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석유의 종말, 그리고 우리의 미래 라루스 지식in 이슈 2
안 르페브르 발레이디에 지음, 김용석 옮김 / 현실문화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현대 생활에 있어서 석유에너지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지대한지에 대해 굳이 열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런 석유는 한정적인 것으로 언젠가는 고갈되고 말 것이다. 그에 대비해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고 있지만 실용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그래서 우리 일상생활에서 석유를 쓸 수 있는 시기가 언제까지인지, 그 때까지 대체에너지는 공급되는 것인지, 그런 과정은 어떻게 전개되며 우리 생활은 어떻게 변할 것인지 궁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만약 에너지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다면, 수많은 고층아파트를 어떻게 오르내릴 것이며 난방은 어떻게 될 것인가? 또 항간엔 선진국에선 대체에너지 개발은 이미 완성되어 있으나 자신들의 이속 때문에 대중화 시키고 있지 않다는 설이 있는데 사실인지? 조금 속된 마음으로 값싼 석유의 종말이 오면 어디에 투자하는 것이 이득인지, 그러니까 지금 어떻게 해서라도 아파트를 장만해야 할 것인지, 아니면 시골에 작은 집을 짓고 여차하며 나무라도 때거나 태양열에너지 집적기를 설치하는 것이 현명한 일인지.

이런 기대와는 상관없이 이 책은 석유에너지와 대체에너지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보고서 형식으로 나열하고 있다. 기술적인 부분이나 석유.대체 에너지 재고의 분포도와 량, 개발진행 현황과 장단점에 대해서 잘 정리 되어 있다.

『 값싼 석유의 종말, 그리고 우리의 미래』를 읽으면서 조금 충격적인 부분은 농사를 짓는데 있어서도 석유가 차지하는 위치가 절대적이라는 사실이다. 만약, 석유를 보급 받지 못한다면, 옛날처럼 우리나라도 굶주리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이다. 그 예가 북한인데 1990년대 초 소련이 해체되자 석유와 가스 지원이 중단되었고 오늘날과 같은 경제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농업과 관련한 노동력을 높이고 있음에도, 생산성은 50년 전보다 낮은 상태란다.

그래도 북한 식량자급률이 65%이지만 남한의 식량자급률은 25%에 지나지 않으며, 그나마도 석유 의존도가 높은 형편이다. 석유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10%로도 어려운 것이다. 그런데도 4대강 정비를 위해 팔당강변 농지를 없애고 자전거 도로를 만든다고 한다니, 석유 값의 고공행진으로 입에 풀칠하기도 어려울 판에 무엇으로 관광을 한다는 말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선진국을 쫓아 녹색성장을 외치며 선두에 나서면서, 선진국이 환경운동과 함께 식량자급률을 높이고 있다는 사실은 왜 외면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강은 식수원으로 국민의 생명줄이다. 이런 국민의 생명줄을 단보로 사업을 추진할 때, 대통령은 물론 그 친인척들의 목숨까지도 내 놓는다는 각서라도 써 놓아야 할 것이다. 전직 대통령으로서 대우만 해줄 것이 아니라 이런 대규모 사업에 대한 책임은 대통령 임기가 끝난 후에도 물을 수 있어야, 국민을 만만히 보고 우롱하는 일이 없어 질 것이며, 지키지 못할 공약으로 국민을 현혹시키는 일도 사라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