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이 길이 되려면 - 정의로운 건강을 찾아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
김승섭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픔이 길이 되려면'이라는 책은 친구가 전해줘서 시작하게 되었지만,

처음 시작할때만 해도 사회역학자라는 용어도 좀  생소하고 어렵지 않을까 싶었었다.

'정의로운 건강을 찾아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데,

얼마 전 이용마 님 책을 읽었을때 제기했던 문제와 관련, 생각해볼 거리도 있고 나름 좋았다.

 

질병의 원인을 추적하는 학문이 역학이라면,

질병의 사회적 원인을 찾고, 부조리한 사회구조를 바꿔 사람들이 더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길을 찾는 학문이 사회역학이란다.

바이러스나 인체에 위험한 물질 따위를 질병의 원인으로 생각하는 건 알마든지 일반적이지만,

타인에게 혐오발언을 듣거나 구직 과정에서 차별을 겪거나 회사에서 정리해고를 당했을때, 이러한 경험도 질병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 관계를 모색해 내는 게 사회 역학자들의 역할이란다.

 

우려와는 다르게 전혀 어렵지 않았고,

문체도 아름다워서 감정이입(씩이나?)하며 읽을 수 있었다.

팩트의 전달이라도 어려운 용어만 사용한다면 생소해서 접근하기가 쉽지 않을텐데,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슈들(세월호 사고의 생존자와 유가족들,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소방 공무원, 성소수자, 왕따와 차별을 겪은 이들...등)을 쉬운 용어로 풀어내 편안하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을 읽은 후 드는 생각은 우리 같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는 것도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겠지만,

이런 사회적 이슈의 선봉에 선 사람들, 정치가들이나 사회문제 연구가, 정책 입안자 같은 사람들이 읽어봤으면 좋겠다.

그동안의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비중 있게 다가왔던 문제는,

태아기의 영양결핍이 성인 만성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절약형질 가설'이었다.

나 또한 어릴적 여러 가지 의미로 결핍을 경험하였고,

그리하여 각종 성인병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니, 조심하고 관리하여야 겠다.

 

또 한가지,

취업과정에서 차별을 경험했냐는 연구에서,

'예, 아니오, 해당사항 없음'의 대답 중 '해당 사항 없음'이 경우에 따라서 다르게 읽히고 해석된다는 점이었다.

이 '해당사항 없음'은 비슷한 다른 질문에서도 의미가 있는데,

차별이나 폭력을 겪고도 말조차 못할 때, 대수롭지 않은 일이라고 넘겨버렸던 것들이 실제로는 몸을 아프게 하는 원인이었다는 거다.

 

오늘 뉴스를 보니, 낙태와 관련한 조국의 코멘트가 눈에 띄었는데,

영어로 된 뉴스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생긴 '해석의 차이'에서 생긴 오해인지,

천주교와의 힘겨루기가 될 지 궁금하다.

잘못하면 꼴 사나운 해프닝으로 끝나버릴 수도 있겠다.

 

제도가 존재를 부정할 때 몸은 아프단다.(189쪽)

 

사회적 폭력으로 인해 상처입은 사람들은 종종 자신의 경험을 말하지 못합니다. 그 상처를 이해하는 일은 아프면서 혼란스럽습니다. 그러나 우리 몸은 스스로 말하지 못하는 때로는 인지하지 못하는 그 상처까지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몸은 정직하기 때문입니다. 물고기 비늘에 바다가 스미는 것처럼 인간의 몸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의 시간이 새겨집니다.(22쪽)

 

그래도 희망이 있는 것은 이런 생각을 하는 김승섭 님 같은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아픔이 단지 아픔으로 고착되지않고 길이 되기 위해서는,

앞 선이들의 눈물겨운 발자국도 중요하지만,

그 발자국을 발지취 삼아 함께 걸어가려는 사회적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그걸 김승섭 님은 이렇게 얘기한다.

 

아름다은 사회는 나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 예민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사회, 그래서 열심히 정직하게 살아온 사람들이 자신의 자존을 지킬 수 없을 때 그 좌절에 함께 분노하고 행동할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해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1-28 17:0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