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킨 마스크 - 그래도 난 내가 좋아! ㅣ 작은 곰자리 2
우쓰기 미호 지음, 장지현 옮김 / 책읽는곰 / 2008년 3월
평점 :
아이들 동화에는 나는 누구일까? 나는 어떤 가치를 지니는 사람인가? 나는 어떤 쓸모가 있을까?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와 같은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주제들이 많다. 그 대표적인 동화로 권정생의 강아지 똥을 들 수 있다. 아무 쓸모도 없어 보이는 강아지 똥이 예쁜 꽃을 피우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소중한 거름이 된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강아지 똥’이 아무리 훌륭한 거름이라 하더라도 이왕이면 세상 향해 뽐 낼 수 있는 모양새와 향기를 지녔다면 좋았지 않았을까? ‘강아지 똥’이 하는 일이 아무리 훌륭하다 해도 남들이 알아주지도 않고 더럽다 여기는 거름 같은 존재가 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동화 속에 존재하는 ‘강아지 똥’을 가엽게 여길지라도 닮고 싶지는 않을 거란 말이다.
치킨 마스크도 ‘강아지 똥’처럼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그림동화이다. 치킨마스크는 올빼미 마스크처럼 계산을 빨리하지도 못하고 글씨도 예쁘게 쓰지 못한다. 햄스터처럼 멋진 걸 만들거나 장수풍뎅이 마스크처럼 씨름을 잘하거나 개구리 마스크처럼 노래를 잘 부르지도 못한다. 그래서 늘 자신이 없다. 이런 치킨마스크에게 기회가 찾아온다. 다른 친구들의 마스크를 골라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제 치킨마스크는 올빼미처럼 수학문제도 잘 풀 수 있게 되었고 햄스터처럼 근사한 작품을 만들 수도 있다. 뭐든지 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상하게 치킨마스크는 새로운 고민에 빠졌다. ‘나는 도대체 뭐가 되고 싶은 걸까?’ 치킨마스크는 치킨마스크를 다시 썼다. 그리고 자가가 할 일, 자기를 필요로 하는 일, 자기가 하고 싶을 일을 찾아낸다.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강아지 똥』과 『치킨마스크』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뭘까? 이 두 동화의 공통점은 자신을 누군가 필요로 한다는 것, 그것으로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다는 것이다. 차이점은 『치킨마스크』에서 치킨마스크는 다른 삶을 살아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자기 선택에 따라 다시 치킨마스크가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강아지 똥’은 그렇지 못했다. 꽃을 피우는 거름이 된다는 사실에서 가치를 찾지만 다른 선택에 여지가 없이 숙명처럼 자신 운명을 받아드리고 행복해 한다.
이런 ‘강아지 똥’의 모습은 너무나 순종적이고 희생적이며, 순고해서 종교적인 성인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그에 비하면 『치킨마스크』는 성숙되어가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아를 찾고자하다, 다양한 가능성 앞에서 결국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내 당당히 친구들에게 돌아가는 치킨마스크의 모습은 성숙해 가는 다분히 인간적인 모습이다.
아이들은 세상에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부러워하지 않고 꽃을 피우는 거름이 된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해 하는 ‘강아지 똥’에게 감동을 느낀다면, 자신의 길을 찾아 씩씩하게 친구들에게 다가는 ‘치킨마스크’에겐 공감을 느낄 것 같다.
이 책에서 마스크는 여러 가지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다양한 기회, 각자의 특기가 그것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마스크가 다양한 특기를 길러주는 마스크라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든 꾸준히 노력하면 특기를 기를 수 있다. 그러나 ‘치킨 마스크’는 친구를 좇아 경쟁적으로 특기를 기르기 보다는 자기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것 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한다.
불행이도 우리 아이들에겐 이와 같은 고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것 같다.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고 경쟁하기에 급급하여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생각할 겨를이 없는 것이다. 지난여름 작가 은희경이 한 말이 생각난다. “일찍 자신이 무엇을 잘하는지 알면 살아가는데 유리하다” 우리 아이들도 이제는 남들이 하는 것을 좇아가기보다 자기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하고 싶어 하는지를 먼저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치킨 마스크』단순한 구조의 뻔 한 스토리 같지만, 많은 생각을 하게하는 그림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