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진기행 다 좋아하지? 무진은 안개로 가득한 도시잖아. 김승옥은 그 안개를 여귀가 뿜어놓은 입김 같다고 했거든.


여귀는 제삿밥을 먹지 못해서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이승에 떠도는 귀신이야. 그러니 그 귀신이 내뱉은 입김에는 슬프고 서늘한 한이 서려 있는 거지.


무진기행의 안개 이후 아직까지 한국문학에서 안개를 이토록 표현해 낸 문장이 없어.


그래서 영화로 만들어졌을 때 제목이 [안개]로 나왔거든. 무진기행은 지금까지 3번인가 4번인가, 영화로 만들어졌는데, 윤정희가 두 번 인숙으로 나와.


67년 영화인가 첫 안개에서 각본은 김승옥이 쓰고, 문예감독 김수용이 만들었는데, 와 정말 재미있어. 윤정희의 10대 시절을 볼 수 있고 소설과 같은데 너무 재미있게 만들었어.


이때 일화가 김수용 감독이 김승옥한테 붙어서 제발 쉽게 시나리오 써달라고 했지.


무진기행이 나오면서 모국어의 폭발이었지, 이전까지 일본문학이나 서양문학의 문장을 갖다 쓰는 정도였는데 김승옥의 무진기행 이후 야호였어.


지금 대 작가 김훈, 김훈의 아부지 김광주도 울 나라 1세대 소설가인데 중국 문학을 소개하고 그랬는데, 하루는 김훈에게 막걸리 받아 오라고 하고 후배 작가들을 전부 집어 모은 거야.


김광주가 너네 김승옥이라는 괴물이 나타났는데 그 녀석 소설 읽어봤지?라고 하니 전부 고개를 푹 숙이며 그렇다고 한 거야.


이제 우리 어쩌냐, 우리 밥그릇은 이제 끝이야. 같은 이야기를 막걸리를 받아 온 꼬꼬마 김훈이 문 밖에서 들었던 거지.


김승옥은 선배 소설가들에게 불려 가서 인기가 많았데 그러다가 518 사태에 충격 먹고 알지? 절필을 선언했는데. 문공부 장관까지 지낸 국어학자 이어령이 절필하면 안 된다며 호텔에 던져 놓고 쓰고 있던 장편을 계속 쓰게 했거든.


그게 [서울의 달빛]이었는데 그걸 쓰다가 그대로 도망가버렸지. 그래서 1장, 2장 계속 나와야 하는데 나오지 못하고 [0장 서울의 달빛]으로 나왔는데 무진기행만큼 재미있어.


김승옥 단편 소설들이 전부 재미있지. 신문사에 만화를 팔아먹는 만화가 이야기도 읽다 보면 서늘하고, 무진기행 단편집은 60년대 소설인데 21세기에 읽으면 21세기의 소설 같아. 너무 신기하고 기묘하지.


응사, 응답하라 1994 작가도 무진기행을 좋아한 것 같아. 대학생이 된 해태가 술자리에서 여수와 순천이 맞붙잖아. 그때 막 우리 도시에는 비행장도 있고, 백화점도 있고 뭐 그러다가 순천이 여수에게 밀리잖아. 해태가 고심하더니 아! 우리 순천에는 무진기행! 무진기행이 있는디! 하거든.


https://youtu.be/AT48VFwHLA0?si=ZFYgmAo4W63pkBJY <= 김승옥 뉴스기사


무진은 안개 - 김승옥의 설명


안개는 마치 여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