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다석을 이렇게 본다 (반양장)
정양모 지음 / 두레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유영모 선생의 함자를 처음 들은 것은 TV에서 하는 도올 김용옥의 노자강의에서였다. 평생을 기독교인으로 사시면서 유.불.선을 통달한 분이라니, 어떤 분인가 궁금하여 마침 출간된 다석 선생의 제자인 박영호님이 쓰신 <진리의 사람 다석 유영모>이라는 책을 읽게되었다. 그 때는 책을 읽을 마음에 준비가 안 되어 그러는지 다석의 종교관이 어떠한지, 도통 이해할 수 없고 답답하였다. 그러다 오늘 새로 나온 <나는 다석을 이렇게 본다.>를 읽으니, 그 동안 내가 가졌던 종교에 대한 의문에 시원스레 답해주신 분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다석 유영모 선생의 종교관은 마치 구약성서의 모순을 깨우치고 신약성서를 일구신 예수님만큼이나 혁명적이 것이었다.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부처나 공자처럼 하늘의 이치를 깨달은 인류의 스승으로 보는 걸 달가워하지 않을 것이다. 어쩌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라 정신병자 취급을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기독교 밖에서 나처럼 평범한 가정에서 이러다할 종교 없이 자라온 사람에겐 그리 놀란 일이 아니다. 필자는 어려서부터 평소 아버지께 ‘모든 종교는 결국 하나로 통한다.’,‘결국, 남에게 베풀며 착하게 살면 되는 거야.’라는 말씀을 입버릇처럼 들어왔다.
나와 같은 무종교인뿐만 아니라, 불교에서도 타종에 대해 기독교인만큼 배타적이지 않은 걸로 알고 있다. 불교는 기독교처럼 유일신을 강조하지 않고 자기해탈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처럼 타 종교를 우상숭배라 하여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 오히려 참 기독교인이 하느님의 뜻을 온전히 받들면, 해탈의 길로 가는 길이라 격려하는 이도 있다.
그런데 유일신을 강조하는 기독교인들은 무교이거나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을 온전한 종교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예수님을 하느님과 동일시하고 신격화하는 것은 신약성경 이전의 시대로 돌아가는 것과 다르지 않아 보이는데 예수를 하느님처럼 신격화 한다. 하느님은 예수님을 통해 당신의 뜻을 보이셨는데도 예수님을 추종자들은 예수님을 사랑한다, 신의 뜻이다, 독생자이다, 라는 면목으로 자신들의 신앙만이 구원길이라 강요하며 얼마나 많은 악행을 저지르는가, 이런 모순을 안고 있으면서도 우리 사회에 기독교의 세가 점점 확대 되고 있다. 이런 모순을 어떻게 받아드려야 하나, 이런 근원적인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 방법을 다석 유영모 선생에게서 찾아 볼 수 있었다.
다석 유영모선생은 15세에 기독교에 입신하였으나 22세에 오산학교을 재직하던 중 톨스토이를 접한 다음부터 혼자 신앙생활을 하였다. 52세에 신비한 체험을 하시고 하루에 저녁한 끼만 드시고 부인과 해혼을 선언하고 부부가 아닌 남매처럼 사셨다.
다석 선생의 종교관은 공자나 부처를 예수님처럼 깨친자, 거듭난 자로 본다는 것이다. 구약성서는 유대교의 기록일 뿐이고 하느님은 당신의 뜻을 예수께 가장 잘 나타내셨다. 그리고 공자나 부처, 간디, 톨스토이 같은 이에게도 나타내셨으며 하느님을 어버이처럼 모시고 깊이 사랑하고 따르는 자는 예수나 공자처럼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하느님 아버지를 가장 잘 섬긴 예수 길을 쫓아 하느님께로 이르겠다는 것이 유영모 선생의 종교관이다.
다석 선생은 이런 새로운 종교관으로 기성 종교전통의 속박을 미련 없이 떨쳐버리고 하느님 아들의 영광스런 자유를 찾는다. 기독교에서 이런 다석의 사상을 받아드려야 하느님의 뜻을 이 땅에서 이룰 수 있지 않을까, 기독교에서 계속해서 예수님을 하느님의 유일한 독생자로 추앙한다면, 타종교와의 화합을 이루기 어렵고 종교분쟁으로 인해 인류의 평화를 찾을 길은 점점 더 묘원해 질 것이다.
이런 시도는 유영모 선생의 유일한 생각은 아니다. 이 책의 저자인 정양모 신부님은 일찍이 프랑스와 독일에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면서 기독교를 새롭게 해석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연구과제로 삼아 왔다. 1965년 바타칸 공의회에서는 <비그리스도교에 관한 선언>을 통해 종교 간의 이해와 관용을 촉구한 바 있다. 그리스도인들이 타종교관을 대하는 태도를 분석하면 배타주의, 포괄주의, 다원주의가 있다. 다석 유영모 선생의 종교관을 굳이 따지자면 다원주의 종교관에 속한다. 다음은 다원주의 신학자들의 주장이다.
2000년 동안 신학이 그리스도와 교회 주위를 맴돌았는데. 이제부터는 하느님을 주축으로 삼야 한다.(본문 189쪽)
구원자는 하느님 한 분뿐이고 구원의 중보자는 예수. 석가. 공자. 노자. 장자 등 여럿이라는 것이다.(본문 189쪽)
포괄주의자들은 예수신성 교리(325,451년)와 삼위일체 교리에 근거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과 보편성을 주장하는 데 반해, 신 중심의 다원주의자들은 저 교리들을 신화적 발상이라고 본다.(본문 190쪽)
이러한 그리스도교에 대한 재해석을 연구하던 정양모 신부님이 귀국 후 다석 선생을 소개받았을 때 우리나라에도 이런 분이 계셨다는 것에 놀랐다고 한다. 그래서 그때부터 다석 사상을 연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종교분쟁으로 인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전쟁으로 다치고 죽어가고 있는가, 모두 다 하느님을 믿으면서도 자신들이 섬기는 구원의 중보자의 말씀과 교리가 유일하다는 아집에 사로잡혀 이런 엄청난 대가를 치러야하다니, 인간은 본질적으로 하느님께 구원받을 수 없는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하느님을 믿는 방식과 교리는 다르지만, 툭 털고 하느님의 뜻을 찾아가는 사람들이라고 시원스럽게 인정하면 안 되는가, 유일신을 강조하는 것이, 하느님이 뜻이 아닐지도 모른다고 의심해 볼 수는 없는가. 예수님이 이루신 혁명적인 구원을 오늘날 다시 재현 할 때가 온 것은 아닌가, 기독교의 배타주의적 종교관이 자신의 이익과 편의를 위해 오히려 하느님을 도구로 삼는 것은 아니가 반성해 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