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묘가 대만, 중국 등 영화제에서 사람들이 밀려들어 티켓이 없어서 난리라고 한다. 파묘의 가장 큰 매력은 ‘공포’가 강력하다는 것이다. 공포영화의 초석이자 가장 기본이 되는 덕목이다.


중화권 공포영화들도 꽤나 무섭고 공포가 가득한 영화가 많다. 그러나 파묘가 이렇게 인기가 있는 이유는 공포의 질이 다르다는 것이다. 파묘가 보는 이들에게 공포를 준 건 영화 속 도깨비불이나 원흉이었던 사무라이 귀신이 아니다.


주인공으로 나온 배우들이 무서웠기 때문이다. 이화림이 툭툭 하는 말투에서, 빙의 들린 윤봉길의 눈빛, 보지 말아야 할 것을 본 김상덕의 표정과 고영근의 달라지는 동작에서 굉장한 공포를 보았기 때문이다.


얼굴을 덜덜 떨며 빙의 들려 목이 꺾이는 박지용을 보는 김상덕, 최민식의 엄청난 연기에서 우리는 그만 공포가 몸을 덮어버리는 경험을 한다.


개인적으로는 이화림, 김고은의 평소 같은 말투로 툭툭 던지는데 그 안에서 소름이 돋았다. 이도현이 빙의되어 신들린 연기를 펼칠 때에도 공포가 화면을 뚫고 쏟아져 나왔다.


영화 속 공포를 주는 대상이 보통 공포영화의 주체가 되는 귀신인 경우가 많지만 파묘에서는 주체의 대상보다 피상적인 대상들이 공포를 느끼는 과정을 통해 보는 이들까지 공포를 주인공들과 함께 느끼는 체험을 한다.


작금에는 주체가 되는 공포의 대상이 포효하는 공포에 둔감해졌다. 영화가 세상에 도래한 이루 공포영화는 영화의 한 장르로 입지를 돈독하게 굳혔다. 하지만 공포영화는 한계에 돌입했다. 공포 마니아들은 어지간한 공포물에 공포를 느끼지도 못한다. 그리하여 공포물이 나오면 좀비나 드라큘라 또는 제이슨이나 프레디 같은 대상이 주인공인 영화에서는 더 이상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조던 필이 그 어떤 무서운 대상을 대동하지 않도고 극한의 공포를 주었고, 아리 에스터의 유전에서 처음 느끼는 공포를, 미드 소마에서는 대낮이 밤보다 더 무서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는 주인공들이 느끼는 공포를 우리가 동시공체로 느꼈기 때문이다.


파묘 역시 배우들의 힘이다. 과연 최민식, 유해진이야, 같은 말이 나오게 만들었다. 장재현 감독의 이전 작들을 봐도 그런 면모가 면밀히 보인다. 주인공들에게서 공포를 느끼게 된다. 주인공들이 처한 상황, 하는 말투, 대사, 심리에서 우리는 압도당하는 공포를 실감했던 것이다.


특수 분장이나 그래픽으로 중무장한 공포물은 앞으로는 공포보다는 징그러운 쪽으로 갈 것이다. 눈을 뜨고 보지 못할 정도로 징그러우면 공포와 연결이 될 수는 있으나 즉각적인 공포의 범주는 아니다. 징그러움이 이어지면 공포가 될 수 있다. 일본 만화 ‘식량인류’을 보면 그렇다.


인간이 인간을 잡아와서 배양하듯 살을 찌워서 어떤 존재의 먹이로 준다. 각종 호르몬제와 약물을 투여하여 이가 다 빠지고 몸이 문들어지는데도 가슴을 계속 커지고 성욕만 남아서 섹스를 갈구하고 아이를 계속 낳는다. 원작을 보면 알겠지만 처음부터 징그러움의 연속이지만 뒤로 가면 갈수록 너무 공포스럽다. 아주 무섭다.


즉 인간이 가장 공포를 느끼는 대상은 바로 인간이다. 특히 어제까지 나의 곁에 있던 사람이 오늘 가장 공포스러운 존재가 될 수 있다. 어제의 온화한 내가 오늘 공포의 내가 될 수도 있다. 인간이 인간에게 공포를 주는 가장 공포스러운 존재라는 걸 우리는 영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있다.



식량인류 몇 장면




마이클 패스밴더가 나홍진 감독과 간장게장을 맛있게 먹는 장면이 포착 됐다.

어떤 공포물이 탄생할까. 기대를 해본다.


사진출처: 네이버 블로그 크리드포스트 https://blog.naver.com/rlqhstyle/2234249016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