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텅 빈 공간이 보이면 자꾸 채운다. 공간에 식료품을 채우고, 음식을 채우고, 물건을 채운다. 도시에 사는 인간들은 허영심을 채우는 대신 마음을 잃어간다.

남자의 욕구 해방으로 태어난 공기인형 노조미는 움직이게 되면서 인간을 알아간다. 어린이들과 같이 어울리면서 행복함을 느낀다. 그러나 아이들은 어두워지자 엄마들이 데리고 간다. 하지만 혼자인 노조미는 외롭다고 느낀다.

우연히 들린 비디오 가게에서 일하는 준이치에게 반해버린 노조미는 사랑을 알아간다. 준이치와 같이 일하게 된 노조미는 조금씩 마음이라는 게 생겨버린다.

저 마음이 생겼어요.

다시 마음이 없는 인형으로 돌아와 줘!

노조미는 인간처럼 마음이 생겨 기쁨과 동시에 불안과 두려움도 동시에 생긴다. 마음이란 그렇다.

도시에 사는 인간들은 그래서 텅 빈 공간을 보면 식료품으로, 음식으로, 물건으로 악착같이 채우면서 마음을 잃어간다.

도시의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서 마음이 있으면 불편하고 차별만 당한다는 걸 안다.

나는 마음을 가져버렸습니다. 가져서는 안 될 마음을 가지고 말았습니다.

나는 거짓말을 했습니다. 마음이 생겨서 거짓말을 했습니다.

마음이 생긴 노조미는 불안하지만 사랑을 알아간다. 준이치와 함께 있다는 게, 텅 비어버린 히데오와 함께 있을 때와 다르다는 걸 느낀다. 사랑이 깊어질수록 점점 더 불안한 마음도 자리를 잡아간다.

준이치, 하늘엔 뭐가 있어?

노조미, 하늘엔 공기도 있고 구름도 떠다니고 밤엔 달도 뜨고 별도 뜨지. 투명해서 보이진 않지만 분명히 있어

준이치, 보이진 않지만 있다? 아, 어렵다

노조미는 공원에서 할아버지를 만나 텅 빈 하루살이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다. 나도 텅 비었는데. 할아버지에게 우리 모두는 텅 빈 인간이라는 말을 듣는다. 자네만 그런 게 아니야.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지만 서로에게 무관심한 채 살아가며 서로를 혐오하는 것마저 허용되는 관계가 텅 빈 인간들이 모인 도시다.

노조미는 자신을 만들어 준 소노다에게 공기인형은 쓸모가 없어지면 타지 않는 쓰레기가 되고, 인간은 죽으면 타는 쓰레기가 된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노조미의 공기가 빠져나갔을 때 준이치의 입김으로 살아났듯 준이치도 같을 거라 생각했지만 준이치는 살아나지 못한다. 만약 마음을 가지지 않았다면 이토록 공허함이 들지 않았을 텐데.

노조미는 텅 빈 유리병이 가득한 쓰레기장에서 서서히 인형으로 돌아가 쓰레기가 된다.

이 당시 배두나는 고 감독의 시나리오를 받고 배역 때문에 망설이다가 박찬욱을 찾아갔다. 박찬욱은 고레에다 감독이잖아, 괜찮아, 망설이지 말고 뛰어들어라고 했다. 노조미의 몸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는 소리가 마치 나의 마음이 빠져나가는 소리처럼 들리는 영화 ‘공기인형’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