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안을 알면 흔들리지 않는다 - 더 이상 불안에 시간과 에너지를 쓰고 싶지 않은 당신에게
키렌 슈나크 지음, 김진주 옮김 / 오픈도어북스 / 2025년 11월
평점 :
서평] 불안을 알면 흔들리지 않는다/ 더 이상 불안에 시간과 에너지를 쓰고 싶지 않은 당신에게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우리는 종종 불안이라는 감정과 마주한다. 그런데 이 불안이라는 감정은 한번 생기면 묘하게도 많은 시간을 함께 한다. 현대에 와서는 불안증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도 많고 심심치 않게 접하게 되는 두통이나 가슴통증, 혹은 공황장애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나역시 불안이라는 감정을 종종 마주하기에 불안이라는 감정을 어떻게 잘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 해결책? 나아가 호기심이 있다.
[불안을 알면 흔들리지 않는다]의 저자 카렌 슈나크는 성인과 아동의 정신건강을 관리해오고 있는 임상심리학자로 현대인들이 겪는 불안에 대한 감정을 사례와 임상심리측면에서 이해하고 불안을 극복하는 다양한 방법을 안내한다.
불안이라는 감정은 어떤 상황을 최악의 상황으로 인식하고, 점점 더 깊은 불안함으로 나아가는 힘이 강하다고 말한다. 불안을 피하는 방법으로 불안한 생각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기록하며, 그 감정에 이름을 붙여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때 불안이라는 감정과 함께 긍정의 감정도 무시하면 안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즉 감정이라는 것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정과 긍정적인 감정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이 감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이다.
간혹 불안한 마음이 들 때 그 불안을 생각해보면 그다지 무거운 것도 아니고, 어느때는 무슨 생각이었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불안감 감정이 지나고 나면 그 불안이 무엇이었는지 왜 불안을 느꼈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억이 나지 않는다. 불안이라는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그 시점과 이유등을 기록해 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불안이라는 감정은 거대한 파도와 같아서 고통이 몰려왔다 사라지기 때문에 불안과 싸우려하기 보다는 파도에 맞서 싸우는 서퍼와 같은 사고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불안감을 느낄 때 그 원인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불안을 긍정적인 상황으로 사고를 전환하는 것이 무엇보다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불안을 알면 흔들리지 않는다]에서 저자는 불안을 회피하는 것은 불안을 해결하기 보다는 불안문제를 유지하고 강화한다고 말한다. 회피하기 보다는 다른 각도에서 생각하고, 시각화, 다른 감정으로의 유도를 통해 좀더 안전한 방향으로 불안을 통제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불안을 받아들이고 마주하는 것, 그 감정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또 그 감정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찾는 것이 마음에 불안감을 해소하는 방법인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치고 불안이라는 감정을 완전히 배제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정도의 차이가 있고, 불안이라는 감정을 어떻게 통제하는 가에 따라 사고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불안을 알면 흔들리지 않는다]는 임상심리측면에서 불안이라는 감정을 전문적으로 설명하고,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쉽게 설명해 준다.
부록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무엇을 알아야 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블안장애의 증상 및 감각을 통해 불안이 신체에 어떤 증상으로 나타나고, 행동과 심리적으로 어떤 변화를 만들어 내는지를 알려준다. 불안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도 불안이라는 감정을 통제할 수 있는 힌트가 된다.
스트레스, 불안. 부정적인 사고로 힘들어 하는 현대인들에게 사고의 전환을 통해 일상생활에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길을 안내하는 [불안을 알면 흔들리지 않는다].
<도서내용 중>
p108. 불안한 생각을 파악하는 법은 정말 간단하다. 불안한 생각이 떠오를 때, 그 생각에 주의를 기울이고 기록하는 것이다. 마음이 다시차분해지고 나면 당시에 머릿속에서 무슨 생각이 떠올랐는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을 때가 많다. 따라서 불안한 생각이 떠오른 시점에 적어 두는 것이 좋다.

p145. 불안은 최악의 시나리오로 가는 길만 알려주는 내비게이션과 같다. 이 내비게이션의 안내를 맹목적으로 따라가면 결국 원치 않는 목적지에 도착한다. 다른 곳으로 가고 싶다면 내비게이션에 다른 목적지를 입력한 뒤 다른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p186. 격한 감정은 마치 바다에서 몰려오는 거대한 파도와 같다. 이 파도는 언뜻 높이 솟아올라 당신을 삼킨 뒤, 바닥으로 끌고 내려갈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감정적 고통은 파도처럼 밀려왔다가 사라지기도 한다. 감정에 맞서 싸울수록 지쳐 가는 나머지 힘이 빠져 죽을 것 같은 느낌이 들면서 상황은 악화된다. 따라서 파도에 맞서 싸우려 하기보다 당신을 서퍼라고 상상해보자. 파도에 몸을 맡기며 앞으로 나아가다 보면 파도는 결국 에너지를 잃고 잔잔해지며, 당신은 단단한 땅 위에 선 당신의 모습을 발견할 것이다.
p200. 감정에 이름을 붙일 때는 부정적인 감정 뿐 아니라 긍정적인 감정도 인식할 줄 알아야 한다. 그러면 불안으로 사소하게 느껴지던 삶의 긍정적인 경험에 감사할 수 있다.

p250. 회피와 마찬가지로 안전 추구 행동도 일시적으로는 불안을 줄이지만, 결국 근본적인 불안문제를 유지하고 강화한다. 안전 추구 행동 없이 불안을 겪는 상황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하는 탓에 위험해 보이는 상황이 실제로는 그렇지 않음을 배울 기회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p287. 불안장애에서 회복하는 길로 나아갈 때,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은 자녀가 연령에 따라 위험을 감수할수록 격려하면서 자녀와 함께 불안에 관한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