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답고 정확한 글쓰기'란 무엇일까?
또는 '자유롭고 행복한 글쓰기'란 무엇일까?
'한국어 글쓰기 강좌'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고종석의 문장1, 2'의 부제들이다.
글을 쓴다는 것은 깜박깜박하는 기억을 붙잡아두는 기록이라는 의미에서 글쓴이의 내적 독백이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글을 읽게 될 누군가를 고려하여,
또는 내면의 읊조림을 누군가가 읽어주길 바라며, 쓰여지는게 아닐까 싶다.
때문에 '아름답고 정확하거나 자유롭고 행복한' 글쓰기라는 것은,
'아름답고 정확하거나 자유롭고 행복한' 필이 충만하여 쓴 글이거나,
읽는 사람이 전후사정이나 자신의 감정이나 추억을 약간 가감하는 것만으로도,
'아름답고 정확하거나 자유롭고 행복한' 마음이 된다는 의미가 아닐까 싶다.
그런 의미에서 난 심미안은 아닌지라,
'아름답고 정확하거나 자유롭고 행복한' 마음보다는 약간 어긋나고 허술해야 숨통이 트이고 편안해지는,
아름다움보다는 편안함을 우선시하는 족속이다보니,
'아름답고 정확하거나 자유롭고 행복한' 글쓰기라는 말에 혹해서 강좌를 듣거나 책을 읽을 일이 없을거라고 생각 했었고,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이지만,
난 쌍꺼풀 짙고 촉촉하고 큰 낙타눈은 '느끼남'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던 터라,
글에서도 사르륵 사르륵 모래바람이 날리는게 아니라 찐득찐득함이 묻어나는 늪일 것 같아서 고려대상이 아니었는데,
그 넘의 책베개에 홀려 넘어갔다~--;
고종석이라고 하면,
글 잘쓰기로는 내로라하는 사람이고,
이 책이 글쓰기 강연을 활자로 풀어 놓은것이기 때문에,
설정이나 마케팅 상, 글쓰기가 재능이 아닌 훈련에 달려 있다고 너스레를 떠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1권 겉표지의
'모든 뛰어남이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타고나는 겁니다. 음악이나 수학은 재능을 타고나지 않으면 아무리 노력해도 다다를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글쓰기는 수학이나 음악과는 다릅니다. 충분한 훈련이나 연습으로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글 쓰는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글이 나아집니다.'
라는 돌출 글이나,
그 내용을 본문 중에 다시 한번 강조한 걸로 보나,
글쓰기가 재능이 아닌 훈련에 달려 있다는 그의 주장은 설득력이 약하다, ㅋ~.
난 세상의 많은 것들이 훈련이나 연습 등 '엉덩이의 뚱뚱함=엉.뚱.함'이 좌우한다는데 긍정적이지만,
이런 예술적인 분야는 '엉.뚱.함'말고도,
오감외에, 예감이나 영감이라고 부르는 육감, 또 다른 말로 '촉'이라고 하는 그것을 어느 정도는 타고나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연후에 '엉.뚱.함'까지 갖추고 있으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말이다.
책을 읽는 사람들의 수요가 점점 줄어드는 요즘 같은 추세로 미루었을때,
일일이 글로 옮기느니 잘 편집하여 동영상 강의 따위로 만드는게 접근성이나 효용성 면에서 낫지 않았을까 싶지만,
이렇게 책으로 만들어 낸 걸 보면,
책 뒷표지의 그것처럼 고종석이 '당대의 문장가'란 사실을 이용한 마케팅 전략의 승리라고 밖에 할 수가 없겠다.
고종석은 이 글쓰기 강연을 통하여 자신이 글쓰기보다 말하기를 더 즐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할 정도로,
강연의 완성도나 강연을 들은 이들의 만족도 또한 높았나 보다.
난 책도 그렇고 사람도 그렇고, 그들을 통해서 내가 모르던 새로운 것을 알게 되는 걸 즐긴다.
파리 생활이 그의 이력과 사고 방식에 어떤 영향력을 미쳤는지 모르겠지만,
내겐 독특하게 느껴졌고,
그 낯선 어색함, 글들여지지 않은 날것의 느낌을, 박학다식함으로 착각했었나 보다.
그의 전작 '자유의 무늬'를 예로 드는데,
앞부분에 많은 것들이 집중 포진되어 있어 몰입이 잘되는 반면, 중반부로 넘어가면서는 여백도 많아지고 내용도 성글어지고,같은 내용이 되풀이된다.
강의를 직접 들은 사람들에게는,
그 시간이 직접 글을 써보는 시간이었을지도 모르고,
첨삭을 하는 등 실제 자신의 글쓰기에 적용해보는 의미있는 시간이었을지도 모르지만,
책으로 읽다보니,
초반부에 집중하고 몰입하게 만들었던 그 매력이 감소하고 나니, 그의 강의가 일반론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백이 너무 많고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지루하게 늘어지는 책일 수밖에 없다.
규칙이나 공식이 있는 것은 그 규칙이나 공식을 나름 적용하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 같은것,
언어감각을 키워야 할 것마저 규칙이나 공식으로 만들어서 틀에 넣다보니,
강의를 하고 들을 때는 폼나고 이해도 빠른것 같지만,
글쓰기는 규칙이나 공식으로 해결안되는 부분도 있고,
그리고 규칙이나 공식이 적용되는 그 부분 마저도,
세월이 흐르면서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규칙이나 공식을 쉽게 외우는 방법을 만들어 전수한다 한들,
실제 적용해 보지 않고서는, 언어감각이 향상되거나 할 리가 없다.
그러면서 필사가 별로 도움이 안 되니 하지 말라고 하는데,
고종석은 책 내용을 보니 강의 중에, 은연 중에 자기 스타일을 강요하고 있다.
언어규칙과 공식에 관해서라면 그가 아니어도,
우리나라 국어학자나 언어학자의 수만큼 많은 이견이 분분할 것이다.
더 정리가 잘 되고 간결한 글쓰기 책도 많을 것이다.
그는 글쓰기 테크닉을 넘어서, 인문교양과 언어학적 이해에 바탕을 둔 기품있는 글쓰기로,
논리가 있는 명확한 아름다움과 수사학적 아름다움, 아울러 한국어 지식을 얘기하고 있다.
'뱁새가 황새 따라가자면 가랑이가 찢어진다'고,
기품 있는 글이 좋은 글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좋은 글쓰기란,
맞춤법이나 어법의 정오에 연연하기보다는,
글쓰는 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치장하지 않고 간결하게 표현하여,
쉽고 편안해서 쓰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이나 거추장스럽지 않고 편안해서
숨쉬듯 읊조리듯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없고,
글을 쓰는 사람의 숨결과 개성이 녹아 있으면 된다고 생각한다.
거기에 일상의 잔잔한 재미가 녹아있으면 더할 나위가 없고 말이다.
다시 이 글의 처음으로 옮아가,
글을 쓴다는 것은 글을 읽어줄 누군가가 있어야 하는 것이고, 적어도 누군가가 글을 읽어주길 바라며 쓰여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글의 기품이라는 것, 품격이라는 것은,
글을 쓰는 사람의 마음과 읽는 사람의 마음이 어느 한곳 만나는 지점에서, 소통하는 지점에서 탄생한다.
그리하여 글쓰기는 사람과의 사귐과 닮았다.
자신의 스타일을 테크닉이라는 이름으로, 내지는 빨리 그 사람의 마음을 얻는 지름길이라고 하여, 은연중에 강요하는 그런거 말고,
자신의 어느 한부분, 한지점을 기꺼이 포기하고 내어버릴 준비가 되어 있어야 받아들일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자신의 본질과 본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질과 본성을 잃게 되는 것은 자기 자신을 잃게 되는 것이니까 말이다.
고종석의 문장
고종석 지음 / 알마 /
2014년 5월
고종석의 문장 2
고종석 지음 / 알마 /
2014년 9월
암튼 그렇다고, 고종석의 꿀꿀함을 '라면송'으로 달래겠다는 나는 뭐람~(,.)
뭐긴 속물이지~!
속물이 뭔지 모르겠고,
속풀이엔 라면이 그만이던데,
라면송엔 이런 가사가 나온다.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모든 일상에
쉬운것은 하나도 없지
힘이 들고 지쳐갈땐
천국에서 라면으로 속을 달래봐
엊저녁 '세상 쉬운 일 하나도 없지.'어쩌구 저쩌구 하며,
'이럴땐 술집에서 안주나 축내는것도 좋은데'라고 어물쩡 넘어갔다.
그런데, 언어적 기품이 다르다보니,
'술집에서 양주나 축내는것도 좋은데...'라고 알아듣고는 '레알?'하며 되묻는것이다.
'라면송', 이 노래를 일찍 떠올렸다면 '레알?'소리를 들어가며 재차 확인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인데 말이다, ㅋ~.
내츄럴 (Natural) - Special Album
내츄럴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2008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