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이 찬 일요일 아침, 일어나자마자 옷을 주워 입고 운동 겸 슈바빙으로 달려갔다. 날은 차가웠지만 겨울 햇살이 맑았고 청아했다. 하늘이 높아 보였고 유난히 아오이 빛깔을 지니고 있었다. 숨을 들이쉬면 차갑고 맑은 공기가 폐 속으로 가득 들어왔다. 언제까지나 이렇게 맑은 공기를 마실 수 있을까.
슈바빙에는 조 카커가 부르는 영화 탑건의 주제곡이 흐르고 있었다. 늘 일찍 와 있던 종규는 보이지 않고 어쩐 일인지 아침잠이 많은 득재가 테이블에 앉아서 책을 보고 있었다. 오늘도 효상이는 고물상 일을 도와준다고 슈바빙에 올진 모르겠다고 했다.
슈바빙 주인 누나는 구운 쿠키와 코코아에 뜨거운 우유와 위스키를 조금 넣어서 주었다. 이렇게 맛있고 몸이 풀리는 메뉴를 다른 곳에서는 왜 팔지 않는지 모르겠고, 이렇게 맛있고 좋은 음료를 팔고 있는데 사람들은 그 사실을 모르고 있다는 것이 어쩐지 이상했다.
한국인에게 맞지 않는 음료일까. 그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좋아하고 잘 마셨기 때문이다. 이상하지만 주인 누나가 만들어주는 음료를 마시고 24시간 정도가 지나면 어김없이 그 음료가 생각났다.
득재는 내가 와도 책을 읽는데 몰두했다. 기철이와 똑같이 책을 좋아했지만 기철이와는 다른 기질과 분위기를 가지고 있었다. 나는 득재의 어깨를 툭 쳤다. “오늘도 효상이는 못 온대. 우리 언제 한 번 고물상에 가서 일을 도와줄까?”라고 내가 말하니, 득재가 손가락으로 오케이 마크를 만들었다.
테이블에서 보니 득재가 읽고 있는 책은 이성복 시인의 시집이었다.
“시인들은 정말 홍어처럼 온몸을 내던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라고 득재가 말했다. 나는 가만히 득재의 얼굴을 보았다. 녀석은 2월의 우리 집 앞마당 같은 얼굴을 하고 있었다. 나는 코코아를 한 잔 마셨다.
우유와 섞인 코코아는 부드럽게 목으로 넘어갔고 끝 맛에는 위스키가 감돌았다. 묘한 맛이었다. 맥주와는 달랐다. 나는 조금 미간을 찡그렸다. 맥주를 마시고 카 나오는 찡그림과는 달랐다. 아마도 득재는 홍어의 암모니아 냄새를 내가 떠올렸다고 생각했을 모양이었다.
“홍어가 발효되면서 유독 암모니아 향이 지독한 것은 홍어는 소변을 성기로만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홍어 자신의 몸 전체로 배출하기 때문이래.”
득재의 말에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실은 그만큼의 엄청난 일은 나는 잘 받아들이지 못했다. 득재는 나에게 종이 한 장을 꺼내 보여줬다.
“개구리가 적어 준 거야. 라디오에서 듣고 녹음해서 돌려가며 적어 넣은 건데 나에게 주더라.” 종이에는 이성복 시인이 시와 대담에서 그가 했던 말이 적혀있었다.
[어제 동물 다큐멘터리를 보다가 재미있는 것을 발견했어요. 재미있는 것은 나는 모든 것을 시로 연결해 버리는 버릇이 있으니까 그런 의미에서 재미있다는 겁니다. 거북이가 말입니다. 아가릴 쫙 벌리는데 제 혀를 마치 벌레처럼 보이도록 만들더군요. 그러니까 물고기가 그게 벌레인 줄 알고 잡아먹으려다가 도리어 거북이에게 잡아먹히고 말아요. 또 한 가지 더 있습니다. 개미를 잡아먹고 사는 새가 있어요. 그런데 이 녀석은 다른 힘센 새가 자기 알을 훔쳐 먹으려고 나타나면 뱀 흉내를 내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다른 새는 이게 진짜 뱀인 줄 알고 도망을 가는 거예요.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사람이 진실에 의해 보호받는 것도 또 진실을 가지고 제 삶을 유지하는 것도 저런 식이 아닌가. 진실이라는 것은 본래 가짜입니다. 진실이라는 것은 항상 as if의 형식, 즉 마치~처럼 직유의 형식으로 존재한다고 했었죠. 거북이가 제 혀를 벌레처럼 보이게 만들고 또 새가 뱀의 흉내를 내는 것. 그것은 허구이지요. 마치~처럼일 뿐입니다. 그러나 그 허구로서의 진실이 우리로 하여금 자신을 보호하고 삶을 기획하게 합니다. 시라는 것도 그런 것이 아닐까요. 삶 자체가 허구라면 허구 속의 허구입니다. 그런데 이 허구 속에 허구를 만들어서 삶이라는 허구를 뒤집거나 무아 시키는 것 그런 것이 시겠지요]
나는 다 읽고 가만히 득재를 보았다. 무슨 말인지 몰랐고, 개구리가 어째서 득재에게 이 종이를 주었는지도 몰랐지만, 득재는 자신의 좋아하는 개구리에게 그 종이를 건네받는 순간 가치전환이 되었을지도 몰랐다. 아마 앞으로도 소중하게 간직할 것이다.
인간의 마음이라는 게 얼마나 깨지기 쉽고 아프기 쉬운지 나는 희미하게나마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열일곱 소녀처럼 위태로운 생활을 하는 것이다. 제니스 이안이 부르는 ‘엣 세븐틴’에서 처럼 모든 십칠 세는 힘든 법이니까. 그 또래는 그런 것이니까.
“소설가는 어떤 의미로 쓰고자 하는 의지가 가득하면 어떻게든 소설을 쓰게 되지만 시는 전혀 그렇지 않은 것 같아. 재능이라든가 의지만으로 시는 써지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 자신의 몸속에, 온몸 구석구석, 몸의 끝까지 퍼져있는 세포와 말초신경 전부가 시를 향해서 돌진하려는 태동이 가득한 사람이 그것을 형태로 표현하지 못했을 때, 학습의 도움으로 시를 적을 수 있는 것 같아. 나 같은 놈이 시를 쓰는 것은 아닌 것 같아. 진실이란 무엇일까.”
하나의 고민을 어렵게 끝내고 나면 두 개의 고민이 기다렸다는 듯이 다가왔다. 그것이 열일곱 살의 삶이고 인생이었다. 득재는 기철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자신의 재능에 대해서 그리고 그녀에 대해서, 적고 싶은 시에 대해서 다가가지 못하는 고민을 하고 있었다. 슈바빙에는 제니스 이안의 ‘엣 세븐틴’이 흘러 불안한 열일곱, 그 또래의 우리 주위를 맴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