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의 고마코



야스나리의 소설 설국을 영상으로 옮긴 여러 버전 중 가장 최근의 2022년 버전이다. 시마무라로 타카하시 잇세이가 나오며, 여리여리 눈 같은 기생에는 나오가 나온다.


눈으로 시작하여 불로 끝나는 이 소설은 너무나 유명한 문장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로 시작한다. 영화도 그렇게 시작한다. 그러나 이 문장 보다 이 문장 바로 뒤에 오는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라는 문장에 온 마음을 다 빼앗겨 버릴 것만 같다.


이 소설을 읽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소설인지 에세인지 넋두린지 플롯이 애매애매하다. 어쩌면 시에 가깝고 그 시를 이어 붙여 아주 긴 산문시 같은 느낌도 있다. 그래서 영화(는 아니지만)도 야스나리의 시적 내레이션이 아주 많이 나온다.


유리창이 거울이 되어 건너편의 여자를 비추고 있었다.

그녀 얼굴 가운데에 등불이 타올랐다.

슬프도록 아름다운 목소리였다.

손가락으로 기억하는 여자와 눈에 등불이 켜진 여자.

믿기 어려울 만큼 깨끗한 인상이었다.


시마무라는 고마코를 보며 이렇게 표현했다. 소설의 내용은 다 알겠지만 세 번 눈의 고장에 있는 여관을 찾아가는 내용으로 고마코와 그녀가 데리고 있는 요코와 시마무라 세 사람이 설국의 중심에 있는 이야기다.


소설은 머릿속으로 설국을 상상하며 읽는 재미가 있고 영화는 운통 눈으로 덮인 설국에서도 눈에 띄게 하얗고 맑은 고마코를 보는 재미가 있다. 고마코는 예전 흑백 영화의 고마코가 더 예쁘다.


야스나리는 자살했는데 아끼는 제자 미시마 유키오가 자살을 한 다음 해에 자살했다. 금각사로 유명한 미시마 유키오는 인간실격의 다자이 오사무를 찾아가서 막 욕을 한 적이 있었다. 당신의 소설은 죽음을 쓴 연약한 소설에 불가할 뿐이야! 라며 다자이 오사무를 폄훼했다. 그때 오사무는 어허 너도 나를 찾아온 걸 보니 나의 글이 좋아서 온 것이다,라며 응수했다.


야스나리는 34년 우리나라 무용가 최승희(당시는 북한의 무용가로 숙명여고를 나와 고전 무용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최초의 인물이었는데 57세에 숙청당했다)가 일본 데뷔를 하는데 그때 그녀의 무용을 본 야스나리는 일본 내에서도 신진 여류 무용가 중에서 제 일인자로 꼽았다. 소설 무희에서 최승희에 대해서 다루었다.


유튜브에서 snow country 2022라고 치면 전편을 다 볼 수 있다. 배우 나오의 얼굴은 아오이 유우와 쿠로키 하루를 섞어 놓은 듯한 얼굴이다. 그런 계보를 잇는 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