치의 소중함을 다시 바라보게 한다.

 

저자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은 각져있지 않다. 둥글둥글 하다. 부모님에 대한 감사의 마음에도, 사람과의 관계에서 배우게 되는 이야기에도 무겁지 않게 다가오는 이야기들이 편안하다.

 

표지의 푸릇함이 이 계절과 어울리고, 저자가 [사랑이 아무것도 아닌 날에도]에 펼쳐놓은 이야기보따리에 나도 한발 들여놔 본다.

 

<도서내용 중>

 

p44. 의식적으로 라도 노력하면 조금은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오늘도 상상해 본다. 친절이 돌고 돌아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의 하루에 조그만 행운으로 굴러들어오는 그런 상상.

 

p100. 다만 아주 조그마한 마음도 누군가와 나누면서 아낌없이 솔직해질 수 있고, 가까운 이에게 내 상처를 드러내면서도 작아지지 않는 방법을 배웠다. 그리고 나에게 품을 내어준 누군가를 잊지 않고 똑같이 껴안아 주는 일 역시 이들과 함께 배운 것이었다.

 

p109. 나는 그리스 비극보다는 셰익스피어 쪽의 비극이 더 좋은 사람이니까. 여백이 두렵기 보다는 궁금한 사람이니까.

 

p165. 원하는 것을 원하는 때에 가지게 되는 기적 같은 일이 인생에서 몇 번이나 일어날까. 커다란 털실 뭉치 같이 엉킨 세상에서 내가 당신을 알아볼 가능성. 용기를 그러모아 당신에게 다가갈 가능성, 무엇보다 당신 역시 나와 다르지 않은 마음일 가능성.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 고독에 초대합니다
정민선 지음 / 팩토리나인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 고독에 초대합니다/정민선 소설

 

마음이 담긴 글과 음악을 좋아하는 작가 정민선님의 [제 고독에 초대합니다.]는 고독한 사람들이 자신의 고독에서 탈출하는 이야기이다.

 

세상이 참 많이 변화되었고, 끊임 없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세상은 국경이 없고, 세계 어느 나라 사람들과도 친구가 될 수 있다. 그에 반해 현대는 고독이라는 단어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외롭다, 고독하다는 단어를 어렵지 않게 사용한다. 그렇다면 왜 이런 감정들이 부각되는 것일까?

 

소설 [제 고독에 초대합니다.]는 브이로그로 개인 일상을 올리는 일을 시작으로 고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몇이 만나게 되면서 서로를 돌아보게 되고, 그러면서 자신에 대한 감정도 표현하게 됨으로써 감정 깊숙한 곳에 숨어있던 상처들을 치유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제 고독에 초대합니다.]는 다큐속 닉네임과 실제이름, 나이와 직업들을 먼저 설명해 줌으로서 소설속 인물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사랑에 실패한 A, 결혼까지 했지만 신혼여행에서 아내의 이중생활을 알아버린 B. 학창시설 학폭에 아픔이 있고, 회사에서 상간녀라는 오래로 해고를 당한 C, 촉망받던 소설가였지만 부담감으로 자신감을 읽은 D, 공감능력이 떨어지지만 그녀 역시 가정의 아픔으로 인해 상처가 있는 N, 오랫동안 사귄 여사친과의 이별을 겪은 G, 그리고 출판사 편집장 팀장. 그들 각자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그들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게 된다. 그리고 내 마음도 위로를 해주게 된다.

 

현대는 많은 소통을 하게 해주는 도구들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통의 부재는 문제점으로 대두된다.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매체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올리고, 공개하고, 그 자료에 댓글이라는 도구를 통해 소통을 한다. 그런데 이게 왜 문제가 되는가. 결국 소통이라는 것은 쌍방이 함께 해야 하는 것인데 현대의 매체들은 대부분 일방통행이다. 자신의 이야기를 하지만 그것이 전부이다. 소설에서 얘기 하듯이 어쩌면 지금보다 미래에는 고독하다 외롭다 하는 감정이 더 많이 지배하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염려스러워 진다.

 

오랜 고독보다는 가끔 혼자 있고 싶은 그정도의 시간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제 고독에 초대합니다.]에 나오는 인물들의 이야기는 어쩌면 내 이야기일 수도, 우리 이웃의 이야기 일수도 있다. 누군가에게 툭 터놓고 이야기 할 수 있다면 좀 덜 고독하고 외롭지 않을까?

 

<줄거리 일부>

 

혼자사는 사람 6명의 브이로그(다큐멘터리) 기획자는 혼자이지만 외롭지는 않습니다라는 이름의 단톡방을 개설하고 혼자인 사람으로 명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을 초대한다. 자신의 개인정보 없이 그저 닉네임으로 진행되는 단톡방은 그들에게 신기한 경험이 된다. 그러나 이곳에는 좋지 못한 의도를 가진 사람들이 등장하지만 함께 브이로그에 참석하기로 한 이들만의 단톡방으로 만들어 간다. 매일 생존신고를 할 것, 개인신상에 대해 묻지 말 것, 취향이나 농담으로 고독사를 방지할 것. 이것만 지키면 된다. 이들은 G의 제안으로 즉흥여행을 떠나게 되고, 서로에게 좋은 말만 해주기로 하면서 조금씩 가까워진다. 그후 그들은 가끔 그들의 집에 서로를 초대하고 모임을 갖는다. 그러면서 각자 자신이 가진 아픔들을 조금씩 꺼내는 계기가 만들어 진다. 그 과정에서 생각하지도 못했던 비밀들이 고개를 들게 되는데...

 

<도서내용 중>

 

p52. 대화의 상대는 그에 걸맞는 추임새를 넣으며 나는 너의 이야기를 듣고 있어라는 자세를 취하긴 하지만 실상 잘 들어보면 그저 자기 생각을,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떠들고 있을 뿐이다. -외로운게 나만은 아닌 것 같아서,-내 안에 쌓여 있는 이야기를 누구에게라도 털어 놓지 않으면 그 무게는 우리를 짓눌러버릴 지도 모른다. 그러니까 그냥 떠드는 것이다,

 

p60. 그런데 이 단톡방을 좀 뭐랄까, 느낌이 달랐어요. 사실 대단한 이야기를 나눈 것도 아니고 생존 신고나 하자, 뭐 이런 취지였는데, 다들 혼자인 사람들이어서 그런지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느낌이라고 해야 하나. ! 아니요, 그보다는, 이제 알겠어요. 나만 이상한거 아니구나, 다들 나랑 비슷하게 살아가고 있구나, 그런 안도감이 든 것 같아요.

 

p126. “그렇죠. 마음이 다친게 훨씬 힘들죠. 그건 뭐 약을 발라줄 수가 있나, 밴드를 붙일 수가 있나.”

 

p135. “전부 핸드폰만 보고 있잖아요. 좀 이상하지 않아요? 개인주의가 만연한 세상이라고들 하는데, 분명 모두가 남에게 관심 없는 척을 하는데, 또 타인과 연결되고 싶어서 인터넷을 뒤적거리고, 카톡을 하고, sns에 자신을 과시하고, 결국 모두 소통하고 싶어서 그런 거 아니에요?

 

p208. “그동안 혼자 얼마나 맘고생 했니. 이제 자유롭게 살아. 여행도 좀 가고, 네 마음대로. 엄마 아빠는 늘 네편이야.”

 

p258. 잔뜩 화가 난 사람처럼 B의 집을 나섰지만 사실 C의 기분은 그리 나쁘지 않았다. 그래도 할말을 했다. 사과는 받지 못했지만 10년 전에도, 얼마 전에도 하지 못했던 그말을 했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 - 제19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문미순 지음 / 나무옆의자 / 2023년 5월
평점 :
품절


돌봄과 간병에 대해 우리는 명주와 준성에게 어떤 말을 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 - 제19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문미순 지음 / 나무옆의자 / 2023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19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문미순 작가의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2023년 제 19회 세계문학상을 수상한 한국장편소설이다.

 

소설은 읽는 내내 내 어머니가 보였고, 내가 보였다.

우리 엄마 역시 오랫동안 시어머니를 간병하고, 병든 남편을 감당해야 하는 너무도 오랜 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당신 역시 나이 듦에 대해 자신이 감당하기 힘들만큼 불편해 졌으니까. 그리고 아주 짧은 시간이지만 나 역시 그걸 바라보는 것이 많이 힘들었으니까.

 

소설속 명주와 준성은 삶이 녹녹치 않다. 그렇기에 자신이 부모에 대한 마지막을 감당해 나간다. 소설속에 던져진 모든 건 그렇게 어느 날 갑자기 시작되고, 돌봄은 남겨진 누군가의 몫이 되지.”라는 말은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의 명주와 준성의 삶의 대부분을 함축해 준다.

 

간병이라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다. 소설에 등장하는 명주와 준성은 경제적 이유로 인해 간병을 오롯이 감당해야 된다. 아무도 도와주지 않고 혼자서 감당해야 되는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다. 우리 사회가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누군가 간병을 감당해야 되는 일들이 많아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간병이라는 무게를 개인이 감당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든다. 소설은 은연중 노인 돌봄에 대해 사회적인 시선으로 해결책을 생각하게 만든다. 어린아이 하나를 키우는데 온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다. 노인에 대한 간병도 그래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가족이니까 부모니까 간병의 몫은 당연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그 몫을 감당하는 개인의 일상이, 미래가 무너져 가는 것은 또다른 문제로 떠오른다.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의 명주와 준성이 선택한 마지막에 대해 나는 어떤 정답을 내릴 수 없다. 그저 그들이 살아내는 삶을 응원할 뿐이다. 그리고 그들의 시간에 대한 결말 역시 독자의 몫이다. 읽는 사람마다 다른 결말을 짓게 되지 않을까?

 

<줄거리 일부>

 

1년 반전 치매가 심해진 엄마와 살기 시작한 명주는 외출 후 귀가한 어느날 죽은 엄마를 발견하고 집안에 엄마의 사체를 관에 넣어 보관한다. 냄새를 막기 위해 방부제와 탈취 기능이 있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엄마 앞으로 나오는 연금으로 생활을 이어간다. 5년전 공장 식당에서 끓는 물에 화상을 입은 발은 아직도 통증이 심해 일을 하는 것도 힘들다. 함께 일하던 동료들을 만나고 집으로 돌아가는 그들을 보면서 엄마의 죽음에 자유롭고 홀가분한 생각을 했는데 불쑥 엄마가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명주의 이웃집에 대리운전을 하며 뇌졸중과 알콜성치매를 앓고 있는 아버지를 돌보는 청년 준성이 산다. 준성이 외출한 사이 집에 혼자 있던 아버지가 실수로 집에 불이 나고, 이로 인해 화상을 입고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을 하게 되지만 병원비로 인해 퇴원후 아버지의 간병은 오로지 준성의 몫이 된다. 어느날 목욕중 아버지를 놓치게 되는데..

 

<도서내용 중>

p66. 아들은 아버지를 운동시키려고 매일 그렇게 열심인데 노인은 그런 아들의 마음 따윈 헤아리지 않는 듯했다. 마음이야 백번 헤아린다 해도 술에 관한 한 제어가 안되는 것이겠지, 그러니 사람은 잘 바뀌지 않는다는 말이 맞을 지도 몰랐다. 아버지 역시 그랬으니까. 명주는 모두 그렇게 제 위의 하늘만 보고 사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p86. 명주는 얼핏 열아홉 살에 죽은 남동생이 떠올랐지만 고개를 저으며 힘없이 웃었다. 인생에 가정이 있었던가? 설사 남동생이 살아 있었다 해도 간병은 자신의 몫일 확률이 컸다. 변변한 직업도 없고 때울 것이라고는 몸밖에 없는 자신이.

 

p92. 하지만 어느순간 가족이 있는 집으로 총총히 돌아가는 그들을 보니 마음 깊은 곳에서 알 수 없는 감정이 꿈틀거렸다. 누구보다 자유롭고 홀가분하다 생각했는데 불쑥 엄마가 보고 싶었다, 그토록 지긋지긋해 마지않던 엄마가 사무치도록 그리웠다.

 

p172. -착하다는 말, 대견하다는 말, 효자라는 말도 다 싫어요. 그냥 단지 제 인생을 살고 싶어요. 이젠 그마저도 어렵게 됐지만요....

 

p204. -모든 건 다 그렇게 어느날 갑자기 시작되잖아. 교통사고처럼 예기치 않게 엄마가 아버지가 쓰러지고 돌봄은 남겨진 누군가의 몫이 되지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니 로빈스 거인의 생각법 - 내 안의 무한 능력을 꺼내는 힘
토니 로빈스 지음, 도희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토니 로빈스 거인의 생각법/내 안의 무한 능력을 꺼내는 힘

 

사람은 성공에 대한 열망이 있다. 그러한 반면에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함께 가진다. 나역시 다르지 않다. 매번 두려움 보다는 성공에 집중하자고 하지만 그렇게 쉽지 않다. 목표를 세우고 열심히 진행하다가도 어떤 변화가 닥치게 되면 작심삼일처럼 또 머뭇거리게 된다. 그러면서 또 다른 목표를 세우는 나를 발견한다.

 

[거인의 생각법]은 내가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장애물에 대해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저자는 어린아이처럼 생각하고, 질문하라. 변화하려면 꼭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라. 부정적인 사고를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하고,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려고 해야 한다. 또한 자신에 대한 보상도 이루어져야 한다. 등등 우리의 삶 전반에 관해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도서는 저자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질문을 통해 독자가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한다.

 

저자는 말의 중요함을 이야기 한다. 긍정적인 생각과 말. 우리는 습관적으로 부정적인 말을 먼저 하게 된다. ‘아니, 그건 아니고, 아니,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아니야. 이건 이렇게 해야 하는 거야등등. 아니라는 말을 먼저 사용한다. 변화라는게 쉽지 않지만 긍정적인 단어로의 언어습관을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삶의 방향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한다.

 

저자 토니 로빈스는 세계적인 자산가이며 유명한 변화 심리학의 최고 권위자로 수 많은 사람들의 인생을 경이롭게 변화시켜온 카운슬러이기도 하다.

 

[거인의 생각법]은 저자가 경험을 통해 얻은 성공을 위한 부자들의 마인드 365가지를 만날 수 있다. 글도 많지 않고, 읽어 내기에도 부담이 없다. 마음에 드는 어느 페이지를 펼쳐 읽어 나가는 것도 좋다. 우리가 원하는 성공을 위한 방법과 태도에 대해 다시한번 짚어준다. ‘내안의 무한 능력을 꺼내는 힘은 결국 내 안에 있다는 이야기이다.

 

살아가면서 우리는 많은 것을 원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녹치 않다. 그래서 좌절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도전해야 하고 성공을 생각해야 한다. 토니 로빈스의 [거인의 생각법]은 내삶 전반에 관한 점검할 시간을 주고, 미래에 나 스스로의 변화와 영향력을 생각하게 한다.

 

<도서내용 중>

 

p47. 우리는 누구나 이렇게 선택할 힘을 가지고 있다. 성공의 비결은 고통과 즐거움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혹시 당신의 삶에서 불필요한 고통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있는가? 힘들어 보이는 일들을 어떻게 하면 초점을 바꾸어 좀 더 배우고 성장하고 남을 돕는 즐거운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을까?

 

p56. 미루는 것은 고통을 피하는 가장 흔한 방법중 하나다. 하지만 실행을 늦추면 나중에 더 힘들어질 뿐이다.

 

p81. 모든 것은 내가 부여해야만 의미를 갖는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모든 일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은 인간이 갖는 경이로운 능력 가운데 하나다.

 

p150. 내 삶을 변화 시키는데 필요한 모든 것은 바로 내 안에 있다. 단지 가볍게 건드려 깨우면 될 뿐이다.

 

p289.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를 발견하려면 스스로에게 반드시 해봐야 할 질문이 있다. 바로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다.

 

p323. 새로운 경험 한가지를 추가하는 것으로 새로운 세상이 열리기도 한다. - 사소한 일들도 모두 새로운 일이 된다는 것을 기억하자. 무엇이 인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경험 자료가 될지, 언제 그 일이 일어날지 아무도 모른다.

 

p390. 내가 일상적으로 내리는 결정은 열대 우림의 파괴를 막고, 생태계의 균형을 회복시키고, 다음 세대를 위한 희망의 유산을 마련하는데 힘을 보탤 수 있다.

 

p405. 기적을 기대하라. 하지만 이미 당신 자체가 기적이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