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읽기부터 시작하는 글쓰기 수업
이권우 지음 / 한겨레출판 / 2015년 11월
평점 :
독서는 내 삶 최대의 기쁨이고, 때문에 책을 들이고 그 책을 읽을 때 가장 행복해 하지만,
스스로 책을 고를 깜냥이 안되는 고로 서평집이나 이곳 알라딘 서재에서 고수들의 도움을 받는다.
이권우도 그 중 한명이다.
이 책이 나왔다는 얘기를 들은지 좀 되었는데 '책읽기부터 시작하는 글쓰기 수업'이라는 제목이 주는 뉘앙스 때문에 작법서라고 착각 하였었다.
책이 좋다고 설레발을 치고 다니지만, 읽는 속도가 그러모으고 쌓아두는 속도에 한참 못 미쳤다.
어느 순간 돌이켜보니 그동안 모아 놓은 책들도 다 읽지 못하고 죽을지 모른다 싶었고,
책은 덩치가 되어 나를 내리누르는 중압감이 되었다.
무엇을 먼저 읽을 것인가,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읽을까 따위를 고민하게 되었고,
책을 읽은 그 순간의 느낌을 잊지 않기 위하여 꾸준히 글을 남겼지만,
글 잘 쓰는 법 따위는 고민해 본 적이 없을 정도로 나와는 별개의 일이라고 생각했었다.
제목만 봤을 때는 글을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책을 잘 읽어야 한다고 얘기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실상은 책을 잘 읽기 위해서는 글을 제대로 쓸 줄 알아야 한다고 하고 있으니,
내게 안성맞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작가는 글쓰기를 통하여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내는 것이고, 그걸 읽어내는 것이 독자이다.
이쯤에서 우리나라 입시 제도의 문제점이 나와 주시는데,
읽기는 선생님과 함께 읽고 주제어를 뽑고 요점정리를 해보는 수동적인 행위인 반면,
쓰기는 자신이 직접 무언가를 써야 하는 능동적인 창조의 행위였다.
때문에 쓰는 작가의 입장이 되어 볼 수 있어야,
작가가 글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잘 읽어내는 독자가 될 수 있다는 의미이겠다.
그렇다고 독자가 작가의 입장이 되어 보는 것을 마냥 어렵게만 생각할 것은 없다.
읽기와 쓰기를 접목시키는 방법으로 여러가지가 있을텐데,
중요한 글에 밑줄을 긋고 메모를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 독후감으로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도 있다.
그 책을 쓴 사람의 논리구조, 논증법, 수사학까지 분석해 내는 것으로까지 발전할 수도 있는데 이경운 단순한 독후감이라기 보다는 전문적인 장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얼마전, 서평과 독후감의 차이는 무엇이고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놓고,
말하자면 정해져 있지 않은 '이달의 당선작 선정기준'을 갖고 '갑론을박' 하는 것을 보았다.
내가 마지막으로 논쟁을 본게 얼마전이라는 얘기이고,
이곳이 책을 매개로 한 커뮤니티이다 보니까, 그동안에도 종종 있어 왔지만, 뭐~(,.)
서평과 독후감의 그것은 이 책에서 이권우 님이 예를 들어가며 자세히 언급하고 있으니 그걸 보면 될 것 같고,
요번 논쟁을 바라본 내 입장은 이렇다.
알리딘 인터넷서점이라는 영리회사로부터 나라는 개인이 서재라는 공간을 빌려 쓰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서평이 되었건 독후감이 되었건 간에 알라딘 인터넷서점의 취지는 고려하지 않고 작품성을 앞세워 바라본 적은 없다.
오히려 서재의 주인장이 나와 비슷한 취향인지에 관심을 가졌었다.
영혼에서 나는 찝찌름한 냄새가 같을까,
그리하여 서평이나 독후감이라는 형식으로 소개하는 책들이 내 수준과 취향에 맞을까, 에 집중을 했었다.
서재 주인장의 글솜씨가 좋을 경우, 감정을 남발하거나 수사가 화려해져서 책의 원래 내용을 왜곡시키거나 흐려놓기도 하는지라 오히려 경계했다.
그러므로 알라딘 인터넷서점의 이익과 내 이로움이 합쳐지는 곳이 타협점일텐데,
그 접점이란 알라딘 서재 이웃들이 권해주는 책을 알라딘 인터넷 서점에서 사 읽고 싶게끔 정도가 아닐까 싶다.
과연 누가 책 읽는 사람이 될까요?ㆍㆍㆍㆍㆍㆍ자신에게 부족한 점이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이를 채우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책을 읽더라는 것입니다.ㆍㆍㆍㆍㆍㆍ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안으로는 자신의 부족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인정한다는 사실입니다. 내 삶에 부족한 것이 있으나 이를 숨기고 무시하려 한다면 발전이 있을 수 없습니다. 훗날 큰일을 해낸 사람들은 바로 그것을 인정했더라고 방금 말씀드렸지요. 성찰과 각성이라는 말은 그래서 썼습니다.ㆍㆍㆍㆍㆍㆍ성찰을 통해 내가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깨달았다면, 책을 읽어 이를 메워나가야 합니다. 책읽기는 그러니까 의미 있는 실천입니다.ㆍㆍㆍㆍㆍㆍ다음에는 그 부족한 것을 책읽기로 채우려고 애쓰느냐 마느냐 하는 것입니다. 성찰하고 각성해서 실천하면 누구나 다 책벌레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ㆍㆍㆍㆍㆍㆍ나를 위로하고 격려하고 자신감과 충족감을 안겨주는 책이 가장 좋은 책입니다. 주변 사람이 그런 책을 왜 보느냐고 타박해도 신경쓰지 마세요. 왜냐고요? 여러분이 무엇이 부족하다고 느끼는지 그들은 알리 없기 때문입니다. 대신, 그게 무엇이 되었건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기 위해 읽는 책이라면 '열독'해야 마땅합니다. 건성으로, 대충 보아서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94~96쪽)
앞에서 잠깐 '능동적 창조의 행위를 수동적 행위가 이길 수 없다.'고 얘기하다가 말았는데,
나는 책을 읽는 것 자체가 목적이기 때문에,
책을 읽는 걸로 충분히 즐겁고,
그런 읽은 책의 기록들이 차곡차곡 쌓여가는게 기쁘다.
책을 읽은 느낌을 꾸준히 글로 남겼지만, 글이 늘지 않는다고 고민해 본 적은 없다.
연습한지 몇달 되지않는 글씨가 좋아지지 않는다고 툴툴거리기는 했었지만 말이다~(,.)
'알라딘' 이곳이 인터넷 서점이라는 특성 상 글 잘 쓰는 고수들이 곳곳에 숨어있을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하여 서평과 독후감의 기준이 바뀌거나,
글을 얼마나 잘 쓰는지 내지는 글의 작품성 따위를 특별한 기준으로 내세울 필요는 없다는 거다.
글을 잘 쓰는 고수들이 전문적으로 글을 쓰는 프로 작가들일수도 있지만,
능동적 책읽기의 연장선에서 기꺼이 기록을 남기는 사람일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책읽기가 됐든 글쓰기가 됐든 능동적 창조의 행위를 수동적 행위가 이길 수 없다.
아는 것을 널리 알리기 위한 글쓰기가 아니라 아는 것이 과연 진리인가 하는 성찰을 유도하는 글쓰기는 불가능할까요? 이미 형성된 자기를 글쓰기를 통해 깨어버리고, 새로운 존재로 도약하기 위한 몸부림을 담은 글쓰기는 불가능한 걸까요? 우리의 글쓰기에는 반성과 참회, 새로운 각오는 어울리지 않는걸까요 우리의 글쓰기에는 반성과 참회, 새로운 각오는 어울리지 않는 걸까요? 요약, 분석, 논리, 설득을 넘어서는 그 무엇 말입니다. 감당할 수 없는 일을 하였지만, 이 책이 읽고 쓰는 힘을 키워져 이런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데 이바지해주길 바랄 뿐입니다.(254쪽)
이 책이 이렇게 끝맺고 있는 걸 보면, 책읽기나 글쓰기 중 어느 하나를 힘주어 얘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기꺼이 능동적으로 하는 모든 행위의 위력에 대해 얘기하고 있는 것이다.
늘 하는 얘기지만 이권우 님이 좋은 것은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다른 많은 책들이 문제를 제기하기만 하지 대책을 강구할 생각조차 안 하는데 반해,
그는 대책이 없다고 문제 의식을 갖는 것조차 포기하지는 않는다.
문제를 제기하고 어떻게든 머리를 맞대고 의논해 보려고 한다.
노력이라도 해보자고 한다.
그러니 내가 그를 읽지않고 버틸 재간이 있겠는가 말이다~ㅠ.ㅠ
한가지 의문사항이 있는데,
108쪽에서 '우리말 어법'에 맞에 써야 한다면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제목이었던 <무릎팍도사>를 예로 드는데,
네이버사전을 찾아보니,
라고 나온다.
그밑에 <지식백과>등장하는데, '에듀넷'에서 운영하는 건가 보다.
몇개가 나란히 등장하는데,
첫번째 것은 중2 교과과정이라고 되어 있고, 세번째 것은 초6교과과정이라고 되어있는데,
문제는 옳고 그름이 다르다.
이렇게 모호해서야, 사전을 찾고도 혼란스럽기만 하다~ㅠ.ㅠ
2.한글 맞춤법
- 1) 뜻: 우리말을 한글로 적을 때 지켜야 할 약속
- 2) 원칙: 표준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되 단어의 원래 형태를 밝혀 적음
- 뻐꾸기(×) / 뻐꾸기(○), 무릎팍(○)/무르팍(×)
교과과정 중학교 > 중학 2 > 국어 ④
우리말 다지기
- ※ 잘못 쓰기 쉬운 낱말
- 몇일(×) → 며칠(○)
- 무릎팍(×) → 무르팍(○)
-
- 교과과정 초등학교 > 초등 6 > 1학기 > 국어 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