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익숙한 시가 있었다.
미야자와 겐지의 <비에도 지지않고>

雨にも負けず
風にも負けず
雪にも夏の暑さにも負けぬ
丈夫な体をもち
欲はなく
決して怒らず
いつも静かに笑っている

여기까지는 생각이 난다.

내가 가장좋아하는 시는

함석헌님의 <그 사람을 가졌는가> 이다.

그 사람을 가졌는가와 비에도 지지않고를 90년인가 91년도인가 같은 시기에 알았다

감성풍부한 날도 있었지.. 암, 그렇고 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갑자기 전환되는 장소와 인물들.
처음엔 적응하기 힘들었다. 심지어 장난감조차도 등장 인물인줄알고 앞장을 또 다시 읽고 ㅠㅠ
어찌어찌 1권을 끝냈으니 계속 가봅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도 영어를 안한지 오래 돼서 자극을 받아보려고 본 책이다. 영어를 사용할 일이 없으니 잊어버리는건 어쩔 수 없지만.
학습 방법을 모르는건 아니다. 나만의 외국어학습 노하우도 있다. 다만 꾸준히 하느냐, 또한 어떤 목적을 갖고 공부를 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시험영어는 또 다르니까말이다.

다시 토플보카 파랭이 부터 시작해야 할듯. 손때 묻어 너덜너덜 해진 이 보카책을 새로 살수가 없다. 이상하게 보카책은 쉽게 버리질 못함..가장 많이 본책이라 그런가...

공부를 하면 독서를 할수가 없다. ㅠㅠ
직장인에다가 운동에 공부에 매일매일 시간이 빠듯해지니..
그리고 오래공부했기에 사실 공부하기가 싫은 마음도 있다.
하지만 시험영어가 아닌 영어공부는 하고싶다.

언제 또 다시 그만둘지 모르지만 지금은 의욕은 있는상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엄마가 죽었다. 워낙 유명한 첫 문장이다. 다른 이야기 이지만, 내게 제일 강력한 첫문장은 정유정 작가의 <7년의밤>이 아닐까 싶다. 나는 내 아버지의 사형집행인이었다.

다시 돌아와서 이방인의 뫼르소의 성격은 허무주의, 무기력, 시크, 쿨 이렇게 보일것이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다음날 여자를 만나서 코메디 영화를 보는 뫼르소. 어머니의 나이도 정확히 모르는 그. 이러한 것들이 결국엔 올무가 되어 돌아온다.

이책은 번역얘기가 종종 나오는것 같은데 다음엔 민음사책으로 다시 한번 읽어봐야 할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친코 1 - 개정판 코리안 디아스포라 3부작
이민진 지음, 신승미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98년도 쯤이었나 재일교포3세 친구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 너는 일본사람이라고 생각해? 아니면 한국사람이라고 생각해? 라고. 그 친구의 대답은 ˝둘다 아니야, 그냥 자이니치야.˝ 라고. 그때만 해도 재일교포의 상황은 그리 좋지는 않았다. 그 시절 일본에서 일본인들하고 얘기하면 한국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고 말했던 사람도 꽤 있었다. 나에겐 상당한 충격이었다. 바로 옆에 있는 나라인데 이사람들에게는 한국은 안중에도 없구나.. 그 친구에게 또다른 질문도 한적있다. 한국-일본 스포츠경기를 하면 어디를 응원하냐고 물어보니, 일본에 있을때는 한국을 응원하고, 한국에 있을때는 일본을 응원한다고 했다. 그친구는 여전히 한국국적에 이름도 한국이름이다. 일본사람하고 결혼을 했는데 한국이름이다 보니 아이를 학교에 보냈을때는 다른 문제(?)도 있다고 했다. 아이 이름, 가족이름은 일본이름인데 어머니 성만 이 씨였기 때문에 주변 학부모 모임에서 신기한 듯이 쳐다본다고 했다.

자이니치 친구의 어머니, 오빠등 가족들은 일본어를 쓴다. 한국어를 거의 모른다. 그런데도 중간에 한국어 단어를 자연스럽게 쓴다. 예를들면 명절에 큰집에 간다고 일본어로 말하면서도 <큰집>은 그대로 한국어를 쓴다던지 한다.

차별을 받고 있는 자이니치에게도 - 내가 느끼기에- 드디어 새로운 바람이 불었다. 바로 겨울연가(후유노 소나타)가 일본에서 공전의 히트를 쳐서 욘사마, 지우히메 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 후로 한국이라는 나라가 일본에 좋은 이미지가 생겼다고 나는 느낀다. 겨울연가 전에는 호의가 보이지 않았지만, 겨울연가 이후에는 분명 호의가 보였다. 그 후로 걸그룹 드라마등으로 일본에서의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진게 많이 느껴졌으니까. 물론 다테마에 로 얘기하는 일본인 특성은 있다. 혼네, 다테마에를 한국사람들이 파악하려면 아직도 멀었다. 한국사람들은 일본사람을 너무도.. 너무나도 모른다. 다테마에만을 보고 그것이 전부인양 착각하는 사람들이 태반이다. 또한 친일파들도 여전하다. 같은 한국사람한테는 숙이지 않으면서 일본인들에게 숙이고 빨아주는 친일파들이 여전히 한국을 좀먹게 한다.

민단쪽 교포들은 한국어를 못하는 사람이 태반이다. 그러나 국적이 북한국적인 사람들은 한국어를 아주 잘한다. 교포라고 생각할수 없을정도로 발음이 정확하다. 그들은 조총련계 학교를 다닌사람들이다. 북한은 해방이후 조선인들에게 교육, 경제적인 것들을 지원해왔다. 그래서 국적을 북한으로 택한 사람들이 훨씬 많았다. 일본에는 북한국적, 남한국적, 그리고 조선국적을 갖고 있는 교포들이 있다. 일본식민지때 일본으로 넘어와서 북한, 남한 어느 한쪽도 선택하지 않은 사람들은 여전히 국적이 조선이다. 조선이라는 나라는 사라졌는데 말이다. 아픔, 상처, 고통은 약자의 몫이라는 역사가 여전히 반복되고있다.


어쨌던 파친코는 개인적으로 가슴이 아픈 책이다.

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

『역사는 우리를 저버렸지만, 그래도 상관없다 (구버전: 역사가 우리를 망쳐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구버전이 난 더 좋다)
조언만 전달해서는 정작 그런 변화가 꼭 필요한 사람들을 실천으로 이끌 수 없다는 점이다.
어딜 가든 사람들은 썩었어. 형편없는 사람들이지. 아주 나쁜 사람들을 보고싶어? 평범한 사람을 상상 이상으로 성공시켜놓으면 돼. 뭐든 원하는 대로 할 수 있을 때 그 사람의 본모습이 드러나는 법이거든.
하지만 우리가 옳고 선하다고 생각하는 대로만 행하는 신이라면 우주의 창조주라 할 수 없어요. 우리의 꼭두각시겠죠. 하나님은 그런 분이 아닙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이 많습니다.
일본편에 선 재수 없는 조선 놈들이 있는가 하면, 이곳에서나 또 다른 곳에서 그저 먹고살려고 발버둥 치고 있는 수많은 동포가 있었다. 결국 배고픔 앞에 장사 없는 법이었다.
모든 사람에게 연민을 가져라. 네 적까지도.
너를 한 사람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사람들 속에서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은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이야.
일본이 조선에서 빠져나가면 누가 조선을 맡게될까? 일본인을 떠받들던 그 모든 조선인에게 무슨일이 생길까? 혼란이 일어날거야. 더 많은 피를 보게 되겠지. 넌 그 주변에 있으면 안돼. 네 아이들이 거기에 있게 하면 안 돼.
일본인들이 작정하면 병적일 정도로 다루기 힘든 사람들이 된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었다. 그런 면에서 조선인과 아주 흡사하지만 일본인의 고집은 더 조용했고 알아채기가 더 어려웠다. ˝일본인들한테 돈을 받아내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알아? 그들이 당신에게 돈을 주고 싶어 하지 않는다면 결코 받아낼 수 없을 거야. 시간 낭비만 하게 되겠지.˝

(2권)
˝배울수 있는 모든 것을 배워라. 모든 조선인들을 위해서, 와세다대학교 같은 학교에 갈 수 없는 모든 조선인들을 위해 배워라.˝
머리 대신 호박을 달고 다니는데 호박씨는 뇌가 아니잖아.
조선인으로서 강제로 식민 통치를 자행했던 나라의 시민이 되려 하는 것을 부끄러워했다.
더 이상 전쟁이 없는 데다가 평화로운 시기에는 모든 사람들이 보통이 되고 싶어 하고 남과 달라지는 걸 두려워해서 이 나라가 개판이 된거야. 또 다른 문제는 일본 지도층이 영국인이나 백인 되고 싶어 한다는 거야.
일본은 절대로 변하지 않아. 외국인을 절대로 받아들이지 않아. 내사랑, 너는 여기서 항상 외국인일 거고 결코 일본인이 될 수 없어. 알겠어? 자이니치는 어디로든 떠날 수 없지.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12-14 15: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2-14 15:2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