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을 끓여 밥상 위에 올려놓다 밥상 다리가 힘이 없어 기울면서 라면이 전부 방바닥에 쏟아졌다. 그저 멍하게 바라봐야만 했다. 그저 멍하게. 5시에는 일어나야 한다. 아침밥은 고사하고 씻고 옷을 입고 마을버스를 타고 대로변까지 나가서 다시 1029번 버스를 타야 한다. 언제나 그 버스를 그 시각에 타지만 늘 사람들로 터져 나간다. 양보라든가 친절을 찾다가는 버스를 타지 못한다. 버스를 놓치면 그다음은 상상하기도 두렵다.


버스 문에 매달리는 한이 있어도 어떻게든 올라타야 지하철을 탈 수 있다. 비라도 오는 날이면 버스 속은 사람들이 뿜어내는 숨 냄새와 비 비린내로 먹은 것도 없는데 구토가 인다. 이건 시작에 불과하다. 지옥철에 오르는 순간 전혀 다른 세계가 되어 버린다. 보이는 건 사람들의 등과 길고 짧은 머리카락이 달린 머리통뿐이다. 고개를 꺾어 천장을 바라보며 오늘도 무사히 회사에 도착하기를 바랄 뿐이다. 이렇게 죽을 각오로 지옥철에 올라야 회사에 제대로 출근할 수 있다. 소변이 마려워도 참아야 하고 앞사람의 머리에서 냄새가 나도 참아야 한다.


이렇게 모든 걸 참아가며 서울에서 생활한 지도 벌써 5년째다. 하지만 변한 건 아무것도 없다. 나에게 편지를 쓰며 힘없이 서 있던 나를 안아주며 나의 길을 두려움 없이 상경했지만, 현실은 나의 발끝을 벼랑 끝으로 몰고 가기만 한다. 눈을 감으면 보이는 것이 미래인 지금도 오직 희망 하나만 믿고 달려왔다. 그러나 희망이라는 것이 세상에서 배신을 잘한다는 것을 알아버린 순간, 이 세상에서 나는 홀로 되어 버렸다. 언제부턴가 세상은 빨리 변해 가는데 나만 같은 곳에 머물러 있는 느낌이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이라는 소설 속에서 아들을 잃어버린 하워드와 앤이 된 기분이다.


마음에 심한 공백이 생기면 마왕의 노래를 들었다. 고흐의 불꽃 같은 삶도, 니체의 상처 입은 분노도 스스로의 현실에 더 이상 도움 될 것이 없다고 마왕이 말했다. 전망 좋은 직장과 가족 안에서의 안정과 돈, 큰 집, 빠른 차. 명성 사회적 지휘 같은 것들에 과연 우리의 행복이 있을까, 라며 나의 등을 토닥여 주곤 했다. 마왕도 가버리고 남은 것이 없다. 이젠 지친다. 라면이 쏟아졌다. 밥상 위에서 흐르는 라면 국물이 바닥으로 퍼지는 꼴이 마치 머리가 터져 뇌하수체가 흐르는 모습처럼 보인다. 나는 조금도 강하지 않다는 걸 알았다.



https://youtu.be/HRlwPwqC-Y0?si=kLAeXlcO39z22ME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