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구 삼촌 산하작은아이들 18
권정생 지음, 허구 그림 / 산하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용구삼촌은 서른 살이 넘었지만 다섯 살배기보다 어린애 같은 바보다. 바보 삼촌이 하는 일은 누렁이를 몰고 가 풀을 먹이는 일인데, 실상은 풀을 찾아 가는 누렁이 뒤를 쫓아다니는 일을 한다. 그런데 어느 날 누렁이가 고삐를 땅바닥에 끌고 혼자 집으로 돌아왔다. 용구삼촌은 도대체 어디로 간 것일까?
용구삼촌은 온 가족과 온 동네를 발깍 뒤집어 놓은 다복솔 나무 밑에 아주 평화롭게 잠들어 있다. 엄마 토끼 대신 아기 토끼를 가슴에 품은 체.
권정생선생님의 대부분의 동화는 불쌍하고 여린 생명들이 자신들의 삶의 가치를 찾아 가야한다는 내용들이 많다. 그래서 동화 못난 주인공들은 가족과 친구들로부터도 멸시를 받지만, 자신의 존재가치를 찾아야하는 것은 권정생선생의 동화 속 주인공들의 숙명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책의 주인공 용구삼촌은 그런 주인공들에 비해 좀 행복해 보인다. 다섯 살배기 보다 못한 바보지만 그를 아끼고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살고 있으며, 그가 밤늦게까지 돌아오지 않자 걱정하며 찾아 나선 동네 사람들이 있다. 더욱이 그는 엄마 잃은 토끼가 안심하고 안겨 함께 밤을 보낼 수 있는 따뜻한 가슴을 가지고 있다.
다른 동화에서는 숙명과도 같은 비참한 현실을 인내해야 하는 답답하고 서글픔 현실을 보여주고 그런 현실에서 새로운 깨달음으로 존재가치를 확인해야 한다는 강박관념 같은 것이 있었다. 반면 <용구삼촌>에게선 가족을 걱정하고 사랑하는 마음, 다섯 살배기 아이만큼이나 순수한 용구삼촌의 아름다운 심상을 자연스럽고도 긴장 있게 풀어내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강아지 똥>에선 작가가 ‘강아지 똥에게 그렇게 슬퍼하고 있지만 말고 너의 존재가치를 찾아야해’ 라고 말하며 존재가치를 효용성에서 찾았다면, <용구삼촌>에선 “네가 좀 모자라긴 했어도 그 자체로도 충분히 아름다워, 우린 그런 너를 아끼고 사랑해”라는 좀 더 세련되고 순화된 인간존재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