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억 전달자 ㅣ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0
로이스 로리 지음, 장은수 옮김 / 비룡소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일상에서 난 독창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행동을 하는 유니크한 존재이고 싶을때도 있지만,
남들과 별반 다를바 없는 똑같은 생각을 하는 보편적인 사람이란 사실이 커다란 위안이기도 하다.
이 다름과 닮음을,
이 따로 또 같이를,
일상에 적용시키면서 느끼는 것은 사람 사는 세상 다 거기서 거기라는 것, 비슷 비슷하다는 것이지만,
비슷비슷해도 똑같지는 않다.
설사 똑같은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사람에 따라서 처한 위치와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생각하거나 느낄 수 있고,
그것에 대해서 잘ㆍ잘못을 얘기하거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이다.
한때 공산주의 사회를 이상향으로 생각했었던 적이 있다.
이론상으론 공동생산, 공동 분배를 통해서 똑같이 모든게 이루어지는 평등한 사회일거라고 생각했었는데,
그건 사람이 개개인마다 개성과 능력을 달리하는 존재가 아니라, 똑같은 존재일때나 가능한 설정이었다.
진정한 의미의 평등한 사회는 개개인의 개성과 능력에 따라 성과나 결과가 차이가 나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개개인의 사유재산이 성립될 수밖에 없게 되는,
악순환이 되고 만다.
'쌍둥이도 세대차이를 느낀다'는 말이 있고,
'부부도 오래 살다보면 닮는다'는 말이 있다.
한날 한시에 태어났더라도,
생김새가 닮았다는 이유만으로 개성과 성격이 똑같을 수 없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었다.
반면,
부부로 같이 살면서 개성과 성격을 보고 자연스레 닮아가다보면,
다시 말해, 한집에서 한 이불을 덮고 같은 종류의 음식을 먹으며 같은 생활 습관이 몸에 배어,
생김새나 분위기도 자연스레 닮아간다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이심전심' 나와 닮은 사람을 꿈꾸며 공감대를 형성한다며 좋아했었지만,
이 책에서처럼 피부색이나 언어 따위로 인한 차별이 없는 평등이라는 이유로,
똑같은 옷을 입고,
똑같은 머리모양을 하고,
부부관계라는 것도 없이 배우자는 신청을 하면 골라주고,
아이도 사랑의 결과가 아니라 배급에 의해,
음식도 맛이 없더라도 정성과 애정이 담긴 그런것이 아니라,
온동네사람들이 배분된 같은 음식을 먹고 한다면,
생긴것은 조금씩 달라도 누구에게서도 다른점을 찾아볼 수 없는 '늘같은상태'라면 얘기가 달라질 수도 있겠다.
" ㆍㆍㆍㆍㆍㆍ사람들 역시 한때 모든 것을 느낀 적이 있었다. 너나 나처럼 말이다. 사람들은 한때 긍지, 슬픔, 그리고ㆍㆍㆍㆍㆍㆍ."
"그리고 사랑."
조너스는 말을 이으면서 자신에게 아주 큰 영향을 주었던 그 가족 풍경을 떠올렸다.
"그리고 고통."
조너스는 다시 병사를 떠올렸다.
"기억을 품는게 힘든 가장 큰 이유는 고통이 아니라 외로움이다. 그러니까 기억은 함께 나눌 필요가 있어."(262쪽)
살다보면 오래 기억하고 싶은 기분 좋은 기억도 있지만, 너무 슬프고 아파 빨리 잊고 싶은 기억도 있다.
한때 난 기억력이 비상하다고 좋아했었다.
기억력이 비상하다는 것은 기분 좋은 추억 뿐만 아니라 슬픈 추억을 향하여서도 비상한 기억력을 발휘하는 것이어서,
선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기분 좋은 한때, 이 책에서 사랑이라고 나오는 그 한때는, 슬픈 한때와 대구를 이루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어우러져 '기억'이 된다.
이를테면, 기쁨과 슬픔을 '함께'해서 배가 되고 반이 되는 그런 경험 말이다.
반대로 '늘 같음 상태'라는 것은 그것이 기분 좋은 추억으로만 이어졌다고 하더라도,
늘 기분 좋은 상태의 연속이면,
각인되는 것이 없을 것이고,
때문에 기억력이 좋고 나쁘고, 를 떠나서 기억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똑같은 옷을 입고, 머리모양을 해서, 개인의 개성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똑같이 배분된 음식을 먹어서 맛이란걸 구별할 수 없다면,
저마다의 특기할만한, 독특한 기억이란것도 존재하지 않을테고 그렇다면 추억도 없을것이다.
역설적으로 이렇게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모든 구별은 기준이 있고,
그 기준을 두고 비교에 의해서 발생한다.
기준을 두고 비교를 통해서 인간의 감정을 섬세하게 구별을 할 수도 있는 것이지만,
이 비교를 통한 구별을 통해서, 인간의 고질적인 병폐 '차별'도 발생한다.
거기서 나 또한 완전 자유롭지는 못하다.
나에게 어느 쪽을 택하겠냐고 묻는다면,
고질적인 병폐인 '차별'이 발생하더라도,
지방색에 따라 음식을 만들어 먹을 수 있고,
개개인의 개성과 능력에 따라 독창적인 사고 방식을 가지고 행동을 하는 그런 쪽을 택하겠다.
정답은 없다.
아니 나는 정답을 모른다.
수많은 경우의 수가 있고,
그 중 한가지 방법을 다만 'try to'해볼 뿐이다.
누군가의 노래 가사 중에 이런 구절이 있더라.
' ㆍㆍㆍㆍㆍㆍ그대는 내가 아니다.
추억은 다르게 적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