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글쓰기
강원국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제목은 '대통령의 글쓰기'이고, 띠지에 적힌 부제는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에게 배우는 사람을 움직이는 글쓰기 비법'이다.

하지만, 이 책은 작법서는 아니다.

아니, 작법서라는 말로는 부족하다.

꼭 제목을 정해야 한다면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에 관한 책 정도라고 해야 할까?

 

 

난 책을 읽을 때 기억해 두고 싶은 구절이나 오탈자가 있으면 포스트 잇을 한줄 너비로 잘라서 붙이는 습관이 있지만,

책을 읽은 후 기록을 하고 바로 떼어내기 때문에,

게다가, 포스트잇을 한줄 너비로 잘라 붙인다는게 여간 수고롭지가 않기 때문에, ㅋ~. 

포스트 잇을 덕지덕지 붙이게 되는 일은 거의 없다.

어떤 용도로 붙였는지는 노코멘트라고 했을때 기억에 남는 것으로는 '하트의 전쟁'과 '신들의 봉우리'가 있지만,

이 책 '대통령의 글쓰기'엔 한참 못 미친다.

하지만, 포스트잇을 자르는 수고로움쯤은 이런 책만 있다면, 감지덕지로 여길 수 있겠다.

아흑~, 좋아도 너어무 좋아~^^

내가 이 책을 향하여 이렇게 감정이 헤프면, 책을 제대로 못 읽은게 되는데,

난 글 잘쓰는 법 따위엔 관심이 없고, 사람도 여러 사람의 마음을 얻겠다는 욕심따윈 없으니까 말이다~(,.)

 

그렇다고 내가 이 책을 통하여 글쓰는 비법을 전혀 전수받지 못했느냐고 하면, 또 그렇다고 할 수만은 없다.

대통령이 글을 쓰는 이유는,

국민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밝히고,

그리하여 국민들의 생각을 변화시키고,

그리하여 국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그리하여 국민들의 마음, 즉 사람들의 마음을 얻는데 있다.

그런데, 그 감동이라는 것은, 진심에서 나오지 기교에서 나오지 않는다.

 

이 책은 국민의 정부와 참여 정부, 8년동안 대통령의 연설문을 쓰고 다듬은 분이 쓴 것이기 때문에,

두 대통령의 글쓰기 지침 같은게 녹아 같이 버무려져 있다.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의 스타일을 나열하고,

두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다 타당한 얘기이고, 그 속에 글쓰기의 모든 답이 들어 있으니(다시말해, 이보다 나은 작법서는 없을 것이니까),

궁금하신 분 또한 일독하시면 되겠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는 정치나 대통령 따위에는 관심조차 없었다.

정치나 대통령 따위는 어떤 소수의 특권 계층을 상대로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었고,

그렇기 때문에 대통령의 관심은 어떤 소수의 특권 계층에게로 집중된다고 착각했었다.

(난, 소수의 약자라고 생각했다, ㅋ~.)

그 중 몇몇 대통령을 향하여 개인적인 호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나만의 일방적인 것이라고 생각하고 묻었다.

 

하지만, 글쓰기 비법이나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따위가 궁금하지 않다던 내가,

아흑~, 좋아도 너어무 좋아~^^

하며 설레발을 치는 이유는,

이 책 '대통령의 글쓰기'를 통하여,

그것이 나만의 그들을 향한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당신들 또한 국민들을 진심으로 사랑하였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고,

그리하여 진정 감동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제목은 '대통령의 글쓰기'라고 되어 있지만,

읽다보면,

당신들이 어떤 방법으로 국민들과 공감하고 소통하였으며 사랑했는지, 가 생생하고 크게 와닿아

지. 못. 미. 의 마음이 되고,

접어두고 묻어두었던 나의 그것을 이렇게나마 한번이라도 표현하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어디 말과 글뿐이겠는가. 어린아이와 사진을 찍을 때 다리를 크게 벌려 키를 맞추는 노무현 대통령의 모습 속에 글은 어떻게 써야 하는지 답이 있다.(36쪽)

   

대통령이 말과 글로 자국민을 사랑한다고 하여도, 그건 대통령의 소임이다.

그 말과 글이 국민의 마음을 움직였을때,

다시말해, 말을 하는사람과 듣는 사람이,

글을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이,

같은 파장에서 만나 공감과 소통으로 이어져서 마음을 움직였을때,

감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을 글쓴이 '강원국' 또한, 이권우처럼 '진정성'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그러면서 진정성의 조건으로 진짜, 진실한 것(속셈이나 저의가 없는것, 겉과 속이 같은것), 뉘우치는 것(즉, 반성하는것), 행동과 실천을 꼽으며,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자신이 빠지면 안된다고 전제한다.

나를 가장 주억거리게 만든 것은, 

선한 동기를 갖고 한 일이니 진정성을 인정해 달라고 하는 것은 곤란하며,

자기행위의 결과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는 것이라는 부분이었다.

이 진정성에 이 책을 읽고 나름대로 깨달은 것을 추가해 보자면,

대화에 있어서 몸을 기울여 듣는다는 경청(傾聽)과,

내 말을 자제하고 남의 말을 듣고 사람을 격려하는 것,

내 자랑을 안 하는 것,

사람이 낙심했을때 용기를 주는 말을 많이 해야 하는데, 기술적으로 하면 안되고 마음으로 해야 한다는것,

이렇게 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을 들으면서 아침을 먹다보면,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나와서 하는 얘기를 듣게 된다.

요즘은 시즌이 시즌이니만큼, 선거를 앞두고 참 많은 사람들이 많이 나온다.

그들이 하는 얘기를 듣고 있다보면,

자기 잘난척을 하느라고 하늘 높은 줄 모르는 사람부터,

다른 사람을 깎아내리느라 혈안이 된 사람,

누가 궁금하댔나, 고릿적 전혀 상관 없는 일까지 끄집어서 굴비 엮듯 엮는 사람,

에 이르기까지 가관도 아니다.

근데 이런 사람들의 공통점은 하나같이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이 하는 말을 듣고 있는 시간도 아깝고,

이런 사람들에게는 '대통령의 글쓰기' 이 책을 읽으라고 귀뜸해 주는 것조차 아까우니까, 됐고,

 

노력을 하는데(...라는 전제조건이 붙는다) 안타까운 사람들,

그 사람들에게 cheer up하라는 의미루다가,

'대통령의 글쓰기', 이 책이 그냥 작법서가 아니라,

사람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다시 말해, 표심을 사로잡을 수 있는 비법서라는 걸...귀뜸해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