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리언 시리즈를 보면서 늘 드는 의문은 제노모프의 대가리에 총쏘면 죽으면서 침을 흘리는데 그게 엄청난 산성이라 다 녹여버리잖아. 근데 그 산성 침이 제노모프의 본체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렇다는 건 제노모프의 몸뚱이는 산성에도 녹지 않을 정도로 우주 최고의 단단한 물질이라는 말이잖아. 근데 총에는 또 맞아서 대가리가 박살 난다. 모든 걸 다 녹여 버리는 우주 최강 산성에 견디는 단단한 몸인데 총에는 약하다. 하지만 모든 걸 녹여버리는 산성물질에는 강하다. 뭐 그렇다고.
에이리언 로몰루스는 에이리언 빠돌이가 작정하고 만들어서 그런지 오마주가 여럿 등장하고 에이리언 후속작 중에 제일 재미있었다. 어지간한 공포물에도 무섭다는 느낌이 없는데 로몰루스는 무서웠다.
이 영화에서 느끼는 무서움은 긴장김이다. 이 긴장감은 제노모프가 진짜 같아서 그렇다. 그리고 마지막에 등장하는 오프스프링은 불쾌함 그 자체였다. 역시 그래픽이 아니라 진짜 같아서 그렇다. 입을 아 벌리고 그 안에서 또 다른 입이 나오는 오프스프링은 너무나 살아있는 것 같아서 정말 불쾌하고 긴장되었다.
가장 불쾌한 캐릭터 이 오프스프링은 그래픽이 전혀 아니라 80년대 특촬처럼 특수분장이다. 진짜 2미터 36센티미터 장신을 섭외해서 연기를 한 것이다. 이 배우는 원래 농수선수였는데 다쳐서 집에서 쉬고 있었다고 한다. 이 선수는 거인병 같은 것이 아니라 아버지, 엄마의 영향으로 유전자적으로 그저 2미터 36센티라고 한다. 팔다리가 엄청나게 길다.
원래는 대처할 인물이 없어서 그래픽으로 하려고 했는데 그래픽 사용을 극도로 싫어하는 알바레즈 감독이 전국을 뒤져서 그 선수를 알아냈고 섭외를 해서 분장으로 그 불쾌한 캐릭터 오프스프링이 탄생했다.
제작사에서 오프스프링 장면을 삭제하자고 감독에게 말했다. 인간 배아에 제노모프 정자가 들어가서 오프스프링이 탄생하는 게 사람들에게 너무 거부감을 준다는 거였다. 그 말을 듣자마자 알바레즈 감독은 제작사가 싫어한다면 바로 오프스프링이다.라고 했다. 제작사의 말을 들으면 대체로 영화가 망한다는 것이다.
가장 힘들었던 게 인공지능 역의 이안 홈이었다. 그는 이미 고인이 되었기 때문에 그래픽이 불가피했다고. 그런데 뒤져보니 예전에 호빗인가? 반지의 제왕인가 그때 출연했을 때 얼굴을 본뜬 조형물이 있었던 거였다. 그래서 인공지능 애쉬를 재탄생시킬 수 있었다. 이안 홈이 영화에 나왔을 때, 이야 하며 감탄했다.
그 외 거의 모든 장면이 그래픽 없이 특수촬영을 했다. 에일린 우의 가슴을 뚫고 나오는 제노모프 새끼 장면도 전부 특촬이다. 새끼 제노모프의 움직임은 인형극을 하듯 여럿이서 실을 꿰어서 잡아당기고 늘리고 하면서 촬영을 했다. 극강의 빌런 제노모프 역시 그 안에 사람이 들어가서 탈을 뒤집어쓰고 연기를 한 것이다.
그래서 실제 같은 긴장감의 무서움이 화면 밖으로 뚫고 나왔다. 주인공 케일리 스페니를 처음 봤을 때가 케이트 윈슬렛이 마을의 형사로 나오고, 딸이 사고 쳐서 딸을 낳아서 할머니가 되어서 마을의 살인사건을 파헤치는 이야기 ‘메어 오브 이스트타운’에서다. 거기서 시체로 나온다. 또 얼마 전에 본 미국 내전을 다룬 영화 ‘시빌 워: 분열의 시대’였다.
감독이 작정하고, 그래 너희 한 번 죽어 봐라, 하며 만들어서 제대로 아슬아슬함을 느끼게 해 준 에이리언 로몰루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