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니체, 예수의 13번째 제자 - 니체가 가장 만족한 저서 『안티크리스트』 거꾸로 읽기
김진 지음 / 스타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서평] 니체, 예수의 13번째 제자/니체가 가장 만족한 저서 『안티크리스트』 거꾸로 읽기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니체가 전하는 철학적인 시선은 조금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바라보는 것, 어떤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가치를 창조하는 것에 대한 것이라는 것에 대해 강한 인상을 남겼었다. 니체의 신앙을 바라보는 시선은 어떤 것인지 사뭇 기대가 되는 시점이다.
신은 죽었다, 신념은 감옥이다. 나를 파괴시키지 못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나를 강하게 만들 뿐이다 등의 명언으로 유명한 독일의 철학자 니체. 기독교 집안의 목사 아들, 예수에 대한 사랑이 깊었던 그가 신학을 포기하고, 신앙도 상실했다. 김진 작가의 [니체, 예수의 13번째 제자]에서는 저자가 니체를 어떻게 평가했는지에 대해 니체적인 시각에서 신앙을 살펴본다.
니체는 기독교에 대한 반항? 어쩌면 기독교인들의 시선에서는 기독교에 대한 적나라한 비판이 신에 대한 모욕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우리가 카톨릭의 타락에 대해 루터의 종교개혁을 바라보는 관점과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에 대한 다양한 율법과 신앙적인 믿음, 그 믿음의 중심에 있는 성직자들에 대한 현재의 시선은 무엇인가. 어떤 것이 옳고 그르다는 것에 대한 평가는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은 나 스스로도 깊다. 신앙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으로 소위 예수천국 불신지옥을 외친다. 내 개인적으로 신앙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을 거부한다. 그 사람들이 전하는 이야기들이 단순히 예수를 믿는 것만으로 천국에 가고, 그렇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는 기본적인 이야기들이 상당히 거북하다. 나는 그들에게 이야기 한다. 단순히 믿는 것만으로 천국에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교만아닌가 하고. 믿음이라는 것이 예수의 가는 길을 생각하고 그 길을 걷는 것, 사랑하고, 사랑하는 것이 율법의 기본이라고 가르치는 예수의 말씀을 거두절미 하고 단순히 예수를 믿는 다는 것 하나만으로 기독교인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교만이다.
[니체, 예수의 13번째 제자]는 니체가 예수자체를 부정하거나 기독교에 대한 반항에 대한 시선보다는 ‘안티크리스트’라는 글을 통해 진정한 예수의 제자, 진정한 믿음의 모습은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그가 말하는 신은 죽었다는 이야기는 신은 우리가 죽였다는 말로 이어지고, 이 말은 종교적인 믿음의 위에 서있는 신앙인들에게 따끔한 일침을 가한다. 결국 니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신에 대한 모독이 아니라 신앙이라는 우리가 우리의 신앙을 어떤 식으로 포장하는지에 대한 깊은 성찰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니체, 예수의 13번째 제자]는 예수를 사랑한 니체, 안티크리스트 거꾸로 읽기-62개의 주제, 니체는 이렇게 말했다 3개의 part로 구분하고 있다. 도서를 통해 니체가 진정으로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도서내용 중>
p40. 니체는 역사적 예수를 사랑했고, 그 복음이 지닌 능력을 알아차렸다. 그리고 그 복음을 다만 믿어서가 아니라 복음답게 실천할 때 비로소 복음이 된다는 위대한 복음의 핵심을 간파한 사람이다. 니체는 예수야 말로 자기가 말한 대로 살아간 유일한 존재였음을 선포했다.

p102. 나는 기독교인으로서 학문적인 성품을 지닌 자였으나, 극우 기독교인은 나를 배교자라 불렀다. 사실 나는 기독교의 이기적인 열정과 기만적인 감정을 거슬러 왔다. 그들이 진리라 여긴 것, 그 진리를 섬기는 방식에 대하여, 나는 언제나 다른 길을 택해왔다. 모든 당위는 나를 반대하기 위해 존재하는 듯 보였다.
p136. 무엇보다 예수는 무엇이 진리인지 알고, 또 진리를 믿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진리 그 자체와 진리에 대한 믿음 이 두가지는 전혀 다른 영역이지만 정반대의 세계는 아니다. 물론 이 두세계에 도달하는 길은 근본적으로서로 다르다.

p236. 바울에게 알렉산드리아에서 교육받은 훌륭한 문헌학자와 의사들은 적이아니었다. 그들에게 싸음을 건 적도 없고, 그들을 타락시킨 것도 아니다. 우리가 오늘 반대하고 분노해야 할 대상은, 예수 없는 교회요, 예수 없는 기독교이지, 예수의 진리가 아니다.

p241. 선악을 구별짓고 판단 하는 것은 인간 자신이 신이 되려는 욕망의 한 축이다. 그것은 곧 인간세계의 타락을 의미한다.
p309.신은 죽었다. 신은 죽은 채로 있다. 그리고 우리가 그를 죽였다. 우리, 모든 살인자 중에서도 살인자인 우리가, 어떻게 우리 자신을 위로할 수 있단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