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된 장난 마음이 자라는 나무 22
브리기테 블로벨 지음, 전은경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못된 장난>

오늘 낮에 인터넷에서 중학교 2학년 남학생이 같은 학교 남학생 3명에게 폭행을 당해 사망했다는 기사를 읽었다. 저녁 뉴스에선 한 여학생이 여러 명의 남녀학생들에게 둘러싸여 상의가 벗겨지고 그 위에 케찹을 뿌리는 장면이 동영상에 찍혀 인터넷에 떠돈다는 보도를 들었다. 인터넷을 켜니, 메인 화면에 뉴스에서 말하던 장면이 떠있다. 여러 명의 남녀학생들이 둘러서 있고 흐릿하게 장면이 처리되었지만, 그 안에 상의가 벗겨진 누군가가 누어있다.

그 아이는 내 아들일 수도 있고 내 조카일 수도 있다. 어쩌면 그 안에 누어있는 아이가 내 아이인 것 보다, 그 아이에게 옷을 벗기고 케찹을 뿌린 아이, 그런 장면을 보면서 방관하거나 동조하며 즐거워하는 아이가 내 아이 일수도 있다는 것이 더 두렵다.

왕따 문제는 비단 우리 문제만은 아니다. 가끔 인터넷에 올라오는 중국의 학생들의 집단 폭력사건을 보아도 그렇고 일본은 ‘이즈메’로도 유명하니 말이다. 그렇지만 독일 같은 유럽 국가는 좀 다를 거라는 생각했는데 그 곳 역시 별 차이가 없는 것 같다. 특히, 이주민에 대한 곱지 않은 십대들의 시선은 <못된 장난>에서 고스란히 나타난다.

스베트라나 올가 아이트로마토바는 열네 살의 소녀로 우크라이나에서 이주해온 이주민이다. 그런 스베트라나가 공부를 잘해서 교장선생님의 추천으로 명문인 김나지움에 장학금을 받고 다니게 된다. 모든 왕따의 원인은 ‘너는 우리와 같지 않다’는 것이다. 어느 쪽이 열등이고 어느 쪽이 우등이고 간에. 이런 경우 일단은 알아서 기는 것이 상책이다. 그러니까 좀 어수룩하게 보여야 한다. 모르는 것도 아는 척, 아는 것도 모르는 척. 불행히도 스베트라나는 그런 처세술에 익숙하지 못했다.

결국 일은 점점 꼬여 사이버 스토킹이 시작된다. 아이들이 놓은 덫에 걸려 벗어날 수 없다고 생각한 스베트라나는 그 무리에 소속되기 위해 도둑질을 하게 된다. 유명 메이커 옷이나 장신구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람의 수준을 판단하는 중요한 잣대인 것은 독일의 아이들이나 우리나라 아이들이나 마찬가지인 것 같다. 스베트라나는 훔친 옷을 학교 마구간에 숨겨두고 등하교 길에 갈아입었다. 사건의 절정은 그 장면을 반 아이 중 누군가가 사진으로 찍어 인터넷에 올리면서 시작된다.

이 사건이 선생님들에게 알려지자, 스베트라나는 모든 사실을 밝히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철로에 눕는다. 다행이 아들의 가방을 찾으러 철로를 걷던 사람에게 발견 되 목숨을 건지게 되지만, 스베트라나는 정신병동에 입원하게 되고 이 소설은 자신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쓴 글로 설정되어 있다.

책을 읽으면서 스베트라나는 왜 진작 선생님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이 받는 고통을 털어 놓지 않을까하며 답답해했다. 하지만 14살 소녀로서는 그럴 수도 있겠다는 싶기도 했다. 선생님들은 그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더 궁지로 몰아갈 승산이 크고, 자신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가난한 부모님을 마음 아프게 할 수도 없었으니까. 하지만 스베트라나에겐 김나지움에 있는 다른 학생들과 같아지고 싶어 하는 욕망이 있었기 도둑질을 시작했고 헤어날 수 없는 수렁에 빠져들었다.

학교를 포기하든, 도둑질을 해서라도 그 아이들과 같아져야 하는 상황이라면 학교를 포기할 수 있어야한다. 그 상황에서 도둑질을 한다는 것은 수단과 방법을 다리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채우겠다는 의지이다, 불쌍하게도 어린 소녀가 운명 덫에 걸려들었다. 물로 스베트라나의 심정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는 수많은 순간 수많은 유혹에 노출되어 살아간다. 그런 유혹에서 온전히 나를 지키는 것은, 최선의 선택은 욕망을 버리고 올바름을 찾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어른에게 설명하고 진지하고 의논해야한다.

우리 어른들이 해야 할 정말 중요한 일은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어줄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이 왕따를 당고 있다든지, 스베트라나 같은 아이가 못 마땅하게 보인다든지 하는 이야기이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아이들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고 대처할 수 있다. 그래야 집단 따돌림이라는 끔찍한 일을 만들어 서로에게 상처받는 일을 줄일 수 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ame 2010-09-10 0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즈메 가 아니고 이지메 입니다.

글 잘읽고가요

오타쿠 2010-09-10 19: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 지금 이 책 읽고 있는데 애들 하는 짓이 우리 학교 애들이랑 비슷해서 우리 학교에서 이런일이 일어날까봐 겁나네요...

dfff 2010-09-10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dame님 이즈메 맞는말입니다

zz 2010-09-11 0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왕따당했다고 학교를 그만두라니...과연 제정신입니까,

수양버들 2013-03-31 2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의 문맥을 잘 읽고 다시 생각해 보심이, 전후 문맥을 생략하고 함부로 말씀하시는 경향이 있는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