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투 런/ 크리스토퍼 맥두겔/페이퍼로드>

옛날 <바람피기 좋은 날>이란 영화 도입부에 '윤진서'라는 배우가 전력질주를 하는 장면을 보고,
나는 저렇게 전력질주를 해본 적이 있었나 기억을 더듬어 봤었는데...그냥 지나갔을 뿐이고,~ㅠ.ㅠ
이책을 읽고도 '나이키'사이트에 들어가서 달리기용 음악이라도 MP3에 다운 받아들고 나가봐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잠시 했다.

달리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흥미진진한,빠져들 수 밖에 없는 책이지만,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이 책은 위험하다.

저자가 얘기하는 것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①인간은 달리기 위해 태어났다(born to run)
②운동화가 발을 망치고 있다.

근데,우리가 멕시코 산지의 타라우마라족처럼 달리기 위해서는,
우리 주변의 많은 것들이 그곳처럼 바뀌어야 하는데,
그런 것들에 대한 안내나 대책없이 맨발로 달리라고 선동을 하고 있다.

“인간은 달리도록 태어났다(born to run).” 혹은 달리도록 진화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달리기를 멈추면서 우리는 땅과의 진정한 접촉을 상실하고,
생존을 위해 달리던 시절에는 없었던 질병들에 시달리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뿐만 아니라, 두툼한 쿠션으로 발을 감싸면서부터 오래달리기에 최적화된 근육과 힘줄들은 제 기능을 잃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이키를 비롯한 거대 스포츠용품 업체들은 끊임없이 더 비싸고 더 첨단인 러닝화를 신으라는 물량공세로 소비자들을 오도하고 있단다.

그런데 말이다. 
이제는 우리들의 발과 몸은 스포츠용품 업체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든 문화 내지는 문명에 대한 적응으로든 맨발로는 땅을 달릴 수가 없어졌다.
그런 우리들에게 신발을 집어던지고 맨발로 달리라는 것은,우리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또 하나의 오도가 될 위험이 있다.  

그래서 생각난 또 한 권의 책-'이우천'의 <편안한 발 예쁜 발> 

 

 

 

 

 


<편안한 발 예쁜발/이우천/ 교학사>

다소딱딱하고 지루하지만,
적어도 아무 대책없이 맨발로 달리라고 선동하지는 않는다.  
약간 전문적이기까지 하다.

그래서 생각난 또 한 권의 책-'무라카미 하루키'의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무라카미 하루키/문학사상사>
 

만약 내 묘미명 같은게 있다고 하면,그리고 그 문구를 내가 선택할 수 있다면 이렇게 써넣고 싶다.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그리고 러너) 
1949~20** 
적어도 끝까지 걷지는 않았다.
 

개인적으론 문화인류학적 접근이나 의학적 접근보다는,자아성찰식의 '하루키'식 접근이 제일 읽기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고... 
한가지,<본 투 런>이 책이 일으킬 반향이 살짝 걱정스럽다. 

그래서 <본투런>,이 책과 '하루키'에 대해서 한마디 거든다면,
인간이 땀으로 열을 내보내는 동물이기 때문에 땀을 흘려야 하는 건 맞지만, 
달리기 말고도 땀을 흘릴 수 있는 방법은 궁리해 볼 수 있을 것이고...
끝까지 걷기만 해도 괜찮다고-채 걸음마를 배우기 전에 주저앉아 버리는 사람들도 있다고... 

어디까지나 움직이기 엄청 싫어하는 '양철 나무꾼'표 견해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