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내게 책을 왜 읽느냐고 묻는다면 '그냥'이라고 대답하겠다.

독서 기록을 왜 남기냐는 물음에 대해서도 '그냥' 이라고 대답해야 겠지만, 이건 '그냥'은 아니다.

소싯적 기억력이 좋을때는 기록에 의지하지 않고도 책을 읽으면서의 감정 변화나 읽은 후의 느낌을 정리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기록에 의지하지 않고서 기억하기가 힘이 든다.

 

 

 

 

 

 

 

 소중한 경험
 김형경 지음 / 사람풍경 /

 2015년 7월

 

 

 

'김형경 독서성장 에세이'라는 부제를 달고있는 이 책은,

독서모임에서 '타인들의 이야기를 들어준 시간과 공간들에 대한 기록'이라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이 책에 나와있는 독서나 독서모임들은 어떤 방향성이나 지향점 따위를 가지고 있는 듯 여겨졌고,

게다가 그것도 독서 자체보다는 독서나 독서 모임을 통한 '성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듯 하여  씁쓸했다.

 

생각이 이리저리 딴방향으로 튀는 것이 짬뽕공 같은 나는 요번에도 이책에서 애기하는 것과는 다른 엉뚱한 것을 느꼈는데,

책을 성찰하는 책읽기, 치유하는 책읽기 등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읽어야 하는가, 

책읽기를 통해서 무엇인가를 하고, 무언가 도움이 되어야만 하는 걸까,

그냥 내멋에 겨워, 내 방식대로 읽으면 안되는 것인가 따위를 말이다.

 

프롤로그에서,

타인으로 하여금 그들의 내밀한 이야기를 털어놓게 만드는 재능과 더불어,

타인의 비밀을 듣고 자리를 털고 일어나는 순간 잊어버리는 망각의 능력까지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런 사람이 프롤로그 말미에서 책으로 엮으면서 그들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았는지 조심스럽다고 하는 걸 보면,

과연 망각의 능력을 두루 갖추기는 한 것인지 의심스럽지만, 쩝~(,.)

 

책을 읽고 기록으로 남기는 행위는 차치하고,

독서토론에 참석했던 사람들은,

자신의 얘기를 들어주는 귀가 필요한 사람들이 아니었을까 싶다.

나만 아프고 힘든 것이 아니라는 동료 의식을 더하여.

 

 

그런데 김형경은 책을 만들기 위한 소재를 수집한 것 같다.

치고 자기는 빠져버린다.

자신의 얘기를 들어줄 귀가 필요하지도 않고, 자기만 아픈 것이 아니라는 동료의식도 그녀에겐 해당되지 않는다.

절실하지가 않다.

절실하고 치열하지가 않으니 타인을 위로 할 수가 없다.

애벌레가 크기 위해서 누에고치를 벗어놓고 탈피를 하듯 그렇게 자신은 성장한다.

 

책 내용에 무의식을 자극당하면 미처 몰랐던 분노가 올라오기도 한다. 그때도 그 감정이 자기 것이라고 인식하지 못한 채 이상한 꼬투리를 잡아 책에게 화를 낸다. 이 책은 번역이 잘못된 것 같다는 둥, 표지가 촌스럽고 편집이 나쁘다는 둥 심지어 책이 시시하다거나, 재미가 하나도 없다고 화내는 사람도 있다. 저마다 내면 감정을 책과 저자에게 투사하는 행위이다. 독서모임에서는 그란 말을 하는 사람에게 그 배면의 감정을 알아차리도록 이끈다. 사실 삶에서 만나는 타인이나 경험에 대해 판단이나 의심 없이 수용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런 사람이라면 치유 노력이 필요없는 상태일 것이다.(36쪽)

 

독서나 독서모임을 통해서 무엇인가를 성취하려고 하고 그걸 성장과 동격으로 취급하는 그녀를 탓하려는건 아니다.

독서 모임이나 독서토론은 차치하고,

그냥 묵묵히 책을 읽으면서 생각을 하고, 개인의 기억을 위한 용도로 기록을 하는 것도 나쁘진 않다는 것이다.

 

독서모임에 참석하는 이들이 처음부터 자기표현을 잘하는 것은 아니다. 일 년이 지나도록 자기 이야기를 한 마디도 꺼내놓지 않는 이도 있고, 친구 따라 모임에 참석했지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은 사람도 있다. 가장 어려운 점은 오래 사용해 온 페르소나를 벗는 일이다. 모임에서 말하는 방식도 그들의 생김이나 성격만큼 각양각색이다. 이를테면 책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요약해와 세미나에서 발표하듯 말하는 사람이 있다. 책을 읽으면서 어떤 감정을 느꼈는지 물으면 내면이 정전된 것 같은 표정을 짓는다. 일상생활을 사건 파일 보고하듯 말하는 사람도 있다. 그 일을 겪을 때 어떤 느낌이 들었느냐고 물으면 언어가 중단된다.(39쪽)

 

나라가 뒤숭숭 해서 책이 안 읽힌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저 묵묵히 책을 읽고, 읽은 느낌을 이렇게 정리하는 것 외에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나같은 사람도 있다.

all or nothing이 이런 식으로 쓰이는지 모르겠지만,

내게 '그냥'은 단순히 그냥이기도 하지만, 모든 것을 아우르는 말이기도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행복하자 2016-10-26 18:19   좋아요 2 | URL
그냥 이라는 말. 제가 제일 좋아하는 단어입니다. 세상의 모든 일에 꼭 이유가 있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이유와 목적이 있어야만 한다면.. 사는것이 좀 많이 피곤할듯 해요~
그냥 책 읽고 그냥 공부하고 그냥 .. 하고 싶어서...
너무 물에 물탄듯 술에 술탄듯 사는것 처럼 보일까요? ㅎㅎㅎ


양철나무꾼 2016-10-27 15:27   좋아요 1 | URL
저도 그냥이라는 말 좋아요.
목적이 없는 듯 순수하게 여겨져서 말이지요.

물에 물탄듯 술에 술탄 듯 살더라도,
바람이나 햇살 따위 경계가 없더라도 두루 공평하게 넉넉할 수 있잖아요.
그리 살아도 좋지않을까요?
헤에~^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