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구하는 경제책 봄나무 밝은눈 1
강수돌 지음, 최영순 그림 / 봄나무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제목 : 지구를 구하는 경제 책
저자 : 강수돌
출판사 : 봄나무

지난 겨울방학에 엄마들끼리 아이들을 경제관 키우는 캠프에 보내자 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요즘 세상 돌아가는 폼새가 워낙 경제논리로 되어가니 이런 캠프에 엄마들이 혹, 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그래서 출판사에서도 나름대로 아이들에게 쉽게 다가 설 수 있는 경제와 관련된 책들을 경쟁적으로 펴내고 있다.

나 역시 어려서부터 경제관을 키워 주자는 것에는 동의 하는 바라, 방학을 이용해 동화 몇 권과 여러 가지 자료을 모아 돈에 관한 생각을 정리 하는 기회를 가졌다. 첫 째로 돈은 어떻게 버는 것인가라는 주제를 통해 시장경제의 용어와 흐름을 익히게 했다. 둘 째로 화폐의 역사와 문화적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 째로 돈으로 살 수 있는 것과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보고 돈에 의해 양심을 파는 일은 잘 못 된 것임을 알게 했다. 넷 째로 용돈을 관리하는 방법을 정리 해 보았다.
 
여기까지가 내가 우리 아이와 할 수 있는 경제에 관한 이야기들이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익혀 왔던 경제이야기이고 내게 제공된 자료들이었다. 그런데 강수돌의 ‘ 지구를 구하는 경제 책 ’은 아주 색다른 경제논리를 전해 주고  있었다. 대학에서 경영학을 가르치는 그가 상식적인 시장경제, 기업논리에 반기를 들고 나섰다. 기업논리, 땅 투기 따위가 당연시 되는 것을 막고 아이들로부터 부모들의 잘 못된 경제관을 지적하게 하는 책을 펴낸 것이다.

이 책에선 경제를 구조적인 문제로 접근하고 있다. 소제목에서도 느낄 수 있지만 < 왜 자꾸 공부만 잘하면 된다고 할까?, 공부를 잘하면 돈을 많이 벌까?, 돈이 많으면 정말 행복해질까? > 사실 이런 경제구조의  문제를 부모들이 알고 있다 하더라도 아이들에게 알려 주기는 조심스럽다. 혹이라도 자기편의 대로 해석해 엉뚱한 주장을 내세워 빈둥거리지는 않을까? 염려스럽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른 체 한다고 해서 몰라지는 것도 아니고 일단 문제를 인식한다면 그 것을 여기저기에 공론화하여 해결 방법과 철학적(논리적)방향을 제시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어린용으로 만들어 그 과정에 어린이들을 참여시키려 한다.

그 사회와 경제가 돌아가는 원리의 근원적인 설명으로는 빈부격차라든지, 임금의 차이, 집값이 오르는 원인, 쌀 수입 반대의 근거, 경제로 푸는 환경 먹거리, 도농간의 격차, 자전거에 대한예찬, 신용불량자 문제, 국제관계 속에 엉킨 경제와 환경문제 따위의 현재 벌어지고 있는 경제와 관련된 문제를 전반적으로 다루어 건전한 해결책(사례)을 모색한다. 그 중 인상 깊었던 부분은 ‘베스킨 라빈스’라는 우리에게도 알려진 미국의 사업가에 관한 이야기였다. 그는 많은 돈을 벌어 아들에게 물려주고 싶어 했다. 그러자 아들이 거절하며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 아버지, 돈을 많이 버는 사업가인 건 맞지만 저는 하고 싶지 않아요. 젖소들한테서 나오는 저 엄청난 오물을 좀 보세요. 그리고 젖소들이 뭘 먹고 사는지도 생각해 보세요. 결코 깨끗한 풀을 먹이는 게 아니 잖아요 ? 병들지 말라고 주사하는 항생제는 또 어떻고요. 더 말하지 않겠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더 이상 해서는 안 될 일 같습니다.”        

이 아들의 짧은 이야기 속에는 복합적인 내용을 담겨 있다. 부의 세습을 거부했고, 동물에게 행해지는 인간들의 잔인한 행동을 지적했으며, 환경에 관한 문제(바른 먹거리)와 더불어 기업논리를 거부했다. 또 그 무엇보다 아이들에게 전하는 강한 메시지로 잘 못 된 부모의 모습을 답습하지 말고 정직하게 부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세계 모든 나라가 ‘국내 총생산’에 총력을 기울이며 자연환경을 파괴하고 있는 가운데 ‘부탄’이라는 작은 나라는 ‘국민 총행복’이라는 말로 국민들의 행복수치를 측정했다. 국민의 행복 수치는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물, 내 몸이 얼마나 건강한지, 그리고 마음 놓고 쉴 수 있는 집이 있느냐 없느냐를 놓고 냈다고 한다. 그 결과로, 도시에 사는 사람보다는 농촌에 사는 사람이 더 행복했고, 또 종교를 갖고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좀 더 행복했다고 한다.

이런 경제 가치로 따지면 개인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생명이다. 그래서 생명이 위협받고 있는 현실에서 쾌적한 주거 환경과 건강한 먹거리 확보는 무엇보다 높은 경제 가치로 자리 잡아야 한다. 이젠 더 이상 기업전략에 놀아나지 말고 삶의 질적 가치를 어디에 두어야 할지 살펴 볼 때이다. 무섭게 성장하는 중국은 우리가 서양의 모습을 답습했듯이 우리의 경제적 성장만을 습득하려 한다. 그들에겐 환경문제는 뒷전이다. 지구 총 인구의 4분 1을 차지 하는 그들에게 문제시 되는 것은 그 많은 중국인구가 만들어내는 환경오염이 우리에게 미친다는 것이다. 이런 환경문제는 세계인이 한 몸둥이에 존재한다는 것을 실감케 한다. 더 늦기 전에 우리도 행복수치를 측정해 나가야 하며 중국인들에게도 경제성장에 앞서 행복수치를 점검해 나가도록 요청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