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구나 쉽게 이해하는 사진강의노트 - 처음 시작하는 사진가를 위한 사진의 모든 것
김성민 지음 / 소울메이트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카메라를 들고 나가 무언가를 찍는 일은 나에게 큰 즐거움을 안겨준다. 하지만 이러한 즐거움은 찍은 사진을 열어보면서 한숨으로 바뀌는데, 잘 포착되지 않아 잘못 찍힌 사진은 둘째로 치더라도~ 진부한 구도 속에 나열된 사진들을 보고있노라면 난 언제쯤 멋진 프레임으로 사진을 찍을까 싶어서다.
아주 가끔은 '네이버 오늘의 포토'를 들여다보기도 하고, 가끔은 사진 전시회를 찾아 사진전을 감상하면서 구도를 익혀보기도 하지만, 막상 내 카메라를 손에 들고 피사체를 찍게 되면 어느 순간 내게 익숙한 구도로만 찍게 되는건 뭔지~~~.
어느 책에선가 한 가지 일에 확실히 빠질려면 관련 책을 100권 읽어라~는 글을 읽었더랬다. 어찌보면 잘 하기 위한 노력은 아주아주 조금만 해놓구선 결과만 크게 바라고 있었던 셈이였으니, 사진을 잘 찍지 못하는것은 당연하지 싶다. 그러던 차, 이 책이 눈에 띄었다. <........ 사진 강의 노트>라는 제목도 그렇고 차례를 살펴 보면서, 무엇보다 잘 찍고 싶었던 스냅쇼트와 풍경사진 찍는 방법도 배울 수 있지 싶어서였다. 거기다 저자는 현재 네이버 '오늘의 포토' 심사위원을 맡고 있단다.
'사진은 어떻게 세상에 나오게 되었는가?' 본문 첫 장의 소제목이다. 사진의 기초강의를 듣고자 했더니, 역사부터 이야기하려나~했다. 하지만 저자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사진'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진이 발명되어진 계기부터 짚어봐야 한다며 이야기를 풀어간다. 사진전시회를 다니면서 또 이런저런 경로를 통해 사진에 대해서 어느 정도 듣고 알고 있던 터이기도 했지만, 이 책을 차근히 읽으면서 다시한번 짚어보는것도 나름 좋은 시간이 되었다.
사진가로서 사진을 촬영한다는 것은 일종의 여행을 하는 것이며, 이는 단순히 바라보는 것looking이 아닌 주시하는 것seeing을 의미한다. 바라봄과 주시의 차이는 단순히 듣든 것hearing과 경청listening하는 것의 차이만큼 크다 - 37쪽
주시하면서 바라보기........ 사진가로서의 기초적인 자세임은 분명하다.
이 책은, 전체 part 10으로 나눠져 있는데, <누구나 쉽게 이해하는.....>에 초점에 둔 책인만큼 기초적인 사진의 역사와 유명한 사진작가(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등등)들의 이야기도 곁들여가며 사진에 대해 '강의'를 한다. '사진가에게 필요한 세가지 기본 요건'도 많은 공감을 안겨주었고, 사진적 주제에 따른 영감을 얻기 위한 다양한 루트를 가지라는 말도 큰 공감을 갖게 했다.
좀 더 세밀한 사진찍는 방법을 알려주기 시작하는 part 4에서는 다음 번 사진 찍을 땐 어떻게 찍어봐야할지~ 노트하게 만들기도 했는데, 처음 읽기 전에는 스냅쇼트와 풍경사진 찍는 법을 알려주는 part 7과 part 8에 관심이 많았지만~ 읽노라니 지금 내게 많이 도전을 주고 꼭 필요한 부분이 part 6이란 생각을 해본다.
part 6은 사진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훈련법을 적고 있는데, 매우 구체적으로 훈련법을 하나하나 적고 있어서 많은 도움을 안겨주었다. 9가지 훈련법이 적혀 있으니 처음 한 가지씩~ 내게 주어진 과제처럼 풀어나가려고 계획 중이다. 그러다보면 어느 순간 내 사진도 조금은 성장해 있지 않을까 싶고....ㅎㅎ(기대~ 기대~^^)
읽으면서 내게 콕 박혀 온 글이 있어 옮겨본다. part 6 '사진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훈련법' 중에서 '똑딱이로도 예술을 할 수 있다' 편에 실린 글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감성이지 카메라의 성능이 아니다. 그리고 모든 것을 통제하는 것은 사진가이지 카메라가 아니다. - 222쪽
어떤 작품이든지 그 사물(상황)을 적절히 통제하는 작가와 그 작가의 섬세하고 뛰어난 감성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