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 나오기 전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노트북을 사용한 적이 있었다. 내가 얼리어답터 그런 건 아닌데 주위에서는 주머니에 들어가는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람이 없어서 신기하게 보곤 했다. 노트북으로 이것저것 하려는 건 아니고 그저 워드 때문이었다. 글을 쓰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그전에는 수첩을 들고 다니며 생각이 나면 무조건 메모를 했다. 길을 걷다가 요즘처럼 폰으로 메모를 하는 게 아니라 벽에 대고 수첩에 메모했다. 대출 회사에서 주는 메모지도 모아서 거기에 메모를 빽빽하게 했었다. 정말 활자 중독이었다. 글을 적는 사람은 알겠지만, 활자가 주는 편안함, 충만감 그런 게 있다. 글을 적고 있으면 행복한 거지. 그렇게 나를 거쳐 간 수첩이 수십 권이었다. 

그러다가 주머니에 들어가는 노트북을 사용했는데, 들고 다니면서 꺼내서 사용하는 데 문제는 없었지만 불편했다. 컴퓨터라 로그인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터치는 아닌데 옆의 검은 부분을 엄지로 이렇게 움직이면 마우스가 움직였다. 그러다가 스마트폰이 나왔다. 신세계였다. 무엇보다 메모장이라는, 나에게는 아주 마음에 드는 어플이 있었다. 스마트폰은 바로 켜졌다. 카페에서, 거리에서, 벤치에서 어디서든 메모를 할 수 있었다. 걷다가, 누워서, 영화를 보다가도 메모를 할 수 있다는 건 너무나 매력적이었다. 이전에는 책상과 불빛이 있어야만 글을 쓰는 게 가능했었는데 이제 그 무엇도 필요 없다. 

나에게는 블랙베리도 있었는데 오직 글 때문에 구입했었다. 블랙베리는 자판이 있어서 손에 익으면 폰을 쳐다보지 않아도 메모를 할 수 있었다. 영화를 보면서도 떠오르는 글이 있다면 밑으로 내려서 화면을 보지 않고 자판을 꾹꾹 눌러서 글을 쓸 수 있었다. 정말 지치지 않고 매일 일정량의 글을 적었다. 지금도 지치지 않고 매일 메모를 하고, 소설을 쓰고, 글을 적고 있다. 지치지 않는다. 이 매력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그런데 석 달 동안 매일 글을 적는 게 힘들다. 윤석열이 때문에, 검사들 때문에, 지금은 헌제 때문에 힘들다. 어제는 검사들이 또 기각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제 좀 편안하게 글을 쓰고 싶다. 모든 신경이 헌제에 쏠려 있어서 이야기를 적다가도 나도 모르게 헌제 이 새끼들이, 같은 글을 적고 있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